검색결과

'간'(으)로 총 317 개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게시물 통합 총 280개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이곳에서 1년반 동안 단전 호흡 공부 하던곳.한달 생활비 1만원.....^^"  아들아 모하니.  태백 동점동 구문소(용이 나온 소(沼)  용소(龍沼)   
    증득의장도해사진첩
  • 9. 유아(幼兒)와 간질병(癎疾病) 처방(處方)  몸에 열(熱)이 심(甚)해지며 간질(癎疾)이 발작(發作)하면 경간(驚癎), 풍간(風癎), 체간(滯癎)으로 불리워진다.  또 육부(六腑)에서 발작(發作)하는 병을 양증(陽症)이라고 하고 오장(五臟)에서 발작하는 병을 음증(陰症)이라 하는데 양증은 열간(熱癎)이고 음증은 냉간(冷癎)이다.  그러므로 열간은 육부(六腑)에서 발생한 병이고 냉간은 육부에서 옮겨서 오장에서 발작하는 병이다.  가. 열간(熱癎)에는 가미천마탕(加味天麻湯)을 복용한다.  가미천마탕(加味天麻湯)  상백피(桑白皮) 4돈, 천마(天麻) 2돈, 향부자(香附子), 귤피(橘皮), 산조인초흑(山棗仁炒黑), 하고초(夏枯草), 연육(蓮肉) 각1돈반, 소엽(蘇葉), 갈근(葛根), 소회향미초(小茴香微炒), 우슬(牛膝), 적복령(赤茯苓), 오약(烏藥) 각1돈, 현호색(玄胡索), 홍화(紅花) 각8푼. 이 가미천마탕을 달여서 경명주사(鏡明朱砂) 삼푼(三分)과 지렁이재 (地龍?) 1돈을 타서 아침과 저녁으로 식전에 복용하되 완치될 때까지 계속 복용한다.  ♦복용기간과 복용량을 명시하지 않는 것은 그 환자의 병원체인 열담(熱痰), 냉담(冷痰), 습담(濕痰)의 축적된량을 측정하기 어렵고 탕약을 달이는 과정에서 열량(熱量)의 적정(適正)을 이루지 못하면 약(藥)의 효력이 일정(一定)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열성 간질(熱性癎疾)이 오래되면 냉성(冷性)간질로 전환(轉換)하여 전신(全身)이 냉해지고 간질이 발작(發作)할 때마다 수족(手足)이 차진다. 이러한 내성 간질은 치료가 매우 어렵다.  나. 냉성 간질 처방(處方)  토종닭 한 마리를 털과 똥만을 제거하고 마른 옻나무껍질 1근반 금은화(金銀花) 반근을 함께 넣고 오래 달여서 하루에 두 번 또는 세 번씩 지렁이재(址龍?) 2돈과 죽염1돈을 타서 복용한다.  본래 냉간은 유아에게 발생하는 예는 거의 없고 여러해를 간질로 고생하다가 냉간이 된다.  또 냉성간질은 오장(五臟)의 병인데 본래 육부(六腑)의 열성간질이 오장으로 옮겨서 병원(病源)이 골수(骨髓)에 침입하여 냉성간질이 되는것이다.
