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체질'(으)로 총 14 개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게시물 통합 총 14개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O형 체질의 쑥뜸 火毒 푸는 법   O형 피가 30%인데 70%가 딴 피게 되면 가상[가령] 다른 사람이 1천장을 뜰 수 있으면 [O형은] 5백장이 넘으면 벌써 부작용이 와. 그리고 2~3백장에 멎으면 건강을 회복할 수 있는 사람이 많아요.   그러니 O형은 전체적으로 소양하고 가찹다는 걸로 봐야 되겠고.   나는 일생에 약만 가지고 실험이 아니라 뜸 뜨는 덴 O형은 너무 많이 뜨면 부작용이 누구도 와요.   그러고 A형이 많이 떠서 부작용은 별로 없어요. 가상 젊어서 건강을 위해서 좋다는 말만 들으면,   젊어서 피가 심장부에 37˚인데 36˚ 7부에서 37˚ 온도를 가진 사람이 뜸을 많이 떠 가지고 40˚에 올라갈 때엔 전신이 불같이 끓는데 부작용이 없을 리가 있어요?   젊은 세대, 한 20, 30대에 한꺼번에 뜸을 많이 뜨면 좋다고 떠 가지고 고생하는 사람, 생강 · 대추 · 원감초에 석고(石膏)를, 감초 5돈이면 석고도 5돈 넣고 흠씬 고아 놓고 차로 마시고 그러면 화독(火毒)이 금방 풀려요.     또 심한 사람은 생강 · 대추 · 감초 다 1냥씩 넣고 석고도 1냥, 내가 석고 1냥 반을 뜸 많이 뜨다가 부작용이 와 가지고 1년 반 만에 완전 회복된 사람이 지금 몇 사람이 있어요.   그건 진짜 소양에 가차운 사람. 그런 사람 뜸을 많이 떠서 까딱하면 죽어요.   그러니 뜸이 아무리 좋아도 그 혈액형을 분명히 알아야 돼요. 그래서 그 혈액형을 무시하는 사람은 반드시 위기에 처할 땐 석고 안 들어가면 안돼요.
    인산의학쑥뜸
  •                            수행인의 健康學(92)                                       체질에 따른 公害毒 예방과 대책      집오리등으로 諸病의 뿌리인 公害毒 다스려야   지난 17일의 강연회에서 O형의 혈액형(대개 少陽체질임)을 가진 사람들은 다른 혈액형에 비해 공해독의 피해로 암 . 난치병에 걸릴 확률이 높다는 점을 천명하였더니 그 원인과 대책에 대해서도 밝혀달라는 질문이 쇄도하였다. 혈액형은 크게 네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가운데 순수 유형을 1백으로 가정할 경우 1백%의 순수 O형은 페니실린 주사를 맞거나 감기약을 먹고도 절명할 수 있는 지극히 민감한 체질이다. 순수 O형은 오늘날 생존자가 거의 없을 것으로 본다.    요즘 각종 암과 난치병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90% O형 들이다. 인삼차(人蔘茶)만 마셔도 가슴이 답답하고 숨이 막히며, 혀가 오그라들고 머리가 아프며 눈앞이 캄캄해지는 사람들이 90% O형에 해당된다. 오늘날 이같은 체질을 가진 사람들이 간암에 걸려 스러져가는 현상을 자주 보게 된다.   그것은 연약하고 민감한 혈액으로 급증하는 공해독을 버터낼 수 없기 때문이다. 체내에 침투된 독성을 미쳐 해독(解毒)하지 못함으로써 우선 간(肝)이 병들게 되는 것이다.    이대로 대책을 세우지 않고 있다가는 앞으로 체내 독성의 증가로 길가다가도, 잠을 자다 가도 피를 토하고 죽게 될지도 모른다. 물론 여기서는 체질이 가장 민감한 소양체질 만을 언급하였지만 시간의 선후(先後)만 다를 뿐 다른 체질 역시 마침내는 공해독을 이기지 못해 비참한 최후를 맞게 될 것이다.    몰라서 못하는 것이야 어쩔 수 없겠으나 치료 내지 예방방법을 알면서도 동포들이 무수히 희생되어 가고 있음을 속수무책으로 지켜보고 있으니 안타까울 뿐이다.   가벼운 감기에 걸려서도 치료가 되지 않아 고생하는 사람들에게 공해독을 풀 수 있는 마황(麻黃)과 생지황(生地黃)을 감기약에 가미하여 써보면(처방명=靈神解毒湯) 효과가 빠름을 볼때 현대의 거의 모든 질병의 뿌리는 공해독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선은 자신의 체력이 떨어져 결정적인 공해독의 피해를 보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오늘날 현대인들은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도 주의해야 하겠지만 그보다는 체력이 떨어지는 것을 틈타 인체에 치명적 피해를 입히는 공해독을 더욱 주의해야 한다.   공해독으로부터 인명(人命)을 구제하려면 집오리와 동해산 마른명태, 밭마늘, 참옷, 죽염 등을 이용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가장 효과적이라 하겠다.   공간색소중의 산삼분자(山蔘分子)등을 합성, 이용하는 것은 2년여의 세월이 소요될 뿐아니라 많은 경비가 들므로 개인적으로는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선은 주변에서 그나마 쉽게 구할 수 있는 집오리 등의 체내에 함유된 극강한 해독제(害毒劑)를 이용하라는 말이다.   