    인산학구세신방
  • 8. 황달, 흑달, 간위, 간종, 간옹, 간암, 간적비기에  고둥기름  간장염(肝臟炎)은 황달(黃疸), 간경화(肝硬化)는 흑달(黑疸)이라하며 간위(肝?), 간종(肝腫), 간옹(肝癰), 간암(肝癌), 간적비기(肝積肥氣)는 오적 육취(五積六聚)의 일부(一部)이다. 이 증상에는 고둥기름(小田螺油) 산포도뿌리, 넝쿨이 선약(仙藥)이다.  ♦고둥기름 내는법(小田螺取油法)= 고둥을 죽은 것 (死者)은 버리고 산것(生者)만 쓰는데 우선 물기(水分)가 없게하여 단단한 단지(甕器)에 담아서 땅속 단지에 엎어놓고 위의 단지와 아랫단지의 사이를 공기(空氣)가 새지않게 잘봉(密封)한다.  (공기가 새면 악취 惡臭가 난다) 그리고 위의 그릇은 터지지(破裂)않게 새끼줄로 동여매고 진흙(黃土)으로 두껍게 바른다. 그위에다가 볏겨 아홉가마니를 덮고 불로 태우면 약 八~九일정도 타게된다.  (지렁이재 만드는법 참조) 이불이 완전히 꺼진다음 땅 속에 묻은 그릇안에 고인 물(?)을 안전한 병(甁)에 담아두고 사용한다.  이 고둥기름과 산포도 넝쿨, 뿌리 달인물을 웅담(熊膽)대신 사용하는데 하루 세차례 복용하되 1차에 1홉씩 마신다.  이들 간장 계통의 병에 또다른 처방은 진웅담(眞熊膽) 3푼을 소주(燒酒) 반홉에 녹여서 마시고 솔잎(松葉)으로 땀을 내는 방법도 있다. 즉 솔잎 두가마니를 방바닥에 펴고 방바닥이 더웁게 불을 뗀다.  그리고 솔잎 위에 홑이불을 펴고 몸에는 엷은 옷을 입고 땀을 낸다. 약간 원기가 빠지는 것 같아도 탈진(脫盡)되지는 않는다.  또 땀을 식힐때에는 갑자기 식히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만일 주의를 소홀히하면 도리어 해(害)로운 수가 있다. 솔잎땀(松葉取?)이 신비(神秘)로운 것은 배 속(腹?)의 병균(病菌)인 염증(炎症)이나 자궁(子宮)의 병균인 염증이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가 솔잎땀을 내면 땀과 같이 증발(蒸發)하여 모공(毛孔)을 통하여 밖으로 나온다.  인체의 외부(人體外部)에는 우주의 공해(宇宙公害)와 병독(病毒)을 전염(傳染)하는 세균(細菌), 암병(癌病)을 유발(誘發)는 병핵소(病核素)등 산소중(酸素中)의 산핵소 (酸核素)를 침해(侵害)하는 요인(要因)들이 있어서 이들이 체내의 기(氣)가 약해짐을 틈타 인체의 내부(內部)로 깊숙이 침입(侵入)하게 된다.  솔잎땀(松葉取?)을 내게되면 증발(蒸發)하는 송지(松脂)의 기운이 모공(毛孔)을 통하여 체내(體內)로 들어가게 되는데 송지는 힘줄과 뼈 (?骨)를 튼튼하게 해주고 모든 기생충(寄生蟲)을 죽이며 썩은 살을 제거하는 동시 새살이 나오게 하는 작용을 한다.  인체의 내부(人體內部)에는 수분(水分)과 혈분(血分), 그리고 유분(油分)이 있는데 그의 병적(病的)인 발작(發作)은 다음과 같다.
    인산학구세신방
  • 4. 간장염(肝臟炎), 간경화(肝硬化), 간암(肝癌)의 처방  가미대시호탕(加味大柴胡湯) 고둥(小田螺) 2홉, 원시호(元柴胡), 개똥참외꼭지 (생강에 두 번찐다) 각 4돈(錢), 황금(黃芩), 백작약(白灼藥) 각 2돈(錢), 지실(枳實) 1돈반(錢半), 반하(半夏) 1돈(錢), 왕머루뿌리와 넝쿨 3냥 이를 달여 하루 1첩씩 식사전에 복용하라.  ♦주의사항= 반하는 독(毒)이 있으므로 제독(除毒)해서 써야하는데 제독법은 다음 2가지 방법이 있다.  ① 생강(生薑) 2근을 가늘게 썰어 냄비나 프라이팬에 8푼(分) 두께로 편다음 반하를 그위에 편다.  뚜껑을 덮고 찌는데 조금씩 연기가 나면서 생강이 타게되면 반하독은 제거된다.  ② 생강즙을 내어 이즙에 반하를 담가두어 하루가 지나면 역시 반하독이 제거된다.  ♣제2처방 집오리 1마리에 원시호 (元柴胡), 인진호(茵蔯蒿) 각 1근, 고둥(小田?) 큰되 1되를 함께 넣고 물1초롱을 부어 1되가량 될 때까지 푹 달인다.  이 국물을 환자의 소화에 지장이 없도록 알맞게 복용토록 하되 혹 1마리에 완쾌되지 않으면 몇 마리 더 쓰도록 한다.
    인산학구세신방
  • 3. 간성질환(肝性疾患)
    3. 간성질환(肝性疾患)  간장병(肝病)의 원인(原因)은 영소중(靈素中)에서 산소(酸素)를 흡수(吸收)하는 힘이 부족(不足)하여 황록(黃綠)의 기색(氣色)이 쇠약(衰弱)하면 간장의 열(熱)이 생겨서 간장염(肝臟炎)이라고하는 황달(黃疸)이 되고, 간경화(肝硬化)하고 하는 흑달(黑疸)이 되고 , 간위증(肝?症)과 간종(肝腫), 간옹(肝癰), 간암(肝癌)이 된다.  간신경(肝神經)에 온도(溫度)가 맞지 않으면 담즙(膽汁)이 밖으로 새어 나와서 (外?) 모든 간장병을 발생케 한다.  간장 본성(本性)에는 혼(魂)이 가장 주요(主要)하다.  혼이란 것은 색소(色素)와 색소중(色素中)의 산성(酸性)을 흡수(吸收)하는데 책임자(責任者)이며 주인공(主人公)이다.  만일 크게 놀라(驚)게 되면 혼과 기를 상하게되고 근심과 걱정을 지나치게 하여도 혼기를 상하여 색소의 본성을 잃어버리게 된다.  따라서 간장의 본성인 색소가 허(虛)하여 염증(炎症)이 성(盛)하면 간적비기(肝積肥氣)란 병(病)이 된다.  간장은 피(血)를 가장 주요(主要)하게 여기는 곳으로 다음과 같은 다섯가지 적(積)이 있으니  一은 혈적(血積),  二는 냉적(冷積),  三은 담적(痰積),  四는 습적(濕積),  五는 풍적(風積)이다.  또 5적(五積)과 6취(六聚)란 것이 있는데 움직(動)이지 않는 것은 적이라 하여 음성(陰性)이 되고 움직이는 것은 취라하여 양성(陽性)이 된다.  담신경(膽神經)에 온도가 고르지 못하면 담낭(膽囊)에 찌꺼기가 모여서 마침내 담낭 결석증(結石症)이 된다.  또 결석은 담소(膽素)가 일부(一部) 소산(消散)만 되고 생성(生成)이 안되면 신진대사의 작용이 장애를 받아서 점차로 불순물인 염증을 발작시켜 결석의 중증(重症)을 가져온다.  간 담(肝膽)의 병의 치료방법은  一은 삼보주사(三寶注射),  二는 오핵단(五核丹),  三은 소전라유(小田螺油=고둥기름) 및 깊은 산의 왕머루뿌리, 넝쿨,  四는 소전라와 대시호탕((小田螺大柴胡湯),  五는 단향 원감초 죽염(檀香元甘草竹鹽),  六은 솔잎땀(松葉取汗),  七은 사향정이다(위의 6개 처방은 아래에 자세히 기록됨)
    인산학구세신방
  • 4. 냉간(冷癎)
    4. 냉간(冷癎)  중완혈(中脘穴)에 5분이상 타는 뜸장으로 5천장을 뜬다.  그리고 천마탕(天麻湯) 달인물에 대경명 3푼, 대나무소금 1돈(一錢)을 복용한다.
    인산학구세신방
  • 3. 경간(驚癎), 풍간(風癎)
    3. 경간(驚癎), 풍간(風癎)  신열(身熱) 경간, 풍간에는 가미천마탕(加味天麻湯)달인물에 대경명(大鏡明) 3푼, 대나무소금(竹鹽) 각 1돈(各一錢)을 복용한다.  ♦또 다른방법 토종 닭을 털과 똥만을 제거하고 옻나무껍질 1근(一斤), 금은화(金銀花) 반근(半斤)을 함께 넣고 푹 달여서 그 약물에 대나무소금 알약을 50알씩 복용한다.  이것은 음광(陰狂), 양광(陽狂)에도 좋다.