최소한 한달에 한번 정도는 집오리와 마른명태를 1마리 이상 삶아서 먹어둘 필요가 있으며 식탁에서 가능한 한 가공식품을 줄이고 천연식품을 올리도록 하되 죽염을 하루 3숟갈 이상씩 복용토록 한다. 그리고 집안에 감초1냥(한줌) + 생강1냥(한줌)을 함께 달인 차가 떨어지지 않도록 늘 끓여두고 먹도록 한다. 농약독이나 중금속 독을 최소화하고 해독제를 늘리라는 말이다.                                        修行人の 健康學(92)                              体質による公害毒、予防と対策。                                家で飼うアヒル等で 諸病の根である公害毒を治療する。           去る17日の講演会でO型の血液型(たいてい少陽体質)を持った人々は他の血液型に比べ て公害毒の被害で   癌、難病にかかる確率が高いという点を闡明したら、その原因と対策 に対しても明らかにしてくれると言う質問が殺到した。                      血液型は大きく四種類の類型で分類される。 このなかで、純粋類型を100で仮定する場合、100%の純粋のO型はペニシリン注射を 打つとか風邪薬を飲んでからでも絶命するくらい極めて敏感な体質だ。純粋O型は今日、生 存者がほとんどいないと思う。   このごろ、各種の癌と難病で苦労する人々は大部分90%のO型だ。人参茶だけ飲んでも胸が 息苦しくて息が詰まって, 舌が縮んで頭が痛くなり、目の前がまっ暗になる人々が90%のO 型に当たる。今日このような体質を持った人々が肝臓癌にかかって倒れてしまう現象がよ く見られる。               それは、弱くて敏感な血液で急増する公害毒に勝つ力がないからだ。体内に浸透さ れた毒性をまだ、解読(解毒)できないことで、まず肝腸が病むようになるのだ。   このまま対策を立てていないことでは、体内毒性の増加で,道端でも眠っていながらも血を 吐いて死ぬようになるかも知れない。もちろんここでは体質が一番敏感な素養体質を言及 したが時間の先後が違うだけ他の体質もついには公害毒を勝つことが出来ず、惨めな最後 を迎えるようになるでしょう。            分からないからできないこととは、仕方ないが治療あるいは、予防方法が分かって いながらも同胞たちが無数に犠牲されて行くことをお手上げで見守るということははがゆ い。      軽い風邪をひいても、治療できず、苦労する人々に公害毒を解くことができる麻黄と生地 黄を風邪薬に加味して、使って見ると、(処方名=霊神解毒湯)效果が早いということを見れ ば、時現代のほとんどの疾病の根は、公害毒にあることが分かる。         したがって、まずは、自分の体力が劣って決定的な公害毒の被害を受けないように細 心な注意が必要だ。今日、現代人たちは、ウイルスによる、感染も気を付けなければなら ないが、それよりは、体力が劣ることを乗じて、人体に、致命的被害を与える、公害毒に もっと気を付けなければならない。   公害毒から人命を救済しようとすれば、家で飼うアヒルと、東海産の乾燥された明太、畑 のニンニク、うるし、竹塩などを利用するのが、現在としては一番、效果的とする。             空間色素の中の山の人参分子(山蔘分子)などを合成、利用することは、2年余りの歳月 が必要となるのみならず、多い経費がかかるので、個人的には難しいことになるのだ。   したがって、まずは、周辺でそれでも手に入りやすい、アヒルみたいな体内に含有された 強い解毒剤を利用することだ。        最小限、ひと月に一回位は、アヒルと乾燥した明太を一匹以上、煮って、食べておく必 要があり、食卓で、できるだけ加工食品を減らし、天然食品を食べるようにするが、竹塩 を一日3さじくらいずつ服用するのがいい。そして、家に甘草1両(一握り)+生姜1両(一握り) を一緒に煎じたお茶が断たないように、常に沸かしておいて飲むのがいい。   農薬の毒、重金属の毒を最小化して解毒剤をふやすようにという話だ。      일본어 번역 <윤수정>     흐르는곡 : 삶. 소유 / 안수련 해금연주곡    
    증득의장수행인의 건강학
  • 체질테스트 나의 체질은 과연 어느 쪽일까? 체질 테스트를 한번 해보도록 한다. 다음은 체질을 판단하는 데 주요한 지표에 해당하는 것들로 만든 설문이다. 각 문항은 보통 네개의 보기가 있는데, 그중에서 자신의 특성과 가장 가깝다고 생각하는 것을 골라 표를 해보자. 해당되는 보기가 없으면 그냥 넘어간다.   1.당신의 체격은 어디에 다음 중 어디에 해당됩니까 ? (1) 허리와 배가 발달되고 상체가 약한 편이다. (2) 상체보다 하체가 발달되어 있다. (3) 가슴이 발달되고 허리 밑부분이 빈약한 편이다. (4) 두부(머리)와 목덜미가 발달되고 허리 부분이 약하다. 2.전체적인 외모와 골격은 어디에 해당됩니까 ? (1) 골격이 굵고 살이 찐 편이다. (2) 골격이 적고 균형이 잡혀있다. (3) 보통이며 다부진 체격이다. (4) 키가 크고 수척한 편이다. 3.당신의 몸에서 외관상 가장 발달된 부분은 ? (1) 허리와 엉덩이 (2) 엉덩이 (3) 가슴 (4) 머리 4.당신의 걸음걸이는 다음 중 어디에 해당됩니까 ? (1) 걸음이 느리고 무게있게 걷는다. (2) 걸음걸이가 자연스럽고 얌전하다. (3) 걸음이 빠르고 몸을 흔든다. (4) 걸음이가 꼿꼿하다. 5.당신은 다음중어디에 해당됩니까 ? (1)평소에 땀이 많고 땀을 흘리면 오히려 상쾌해진다. (2)평소에 땀이 많지 않고 조금만 땀을 내도 피곤하다. (3)(4)땀이 특별히 많은 편이 아니며,땀을 흘려도 그다지 피곤하지 않다. 6.당신의 얼굴은 다음중 어디에 가깝습니까 ? (1)얼굴의 윤곽이 뚜렷하고 의젖하다. (2)얼굴의 윤곽이 갸름하고 둥글다. (3)얼굴이 다소 길고 머리가 앞뒤로 나와 있다. (4)머리가 크고 정수리가 솟아 있다 7.당신의 얼굴의 색깔은? (1)갈색 혹은 검은빛이다. (2)황백색이다.  (3)흰색 혹은 붉은 빛이 돈다. (4)흰편이다. 8. 당신의 얼굴은 다음 중 어디에 해당됩니까? (1)이목구비가 크고 입술이 두텁다. (2)눈, 쿠, 입이 대체로 작고 섬세한 편이다. (3)입이 크지 않고 턱이 뽀족한 편이다. (4)이마가 넓고 광대뼈가 나와 있다. 9. 당신의 눈빛은 다음 중 어디에 가장 가깝습니까? (1)눈빛이 밝지 않고 침침하다. (2)눈빛이 순하고 눈웃음을 잘 짓는다. (3)눈빛이 반사적이고 예리하다. (4)눈에서 빛이 난다. 10. 당신의 가슴? (1) 넓고 잘 발달되었다. (비만형) (2) 빈약하고 구부정하다. (세장형) (3) 넓고 튼튼한편이다. (근육형) (4) 가슴이 벌어지고 견실하다. 11. 당신의 손과 발은 ? (1) 손발이 따뜻하나 겨울에 잘 튼다. (2) 손발이 차고 겨울에 잘 트지 않는다. (3)(4) 손발이 따뜻한 편이다. 12. 당신의 피부는 ? (1) 두텁고 땀구멍이 크다. (2) 부드럽고 땀구멍이 작다. (3) 희고 마른 편이다. (4) 부드럽고 마른 편이다. 13. 당신의 음성은 다음 중 어디에 해당됩니까 ? (1) 음성이 탁하다. (2) 조용한 편이다. (3) 카랑카랑하다. (4) 굵고 성량이 풍부하다. 14. 말을 할 때 평소 습관은 ? (1) 말수가 적고 간혹 더듬기도 한다. (2) 말이 많지 않으나 가까운 사이와는 말을 많이 하는 편이다. (3) 말이 많고 함부로 막하는 편이다. (4) 수다스럽지는 않지만 누구한테건 거리낌없이 말을 한다. 15. 당신의 대변상태는 다음 중 어디에 해당됩니까? (1) 변비가 자주 오는 편이다. (2) 대개는 변이 무르고, 혹시 변비가 있어도 그다지 불쾌감은 없다. (3) 약간의 변비만 있어도 고통스럽다. (4) 변보기가 부드럽고 양이 많다. 16. 평소 건강에 별 이상이 없는 때에도 자주 느끼는 증상이 있다면, 다음 중 어느 것입니까 ? (1) 가슴이 두근거린다. 눈이 쉽게 피로하거나 아프다. (2) 한숨을 잘 쉰다. 손발이 떨린다. (3) 건망증이 있다. (4) 가슴이 답답하고 막힌 듯하다. 다리에 힘이 없어 오래 걷지 못한다. 17. 평소에 잘 나타나는 병증으로 어떠한 증세가 있는가? (1) 가슴이 뛴다. 감기, 변비, 눈병, 설사, 갈증. (2) 소화이상. 신경예민, 설사, 요통, 팔다리에 힘이 없다. (3) 변비, 건망증, 구역감, 코피. (4) 요통, 하지무력, 목에 이상감각 또는 심한 구토로 음식물을 삼킬 때 불편하다. 18. 당신의 기질이나 성격으로 장점이라고 생각되는 것은? (1) 정직하고 과묵한 편이다. 매사에 신중하여 주위 사람이 보기에 믿음 직스럽게 행동한다. 예의 바르고 점잖게 처신한다. 불필요하게 일을 벌이지 않으며, 일을 할때는 꾸준한 노력과 인내심으로 잘 해낸다. (2) 성격이 온순하고 침착하며 사교적이다. 판단이 빠르고 생각이 치밀 하고 조직적이어서 학구적인 분위기가 있다. (3) 매사에 활동적이고 열성적이다. 봉사정신이나 의협심이 강하고 솔직 담백한 성격이다. 다정다감하여 인정이 많고 이해타산에 얽매여 행동 하지 않는다. (4) 명석하고 창의력이 뛰어나며 호탕한 성격이다. 강한 성격이고 적극적 이고 진취적이며 과단성이 있다. 행동에 거침이 없고 친하든 그렇지 않든 불문하고 남과 잘 사귀는 편이다. 19. 당신의 기질이나 성격으로 단점이라고 생각되는 것은? (1) 보수적이고 변화를 싫어한다. 밖의 일보다 집안일을 중시하고 활동을 싫어한다. 점잖은 듯하나 의심이 많아 음흉하고 욕심이 많다. 운동보 다는 오락을 좋아한다. 겁을 잘내고 게으른 편이다. (2) 내성적이고 수줍음이 많아 자기 의견을 잘 표현하지 않는? 소극적 이고 여린 성격이어서 추진력이 약하다. 개인주의나 이기주의가 강하 고 이해타산에 매여서 행동하는 편이다. 질투심이나 시기심이 많고, 한번 감정이 상하면 쉽게 풀리지 않고 오래간다. (3) 바깥일에만 분주하여 가정이나 자기 일은 소홀히 한다. 행동이 날래 고 경솔하다. 매사에 시작은 잘하나 마무리가 부족하고 싫증을 잘 느 끼며 쉽게 체념한다. (4) 계획성없이 무조건 하고 일을 추진한다. 자신의 잘못을 후회하거나 인정할 줄 모른다. 일이 마음먹은 대로 잘 안되면 남에게 화를낸다. 세심한 면이 부족하고 치밀하지 못하다. 20. 다음 음식물 중 좋아하는 음식물이 가장 많이 들어 있는 항목은 ? (1) 밀가루 음식, 콩, 고구마, 땅콩, 설탕, 쇠고기, 우유, 버터, 치즈, 명란젖, 장어, 도라지, 당근, 더덕, 고사리, 연근, 토란, 버섯, 미역, 다시마, 김. (2) 찹쌀, 차조, 감자, 닭고기, 개고기, 참새고기, 꿩고기, 양젖, 염소고 기, 양고기, 벌꿀, 명태, 도미, 조기, 멸치, 민어, 미꾸라지, 시금 치, 양배추, 미나리, 파, 카레, 후추, 마늘. (3) 보리, 팥, 녹두, 돼지고기, 계란,오리고기, 생굴, 해삼, 명게, 전복 새우, 게, 가재, 복어, 잉어, 자라, 가물치, 가자미, 배추, 오이, 상추, 우엉, 호박, 가지, 당근, 생맥주, 빙과류. (4) 모밀, 냉면, 새우, 조개류,(굴, 소라, 전복), 게, 해삼, 붕어, 순채 나물, 기타 소채류. 21. 다음 중 당신이 좋아하는 과일이 가장 많이 들어 있는 항목은 ? (1) 밤, 잣, 호도, 은행, 배, 매실, 살구, 자두. (2) 사과, 귤, 도마도, 복숭아, 대추. (3) 수박, 참외, 딸기, 바나나, 파인애플. (4) 포도, 머루, 다래, 감, 앵두, 모과. 22. 