    인산학구세신방
  • 9) 간 , 담약(肝膽藥) -- 민물 고동
    9) 간 , 담약(肝膽藥) -- 민물 고동  민물고동(小田螺)은 제반 간 , 담병의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리나라 어디에 가든지 냇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고동은 암록색(暗綠色)을 띠고 있는데 그것이 바로 녹색소로 이뤄진 간의 조직 원료이다.  고동의 살[肉]과 물은 신장(腎臟)을 돕고 그 껍질은 간 ,  담의 약이 된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고동을 고급 술안주로 애용하는 것도 따지고 보면 그 속에 내재해 있는 약성을 이해한 데서 비롯된 것이라 하겠다.  민물고동은 그대로 삶아서 약용하기도 하나 심화된 간 , 담병 치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기름을 내어 쓰는 것이 좋다.  전통적 방법으로 짠 고동 기름은 간암 ,간경화 등의 치료에 백년 묵은 토산 웅담과 비슷한 효력을 갖는다.  고동 기름을 내려면 우선 작은 말로 세 말 이상의 고동을 준비하여 죽은 것은 식중독 위험이 있으므로 모두 골라 버리고 산 것만을 가려서 물기를 없앤 다음 준비해 둔 두 개의 단지 중 작은 단지에 담는다.  그리고 두 겹의 두꺼운 삼베 보로 단지 주둥이를 봉한다.  다른 큰 단지를 주둥이 바로 밑 부분까지 땅에 잠기도록 묻고, 고동 담은 단지를 엎어 놓는다.  위의 작은 단지와 아래의 큰 단지 주둥이가 서로 맞물리도록 하는 것이다.  두 단지의 접착된 부분으로 흙이 들어가지 않도록 진흙을 반죽하여 잘 발라둔다.  그리고 윗 단지의 몸통을 밑에서부터 새끼줄로 감아 올라가 풀어지지 않도록 한 다음 심산의 거름기 없는 황토를 가져다 반죽하여 3cm 이상 두께로 단지에 바른다.  그 위에 왕겨 9 가마니를 쏟아 붓고 불을 붙이면 7일 내지 10일 동안 타게 된다. 불이 완전히 사그러진 다음 단지를 들어내면 아랫 단지에 고인 기름을 볼 수 있다.  (제 7장 제 3절 <천웅의 제독과 홀용> 참조) 이 기름에는 왕겨의 극강한 화력에 의해 황토 기름이 약간 스며 나와 합류되어 합성되어 약성을 돕는다. 왕겨 속에도 간 , 담병에 도움이 되는 약이 있어 예부터 기름을 내는데 많이 쓰여 왔다.  고동 3말을 기름 낼 경우 3~4되 가량의 기름이 나오게 된다. 식전에 복용하되 적은 양을 자주 복용하는 것이 설사를 방지할 수 있어 좋다.  냉장고 등에 넣어 변질되지 않도록 보존해 두고 복용시 따뜻하게 데워서 쓰도록 한다.  간암 , 간경화 치료시 우선 기름을 내기에 앞서 쓰려면 대시호탕(大柴胡湯)을 본방대로 하여 1첩당 생강법제한 참외꼭지 (제 5장 제 2절 <간병약 -- 개똥 참외> 참조) 1냥, 고동 5홉을 넣고 푹 달여서 쓴다.  며칠 써봐서 이상이 없으면 이틀에 3첩, 하루 2첩으로 복용량을 늘린다. 시호는 반드시 원시호(元柴胡)를 쓴다.  대 , 소한에는 고동을 구하기 어려우므로 제철에 미리 준비하여 오래 삶아 조청을 만들고 그 조청에 고동 껍질을 말려서 분말하여 넣고 반죽한 뒤 이를 말려 두었다가 급한 환자에 쓰도록 한다.
    인산학신약
  • 2) 간병약(肝病藥) -- 개똥 참외
    2) 간병약(肝病藥) -- 개똥 참외  개똥 참외씨로 재배한 참외와 그 꼭지는 제반 간병(肝病)의 양약(良藥)이다. 매년 여름, 이듬해에 쓸 약참외를 미리  준비해 둔다. 재배법과 그에 따른 합방(合方)은 다음과 같다.  삼복(三伏) 여름, 씨가 완전히 여문 참외의 씨를 식은 율무죽에 섞어 토종개(없으면 보통 개)에게 먹인 뒤 씨가 섞인 그  개의 똥을 받도록 한다.  그 개똥과 10세 미만 어린이의 똥 및 닭똥을 각각 같은 분량으로 수거하여 작은 항아리에 담아 불순물이 섞이지 않도록  잘 보관했다가 이듬해 봄에 심는다.  산속의 거름기가 미치지 않은 황토 1되에 유황가루 1냥(1냥= 37.5g), 적당량의 비료를 섞어, 이 흙을 씨 뿌리기에 알맞도록 편 다음 여기에 보관해 둔 참외씨를 통째로 뿌린다.  여러 싹 중에서 가장 튼튼한 싹 하나만을 길러 완전히 익은 뒤 꼭지 쪽으로 참외의 10분의 1 가량을 잘라 말린다.  이 참외는 몇가지 약재들과 섞어서 쓰면 간암(肝癌), 간경화(肝硬化) 등 제반 간병의 영약(靈藥)이 된다.  