당신이 좋아하?않거나, 알레르기를 일으킨 적이 있거나, 당신에게 잘 맞지 않는 음식이라고 생각되는 식품이 있는 항목은 ? (1) 닭고기, 달걀, 돼지고기, 개고기, 염소고기, 사과, 커피, 삼계탕, 인삼차, 꿀, 생강차. (2) 냉면, 참외, 수박, 찬 우유, 빙과류, 생맥주, 보리밥, 돼지고기, 오징어, 밀가루 음식. (3) 맵고 짠 음식, 닭고기, 개고기, 노루고기, 염소고기, 꿀, 인삼, 엿, 땅콩. (4) 맵고 짠 음식, 뜨거운 음식, 지방질이 많은 음식, 쇠고기, 설탕, 무우, 조기 23. 음식물에 대한 당신의 기호는 ? (1)(2) 따뜻한 음식을 좋아한다. (1)(3) 찬 음식을 좋아한다. (3)(4) 시원한 음식을 좋아한다. 판 정 1 이 압도적으로 많으면 태음, 2 면 소음, 3 이면 소양, 4 면 태양에 해당된다. ( 5번, 11번 문항에서 3,4로 표시된 것은 소양, 태양 둘 다 해당된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1 이 14개, 2 가 6개, 3 이 2개, 4 가 1개였다면 태음체질이다. 어느 번호도 압도적으로 많지 않다면, 이 테스트로는 정확히 판정하기 어려우니 전문가의 판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아주 간편하게 체질을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이긴 하지만, 이 테스트를 사용하는 방법도 약간의 문제는 있다. 그 중 하나는 경중을 따지지 않고 문제마다 동일한 비중을 두고 있다는 점이다. 즉 어떤 문제는 체질 판별에 중요하니 가중치를 크게 두고 어느 항목은 적게 두는 식으로 처리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또 한가지 문제는 자신에 대한 평가를 공정하게 하기 어럽다는 점이다. 자신은 자신의 성격을 이렇다고 생각하여도 사실이 그런지는 다른 얘기가 될 수 있다. 한 가지 요령은 자신이 스스로 답을 내어보고 나서, 자신을 잘 아는 가족에게 자신에 대해서 답을 내어 보라고 해서 참고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한의학방제학
  • * 아래 내용은 대한한의사협회 홈페이지에서 퍼 온 겁니다.   사상체질의학 1. 정의 체질은 사람의 본래 가지고 태어난 신체적 특징, 정신적 특징 그리고 그 외에 여러가지 다른 특징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체질은 병에 대한 저항력 또 병에 대한 반응을 포함한다. 그리고 체질이란 아무리 약을 쓴다고 해도 바꿀 수 없다. 다만 후천적인 노력으로 체질은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인간의 여러 특징은 유전되는 것이며 그 중 체질도 자손에게까지 전달된다. 즉, 체질은 환경에 의해서 좌우되지 않는 고유의 기질을 의미한다. 사상체질의학은 여러 체질론 가운데 가장 획기적이고 체계적인 이론으로 평가되며 거의 백년동안 수많은 임상실험을 통하여 정확성과 과학성이 입증되었다. 우리의 일상 체험에서도 체질에 따른 음식의 기호가 다르고 치유과정에 차이가 있음은 누구나 수긍하는 바이다. 그런데 이제마의 사상체질의학은 이론과 임상실제가 완전히 부합되어 현단계에서 우리가 갈망하는 체질의학의 결정판이라 할 수 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체질별로 잘 걸리는 병과 잘 걸리지 않는 병을 파악할 수 있고 또 병을 치료하는 방법과 평소에 건강을 관리하는 방법까지도 체계적으로 알 수 있다. 2. 기원과 역사 이제마의 생애와 저술시기에 대한 내용을 동의수세보원과 격치고 및 여러 서적을 통해 나타나 있는 것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한국 한의학의 새로운 장을 개척한 이제마(李濟馬;1937-1900)는 조선말기의 철학자이면서 의학자로서 호는 동무(東武)이고 1837년에 태어나 1900년에 세상을 떠났다. 그의 사상은 주로 『격치고(格致藁)』와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 잘 나타나 있다. 이제마는 천인성명(天人性命)의 이론적 체계를 바탕으로 사상인 장부성리(四象人 臟腑性理)의 특징을 발견하여 이를 의학에 적용함으로써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있어 새로운 발전을 가져 왔으며, 일상 생활 속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양생(養生)의 방법론(方法論)을 함께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의 탄생일화를 살펴보면, 할아버지 충원공의 꿈에 어떤 사람이 탐스러운 망아지 한 필을 끌고 와서 이 망아지는 제주도에서 가져온 용마인데 아무도 알아주는 사람이 없어 귀댁으로 끌고 왔으니 맡아서 잘 길러달라고 하고 기둥에 매 놓고 가버렸는데 꿈이 하도 신기하여 곰곰히 생각에 잠겨 있던 차에 밖에서 누가 급히 하인을 불러서 나가 보라하니 어떤 여인이 강보에 갓난 아기를 싸안고 들어왔고 충원공이 조금전에 현몽이 떠올라 모자를 받아 들이고 그 아이의 이름을 제주도 말을 얻었다하여 제마(濟馬)라고 명명하였다고 한다. 그의 일대기를 살펴보면, 1837년 함흥에서 탄생하여 39세에 무과에 등용하고 40세에 무위별선 군관입위하고 50세에 진해현감을 지내고 60세에 최문환의 난을 평정하고 정삼품 통정대부 선유위원을 지냈으며 61세에 고원군수를 지내고 62세에 모든 관직에서 물러나 62세에 일생을 마쳤다. 저서로는『천유초(闡幽抄)』, 『제중신편(濟衆新編)』, 『광제설(廣濟說)』, 『격치고(格致藁)』,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등이 있는데, 『천유초』는 훈고를 목적으로 지은 것이라 하며, 『광제설』은 양생의 교훈을 가르친 것인데 동의수세보원 후편에 첨부되어 있다. 『제중신편』도 도덕에 관한 글이며 오복륜(五福論), 권수론(勸壽論), 지행론(知行論)으로 되어있고 『격치고』 부록으로 첨부되어 있다. 『격치고』는 동무 도덕학의 대표적인 저술이며 <유략(儒略)>, <반성잠(反誠箴)>, <독행편(獨行篇)>의 세편으로 되어있으며, 후편에 『제중신편』과 『유고초(遺藁抄)』가 부록으로 첨부되어 전해진다. 『동의수세보원』은 1894년(甲午年)에 처음 지어졌으나, 이후 임상경험을 축적하여 1900년(庚子年)까지 성명론(性命論)부터 태음인론(太陰人論)까지 개초(改抄)하였고, 동무가 사망한후 그의 문도(金永寬 等)들에 의해 1901년에 처음으로 신구본을 합하여 율동계(栗洞契)에서 출판하였다. 이책은 사상의학의 원전으로 각자 체질을 안다면 예방의학적 양생를 강조하고 있다. 3. 기초이론 사상의학(四象醫學)은 종래의 견해에 비하여 현실적인 측면에서 독특한 '사상구조론'을 바탕으로 태양인(太陽人), 소양인(少陽人), 태음인(太陰人), 소음인(少陰人)의 네 가지 체질을 설정하고 각 체질에 대한 생리, 병리, 진단, 변증, 치료와 약물에 이르기까지 서로 연계를 갖고서 임상에 응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우수한 이론이라 할 수 있다. 4. 사상의학의 특징 1) 품수의학적인 면 품수(稟受)라 함은 체질은 선천적으로 결정되므로 부모와 조상의 특징을 생김새와 성품에서 질병의 경향에 이르기까지 전하여 받는다는 것으로서 이미 밝혀진 이러한 점과 연관되는 내용으로 사람마다 혈액형이 부모와 자식간에 일정한 규율에 따라 전해져 내려감을 알 수 있고, 부모가 혈압이 높거나 중풍을 앓는 사람들은 자식도 그러한 경우가 많고,소화기능이 약한 부모를 가진 사람은 다른 사람에 비하여 그 발병빈도가 높으며 색맹이나 혈우병 또는 정신질환에 있어서 자손에게 그 영향이 전해지는 유전적 소인이 있음이 밝혀진 것을 볼 때 이러한 품수에 대한 내용은 의학에 충분히 참고되어야할 가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2) 심신의학적인 특징 이제까지의 의학은 주로 우리의 눈이나 감각기관을 통하여 확인이 가능한 환자의 몸을 치료의 대상으로 삼았다. 그러나 우리 사람은 몸으로만 구성되어있는 것이 아니고 마음이 같이 있어야만 사람으로서의 가치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사람이 마음이 없고 몸만 있다면 다른 무생물과 다를게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병을 치료하는데 있어서도 몸과 마음을 동시에 다루어야 한다. 정신은 육체의 일부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고 동등한 비중으로 우리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까닭에 병을 유발시키는 과정에서도 중요한 작용을 하고, 체질형성에 있어서도 깊게 관여되어 있으므로 이를 중요시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서양의학에 있어서도 20C에 이르러 이와 유사한 이론이 태동되어 근래 각광을 받고 있으나 이러한 사고를 전혀 접할 수 없었던 19C말에 이와 같은 사고를 할 수 있었다는 것은, 그것도 몸과 마음이 동일한 비중을 지니면서 서로 가역적으로 작용한다는 주장은, 이제마의 예지에 참으로 뛰어난 점이 있음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3) 체질의학적인 면 이는 주로 치료면에 있어서 체질에 따라 그 특징이 차이가 있으므로 그 체질적 차이를 감안하여 동일한 병이라 하여도 치료방법 을 다르게 적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으로서 임상에서 많은 의사들이 실제 경험하는 어려운 점중의 하나가 바로 이것이다. 예를들어 같은 질병에 응용할 수 있는 A라는 약과 B라는 약이 있을 때 A라는 약을 투여하여 낫는 환자가 있느냐하면, A약이 전혀 효과가 없고 오히려 B약이 효과를 나타내는 경우를 접하게 되고 또는 A나 B가아닌 C라는 약으로만 효과를 보는 경우를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그 이유로 약의 작용기전의 차이 혹은 이를 받아들이는 인체의 개체성의 문제를 들 수 있다. 이제마는 바로 이러한 점이 체질이 다른데서 유래되는 것으로 파악한 것입니다. 약 뿐만 아니라 음식물에 있어서도 일상생활에서 여러분들이 경험한 예들이 있을 것입니다. 