이 참외를 그대로 쓰면 황달을 치료하고 간암을 예방한다.  ○ 황달 - 오령산(五苓散)에 인진쑥(茵蔯) 2돈(1돈=3.75g)과 생강으로 법제한 개똥 참외 꼭지 1냥을 넣고 달여서 식전에 복용한다.  ★ 오령산 : 택사(澤瀉) 5g, 저령(豬苓). 복령(茯苓). 백출(白朮) 각 3g, 계지((桂枝)=육계(肉桂)) 2g.  ○ 간암. 간경화 - 대시호탕(大柴胡湯) 한 첩에 생강법제한 개똥 참외 꼭지 1냥, 민물고동(산 것만 골라 쓴다) 5홉을 가미하여 충분히 달여서 식전에 복용한다.  몇 일 먹다가 별다른 이상이 없으면 이틀에 3첩, 또는 하루 2첩씩 써도 된다. 여기에 웅담(熊膽)을 곁들이되 토산은 1푼(0.375g), 외래산 진품은 2푼을 소주잔 반잔의 소주에 타서 쓴다.  ★ 대시호탕 : 시호(柴胡) 6g, 반하(半夏) 4g, 황금(黃芩). 작약(芍藥). 대추(大棗). 지실(枳實) 각 3g, 대황(大黃) 1g,  생강(生薑) 1편 (3.75g=1돈=1전(錢))  ○ 개똥 참외 꼭지 생강법제 - 생강을 가늘게 썰어서 프라이팬에 1치 5푼(4.5cm)  두께로 펴고 그 위에 참외 꼭지를 얹은 뒤 뚜껑을 덮고 푹 찐다.  생강이 타며 연기가 나기 시작하면 참외 꼭지를 꺼내어 말려 두고 얇게 썰어서 쓴다.  민물고동도 겨울철에는 구하기 어려우므로 여름철에 미리 준비한다.  이를 오래 달이면 조청이 되는데 그 조청에 고동 껍질을 말려 분말한 것을 넣고 반죽하여 다시 말려 두었다가 급한  간병(肝病)에 대비토록 한다.  오이도 참외와 같은 방법으로 재배하면 맛도 좋고 중화상(重火傷)을 입은 사람의 내복약으로 그 생즙을 먹이면  심장에  범한 화독(火毒)을 풀어 생명을 구할 수 있다.
    인산학신약
  • 4) 간암. 백혈병약 -- 벌나무. 노나무
    4) 간암. 백혈병약 -- 벌나무. 노나무  벌나무는 생기(生氣). 길기(吉氣)를 주재하는 세성(歲星 = 木星)의 별정기를 응애 화생(化生)한 물체이므로 벌나무가  있는 곳에는 늘 세성의 푸른 기운이 왕래한다.  간암. 간경화. 간옹. 간위. 백혈병 등 일체의 간병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우리나라에선 주로 계룡산 일대에서 자라는데 약용으로 쓰기 위해 마구 뽑아가버린 까닭에 광복 이후부터 급격히  줄어들어 현재는 거의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깊은 산에서 벌나무를 간택하려면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  수양 깊은 사람이 청명(淸明)한 밤에 산위에서 밤을 지새며 목성(木星 = 歲星)의 정기를 관찰하면 유독 푸르스름한  기운(목성 정기)이 짙게 어려 있는 나무르 발견할 수 있는데 그것이 곧 벌나무이다.  나뭇가지를 꺾어 낮에 잘 살펴보면, 잎은 노나무 잎에 비해 조금 작고 더 광채가 나며 줄기는 약간 짧다. 나무껍질은  노나무 껍질과 같고 재목은 오동나무와 흡사하며 노나무나 개오동나무가 결이 거친 데 비해 벌나무는 결이  부드러운 게 특징이다.  노나무와 개오동나무도 세성 정기가 왕래하나 희미하며, 형혹성(熒惑星)의 독기, 즉 불그스름한 기운이 함께  왕래하므로 약용하면 체질에 따라 혹 약간의 부작용이 따르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벌나무는 전혀 독성(毒性)이 없으므로 어떤 체질이든 부작용이 없는 우수한 약재이다. 벌나무는 맛이 담백하고  약성이 따뜻한 청혈제(淸血劑)이며 이수제(利水劑)이다.  간의 온도를 정상으로 회복시켜 줄 뿐 아니라 수분배설이 잘 되게 하므로 간의 제난치병 치료에 주장약으로 쓰이는  것이다.  잎과 줄기. 가지. 뿌리 등 모든 부분을 다 약으로 쓰는데 하루 1냥(兩 = 37.5g)씩 푹 달여 두고 아침 저녁으로 그 물을  복용한다.  벌나무는 극히 희귀하여 구하기 어려운데 구할 수 없을 때는 노나무를 대신 쓰면 거의 비슷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소양(少陽) 체질 즉 혈액형이 진성(眞性) O형인 사람은 부작용이 따르므로 주의해야 하며 다른 체질도 노나무를  쓸 때는 처음에 조금씩 쓰다가 차츰 양(量)을 늘리는 것이 안전하다.