서양의학에서 많이 거론되는 알레르기 현상도 이러한 체질적 소인과 관계가 있음은 다시 말할 필요가 없을 것입니다. 5. 체질 감별법 1)외모로 체질을 구별하는 방법 (1) 태양인(太陽人) 용모가 뚜렷하고 살이 적으며, 머리가 큰 편이고, 목덜미가 실하다. 가슴윗부분이 잘 발달하고, 다리는 위축되어 보여 서있는 자세가 불안하여 하체가 약하여 오래 걷거나 오래 서 있기 힘들어 한다. (2) 소양인(少陽人) 가슴부위가 충실하고, 엉덩이 부위가 빈약하여 앉은 모습이 외롭게 보인다. 하체가 가벼워서 걸음걸이가 날샌편이다. (3) 태음인(太陰人) 키가 크고 체격이 좋고 골격은 건실하고, 목덜미의 기세가 약하고 살이 찌고 체격이 건실합니다. 허리부위의 형세가 충실하여 서있는 자세가 굳건하다. (4) 소음인(少陰人) 전체적으로 체격이 작고 말랐으며 약한 체형입니다. 앞으로 수그린 모습으로 걷는 사람이 많고 가슴둘레를 싸고 있는 자세가 외롭게 보이고 약하고. 엉덩이 부위는 큰 편이다. ※ 소음인의 외모와 태음인의 외모는 비슷한 점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2) 심성(心性)으로 체질을 구별하는 방법 (1) 태양인(太陽人) 성질재간 : 과단성 있는 지도자형이나 독재자형으로 사회적 관계에 능하고 적극적으로 남들과 교통한다. 일이 잘 되지 않으면 남에게 화를 잘 낸다. 항심 : 급박지심. 성격 : 항상 앞으로 나아가려고만 하고 물러서지 않는다. 용맹스럽고 적극적이며 남성다운 성격이다. 심욕 : 방종지심. 제멋 대로이고 후회할 줄 모른다. 독선적이고 계획성이 적으며 치밀하지 못하다. (2) 소양인(少陽人) 성질재간 : 굳세고 날래며 일을 꾸리고 추진하는데 능하다. 일을 착수하는데 어려워하지 않는다. 행동거지가 활발하고 답답해 보이지 않으며 시원시원하다. 항심 : 구심. 너무 쉽게 일을 벌이다보니 문제가 생길까 두려워하다. 성격 : 성격이 급하고 매사에 시작은 잘하지만 마무리가 부족하다. 벌여 놓은 일을 잘 정리하지 않고 일이 잘 추진되지 않으면 그냥 방치해 둔다. 다른 사람을 잘 도우나 집안 일에는 소홀하다. 심욕 : 편사지심. 이해타산이나 공사의 구분없이 기분이나 감정에 따라 일을 처리하게 된다. (3) 태음인(太陰人) 성질재간 : 꾸준하고 침착하여 맡은 일은 꼭 성취하려고 한다. 행정적인 일에 능하고 어떤 어려움이 있더라도 쉽게 포기하지 않는다. 결말짓지 못하면 못 견뎌한다. 항심 : 겁심. 어떤 일을 해보기도 전에 겁을 내거나 조심이 지나치면 아예 아무 일도 못한다. 성격 : 보수적이어서 변화를 싫어한다. 밖에서 승부를 내지 않고 안에서 일을 이루려 한다. 가정이나 자기 고유의 업무 외엔 관심이 없다. 심욕 : 물욕지심. 자기 일을 잘 이루고 자기 것을 잘 지키는 모습은 좋지만 자기 것에 대한 애착이 지나치면 집착이 되고 탐욕이 된다. (4) 소음인(少陰人) 성질재간 : 유순하고 침착하다. 사람을 잘 조직한다. 세심하고 부드러워 사람들을 모으는데 유리하고 작은 구석까지 살펴 계획을 세우는 편이다. 항심 : 불안정지심. 작은 일에도 걱정을 많이 하여 소화가 되지 않고 가슴이 답답해 진다. 성격 : 내성적이고 여성적이다. 적극성이 적고 추진력이 약하다. 생각이 치밀하고 침착하다. 개인주의나 이기주의가 강하여 남의 간섭을 싫어하고 이해타산에 얽매인다. 심욕 : 투일지심. 내성적이고 소극적이어서 안일에 빠지기 쉽고 모험도 꺼려서 성취할 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3) 병증으로 체질을 구별하는 방법 (1) 태양인(太陽人) 완실무병 : 소변량이 많고 잘 나오면 건강하다. 대병 : 8-9일 변비가 되면서 입에서 침이나 거품이 자주 나면 대병이다. 중병 : 열격증, 반위증, 해역증 (2) 소양인(少陽人) 완실무병 : 대변이 잘 통하면 건강하다. 대병 : 하루라도 대변을 못 보면 대병을 의심한다. 중병 : 대변을 2-3일 못 보아도 가슴이 답답하고 고통스러우면 중병. 대변을 못 보면 가슴이 뜨거워지는 증세를 보인다. (3) 태음인(太陰人) 완실무병 : 땀을 잘 배출하면 건강하다. 대병 : 피부가 야무지고 단단하면서 땀이 안 나오면 대병이다. 중병 : 설사병이 생겨 소장의 중초가 꽉막혀서 안개낀 것처럼 답답하면 중병이다. (4) 소음인(少陰人) 완실무병: 비위의 기운이 약하지만 제대로 움직여 음식의 소화를 잘하면 건강합니다. 대병 : 허한 땀이 많이 나오면 대병 중병 : 설사가 멎지 않아서 아랫배가 얼음장같이 차가우면 중병 function showSideViewForScrapInfo(curObj, userid, planetUserid, targetNick) { var sideView = new SideView('nameContextMenu', curObj, userid, planetUserid, '\uB9C8\uC74C\uC218\uB828', targetNick, 'zTLz', '', '\uC77C\uCE68\uBA85\uC758', "unknown"); sideView.hideRow("member"); sideView.hideRow("planet"); sideView.showLayer(); } function winPopup() { window.open('http://cafe.daum.net/_service/home?grpid=uEd5', 'DaumPlanet', 'width=936,height=672,resizable=yes,scrollbars=yes'); return; } 출처 : 名醫 아닌 明醫되기 원문보기 글쓴이 : 明醫 金 毘