    인산학신약
  • 5. 각종 난치병(難治病)의 선약, 신약, 영약(仙藥, 神藥, 靈藥)인  죽염(竹鹽)간장 제조법  쥐눈이콩(鼠目太)이 제일이니 푹 삶는다.  대용으로 검은콩을 쓰기도 한다. 종곡상(누룩파는 가게)에 가서 종곡으로 메주를 띠우는 법을 문의하여 배우고  메주콩을 종곡으로 두낮밤 48시간을 띠우면 메주가 된다.  그 메주를 잘 말리어 가루 내어 장을 만든다.  콩 대두 한말레 물 두초롱을 두고 물 한초롱당 죽염 열근과 대원감초말(大元甘草末) 한근씩 두고 장을 말아서 간장을  뜬다.  이 장을 흠씬 달여서 두고 복용하면 만병에 신약이니 다른 약물은 모두 시효가 있어도 오직 죽염간장은 시효가 없다.  오히려 백년후면 선약이 되고 천년후면 신약이 되고 만년후면 영약이 된다.  그 이유는 콩은 오성에서 태백성정(太白星精)으로 화생되나 오직 서목태와 검은콩은 태백성정에다 이십팔수(二十八數)의 두성정(斗星精)을 다 함유한 까닭에 오래될수록 더욱 천지의 정기를 합성하여 신약이 된다.  죽염 서목태장은 간장을 뽑고 된장은 고추장을 만들어 두고 식용으로 쓰면 만병에 약이 되며 공해예방에도 신약이 된다. 죽염으로 김치를 담아 아침 저녁으로 반찬을 하면 된장과 같은 효험이 있다.  해내(海內) 제현(諸賢)은 우선 죽염장을 만들어 식용으로 복용하면 사람의 장부는 공해독 예방에 만전을 기할수 있으니 명심하여 자손을 보호하는데 노력할 일이다.  五十년전 많은 사람이 신효하고 지금도 기적은 계속된다. 무좀등 각종 암종과 피부병은 내복하고 환부에 가루를 바르라. 죽염 간장 된장 고추장 죽염김치로 정신병 전부며 전광(癲狂) 간질(癎疾) 십이종(十二種)에 신약이다.  간장, 된장, 고추장, 김치를 담아 오래도록 두고 복용하라.  다음 병에 신비하다.  중병과 공해독 예방  중병과 공해독 예방에는 죽염김치니 담그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배추를 씻어서 물기없이하여 1근,  무우는 씻어서 물기없이하여 2근, 오이도 씻어서 물기없이하여 반근을 함께 두고 죽염을 허쳐서 절인후에 국물을 만들때는 냉수를 끓여서 식힌 뒤 넣는다.  간을 맞춰가며 약간 짜게 한다.  그리하여 약으로 복용하라. 위암, 비암, 위장병, 비장병환자에게도 위와 같이 한다.  무우는 죽염을로 삭혀야 소화제이며 위를 재생하는 거악생신제라 위의 상처를 회복하고 배추와 오이는 죽염으로 삭히면 해독제가 되고 수분을 잘 통하게 하고 무우와 합세하여 소화력을 강하게 하여 폐병이나 심장병, 신장병에 좋으니라.  ⑴ 위암, 위궤양, 위하수, 위확증, 소화불량, 토사곽란, 육체, 식체.  ⑵ 비암, 비선암(脾腺癌), 식욕부진(食慾不振).  ⑶ 식도암, 색도궤양, 식도종양.  ⑷ 십이지장암, 소장암, 소장궤양, 대장암, 대장궤양, 대장염, 직장암.  ⑸ 폐암, 기관지암, 폐선암, 폐결핵, 폐옹종.  ⑹ 신.방광암, 명문암.  ⑺ 구설암, 치근암, 인후암, 아감창(兒疳瘡), 구순창.  ⑻ 간암, 간장염, 간경화, 간옹, 간종, 간위증(肝?症).  ⑼ 뇌암, 뇌종, 뇌염, 뇌막염 등에는 죽염간장을 한번에 한숟갈씩 공심복하라.  ⑽ 축농증, 암축농증, 비치(鼻痔), 중이염, 뇌암중이염 등에는 한번에 한방울씩 넣고 후발종, 습진에는 바르라.       된장 , 고추장, 김치는 상복한다.
    인산학구세신방
  • 24. 인간의 통증(痛症)에 대하여
    24. 인간의 통증(痛症)에 대하여  인간의 만가지 병의 통증은 물과 불이 서로 조화를 이루지 못하여 차고 더운 것이 고르지 못하니 자연히 정기(精氣)가 통하지 못하기 때문에 생긴다.  모든 신경(神經)에 화기(火氣)가 수기(水氣)의 제지를 받지 못하면 통증이 생긴다.  타박상(打撲傷)에서 오는 통증은 죽은 피가 몰려서 기운이 자연히 순환(循環)되지 못하여 생기는 통증이다.  신경(神經)의 열이 수기를 받지 못하면 통증이 풀리지 못하여 정기가 서로 위배 되므로 화기가 수기와 합하지 못하여  신경에서 오는 자극이 뇌에 이른다.  그러므로  기운은 천지의 생명이자 만물의 생명이다.  기운이 강하면 영(靈)도 강해진다.  천하의 영웅인 삼국시절의 조조(曹操)도 노쇠하여 기력이 부족해지니 영력이 감퇴되어  배나무 동토(動土)로 세상을 떠났다.  그러므로 아무리 영물이라 해도 노쇠해지면 영력이 감퇴된다.  신성(神聖)이신 공자 꼐서도 73세 후에 탄식하시기를 “나는 덕(德)이 쇠하였도다.  꿈에 다시 주공을 뵙지 못함이여” 하시고 순(舜)임금 께서도 100세 후에는 기력이 쇠하고  정신이 부족해서 천하의 일을 결단할 수 없게 되었었다.  대성도 노쇠시에는 모든 물기운은 올라가고 불기운이 내려오는 수승화강의도(水昇火降之道)가 부족하여  온몸이 안아픈 곳이 없고 병들지 않은 곳이없다.  동물들은 늙으면 반드시 수기가 화기를 제지하지 못하여 통증을 가지게 된다.  그러니 모든 중생은 부지런히 운동을 하고 몸에 적당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  너무 과로하여 몸의 온도가 과열되면 열극생냉(熱極生冷)하니라.  사지(四肢)가 도리어 허냉(虛冷)해 지고 또한 냉이 극에 달하면 냉극발열(冷極發熱)하니 곧 허열(虛熱)이다.  사람은 육신 세계에서 살더라도 정신 세계는 잊지 말아야 한다.  정신이 육신을 위하여 한시도 떠나지 아니하면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정신이 번뇌만상(煩惱妄想)에 시달리지 않도록 사는 것이  현명(賢明)한 사람의 삶이다.
    인산학구세신방
  • 14. 인간의 병(病)은 주의 부족으로 발생  인간의 병은 자신이 주의를 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것이 많다.  즉  지나친 담배,  지나친 술,  지나친 호색,  지나친 노역,  지나친 번뇌(煩惱),  지나친 공상등이다.
    인산학구세신방
  • 13. 인간세계에서 영(靈)을 실감케 하는 예  인간세계에서는 영(靈)의 존재를 실감케 하는 예가 있으니 때로는 선영(先塋)의 영혼이 후손을 익사케 하고 혹은 매몰케 하는 일도 있는 것이다.  하늘은 전류(電流)의 흐르는 기운과 같고 조화(造化)는 신룡 만능(神龍萬能)의 힘과 같으니 이것은 사람의 지혜로서는 알기 어려운 것이다.
    인산학구세신방
  • 5. 간암(肝癌)에 대하여
    5. 간암(肝癌)에 대하여  그러므로 간암(肝癌)은 청색소(靑色素)가 고갈(枯竭)되어 색상(色象)과 영소(靈素)가 다(盡)하면 기진 맥진(氣盡脈盡)하여 생명(生命)이 끊어지게 된다.
    인산학구세신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