    한의학방제학

신약의 세계 총 1개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산성체질을 개선하는 유황의 효능? 1. 유황은 질병치유의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광물질 유황은 만병을 물리친다는 천하의 명약으로 알려진 금단(金丹)의 주원료로 쓰여 왔을 만큼 그 약성이 매우 강하다. 고로 생체건강의 초대의 적이 되는 중금속, 화공약품 각종 농약 등의 공해물질의 오염에서 해방될 수 있는 신비한 해독(解毒)작용을 가지고 있어, 이 유황이야 말로 21세기의 필수 영양제라 아니할 수 없다. 2. 미국을 비롯해서 여러 나라의 대체의학 병원에서는 유황을 항암제, 염증치료제, 통증완화제, 류마티스 치료제, 우울증치료제, 피부경화 치료제로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다. 3. 유명한 영양학자 칼 파이퍼 박사는 유황이 생체에 필수영양소라 하였고 C.미첼 박사는 생체 정화 및 해독에 탁월한 요능이 있다고 했다. 또한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 페니실린(Penicillin), 돌부타미드, 설파민, 페노티아진(Phenithiajine), 등에는 상당히 많은 유황성분이 포함되어 있을뿐 아니라 조미료, 감미료, 표백제, 비료, 염료, 농약 등에도 유황성분이 이용되고 있는 사실을 볼 때 우리생활에 여러 면에 깊이 관여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4. 우리 몸에도 생체원소로서 수소(H), 산소(O), 질소(N), 유황(S), 나트륨(Na) 등 14종의 원소들은 주체적인 것들로서 그중 유황은 8번째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뼈나 피부, 머리카락에 많이 분포되어 있어 이로 인한 결핍으로 대머리, 손톱발톱의 각질화, 피부의 노화 등이 일어나게 되는 원인 물질이기도 하다. 5. 각종 암을 유발시키는 유해물질인 활성산소로 인해 건강한 세포를 손상시켜 노화와 치명적인 암을 유발하는 독성이 강한 히드록시 레디칼의 공격으로 부터 DNA를 보호해주는 글루타티온과 세포를 활성화하고 종양을 괴멸시키는 면역세포 TNF(종양괴사인자)를 증강시키는 큰 역할을 이 유황성분이 한다고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에서 실험결과 그 효능을 발표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김치, 된장, 간장, 치즈, 요구르트, 등은 유황 아미노산인 메치오닌(Methionine)에 의해 발효된 결과물 들이다. 6. 우리 선조들은 피부병이 발생하면 치료의 방편으로 쉽게 유황온천을 찾았다. 이는 생체의 표피층이 켈라틴(Keratin)단백질 구조로 되어 있으면서 주성분인 유황아미노산 시스테인(Cystine)이 맡아 피부에 누적된 유해물질을 정화 해독 시켜주기 때문이다. 또한 피부의 탄력성을 유지시켜 주는 것이 콜라겐(Collagen)의 기능성에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나 이 콜라겐 분자에 직접 관여하는 효소를 구성하는 여러 아미노산을 유황성분이 붙들어 주는 역할을 하고 있을 뿐 아니라 Beauty Mineral로 불려질 만큼 그 효능이 매우 크다. 7. 마늘속에 함유되어 있는 유황성분은 탁월한 해독작용을 가지고 있어 생선회를 먹을때에 겨자와 함께 섭취하는 것도 음식물중에 들어있는 독을 제거하고 살균을 위한 목적이다. 이와같이 파와 마늘에는 다량의 유황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각종 염증제거와 살균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유황은 대장경(大腸經)을 자극하여 체내의 유독가스와 노폐물을 배출하고 만성적인 숙변을 제거하여 몸안을 깨끗이 한다. 8. 신농본초경(神濃本草經)에서는 유황은 뼈를 강하게 하고 근육을 튼튼하게 하며 탈모를 방지한다 하였다. 이렇듯 전장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강골(强骨)의 처방으로서 자연산산골을 복용한 사실을 미루어 짐작컨데 유황은 뼈를 강하게 하고 골수를 충만하게 한다는 것 뿐만 아니라 항암작용과 각종 유해물질을 분해하여 생체내의 독성을 제거함과 동시에 각부분의 면역작용을 증대시켜 각종 질병에서 자유로워 질 수 있는 신비스로운 효능을 가지고 있다하여 지대한 관심과 함께 자못 그 기대가 크다 하겠다. 9. 이렇게 좋은 유황도 우리가 그냥 섭취할수 없지요 그냥 섭취하면 몸에 흡수가 잘안될뿐아니라 유황의 독성때문에 위험합니다 유황의 독성을 없애고 약성을 살리면서 섭취할수있게 법제된것이 바로 유황오리입니다 ★ 산성체질을 개선하는 유황오리의 효능 유황은 최상의 양(陽)덩어리이며 오리는 최상의 음(陰)덩어리입니다. 즉, 유황오리는 음양이 중화된 음식입니다. 건강한 사람은 물론 음과 양의 균형이 깨져 병이 있는 사람은 남자와 여자,어린이에게도 잘 받게 됩니다. 사람은 30세가 되면 자연히 양의 기운이 소진하게 됩니다. 그래서 나이가 들수록 양기가 소모되면서 정력(陽氣)이 약해지고 체질이 음화(陰火)되어 갑니다. 앞에서도 설명하였듯이 유황(陽,火)을 먹은 오리(陰,水)는 음과 양이 중화된 기 덩어리 음식입니다. 이 유황오리를 먹으면 순양(純陽)의 기가 극대화 되고 이로 인해 음(陰)기운을 안정시키고 양(陽)의 기운을 보충하여 음양의 조화를 이루는 효과가 있어 그야말로 노인에게는 정력을 보충하는데 많은 효과가 있는 것이고 남녀노소 어느누구나 먹을수 있는 최상의 음식인 것입니다. 또 유황오리는 냉한 체질을 개선합니다. 유황은 주기율표의 원소기호 16번 제6족 산소족에 속합니다. 산소족에 속한다는 것은 산소와 같은 성질을 가진 원소라는 것입니다. 산소가 없으면 불이 발생하지 않듯이 유황은 불과 친화력이 있어 불,양의 기운을 잘 끌어 당깁니다. 따라서 이러한 유황의 성질때문에 오리에 의해 독이 제거된 몸에 이로운 순수한 유황은 엄청난 양의 기운을 끌어 당길수 있는 요소를 포함하고 있기때문에 정력을 보충하는데 금상첨화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옛날부터 금단을 제조하는데 없어서는 안될 원료로 쓰여왔던 이유도 이러한 성질 때문입니다. 현대 고질병 원인인 각종공해, 찌든 독소등으로부터 건강과 생명을 위협받고 있습니다. 마시는 공기 물에서부터 발암물질과 중금속으로 오염이 되고 농산물은 농약의 공해독소로부터 벗어날 수 없어 마음놓고 먹지 못할 정도입니다. 화공약품피해자들이 많이 생겨나면서 말 못할 괴질에서 치유가 되지를 않고 고통을 겪으면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입니다. 유황먹은 오리에 대해 그 원리를 밝힌 유일한 문헌인 신약본초의 저자 김일훈 선생은 이 책에서 "알게 모르게 보음 보양하면서 해독시키는 것은 유황오리가 제일이다" "유황은 산삼보다 나은 보양제, 유황먹인 오리는 불로장생의 약이 된다." 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유황으로서의 엄청난 양의 기운을 완벽하게 흡수할 수 있는 완전한 유황법제가 지금까지 전해오지 않다가 인산선생에 의해 독극물인 유황이 살아있는 오리라는 생명체를 통해 법제되어 탄생된 것입니다. 그것은 살아있는 금단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완벽한 유황 법제법이 되었습니다. 유황을 1개월쯤 먹이게 되면 장 기능에 약성이 차게 되고 2~3 개월 후에는 살과 피에 약성이 고루 퍼져 6개월 이상이 되면 뼈까지 무독성의 유황성분이 분배됩니다. 유황오리에 때해서는 약간의 설명이 더 필요합니다. 물속에 사는 차가운 수성(水性)의 오리에게 더운 기운을 가진 (火性)의 유황을 먹이면 오리의 해독력이 유황해독을 중화시키면서 상승작용을 일으켜 최상의 해독력과 최대의 약성을 발휘됩니다. 그래서 각종 암,염증,요통,신경통,관절염,류머티즘은 물론 고혈압,동맥경화, 중풍,혈액순환 장애와 정력부족 증세를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효과가 생긴다는 것입니다. 다른 육류는 대부분 산성식품인데 비해 오리고기는 사람 몸에 맞는 약알카리성입니다. 오리기름은 인체에 소화가 잘되는 수용성입니다. 또한 불포화 지방으로 우리인체에 필요한 지방산인 리놀산과 리놀레인산을 함유하여 콜레스테롤 형성을 억제하고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기 때문에 동맥경화나 고혈압에 좋으며 불포화 지방산(45%)이 쇠고기나 돼지고기, 닭고기보다 월등히 높고 필수아미노산과 각종 비타민이 풍부합니다. 단백질은 쌀밥의 6배 대두의 1.4배이며 비타민은 닭고기의 3.5배나 됩니다. 특히 비타민C, 비타민B1, 비타민B2 등의 함량이 높아 지구력을 향상시키고 집중력저하를 막는 한편 만성피로를 몰아내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칼슘,인,철,칼륨 등도 많이 들어있어 중요한 광물질 공급원이기도 합니다. *유황오리는 체질개선을 하지요 산성체질을 건강체질인 약알카리체질로 개선시키는 기능이 있습니다 *또하나의 특징은 피를 맑게 하지요 피속의 혈전이나,콜레스트롤,중금속을 배출시키고 막힌 혈관을 뚫는 작용을 합니다 *산성체질,피가 탁한것,혈관이 막히거나 좁아진것에서 기인하는것,혈액순환 장애에서 기인하는것을 아주 효과적으로 개선시켜 건강을 되찾게 함니다 *담배,술때문에 나타나는 증상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킴니다 *우리 몸속에 중금속을 유황이 배출시키는 기능이 있습니다 *뼈를 튼튼하게 하는 작용이 있습니다 *유황온천이 피부에 좋은것 아시지요 당연히 피부에도 좋아요 피부가 자연스럽게 윤이나고 아름다워짐니다 *어혈배출작용도 합니다 우리는 21세기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옛날의 의학이 지금에 와서 잘 적용안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것은 옛날에 지금처럼 환경오염이 심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 환경적요인이 달라서 지금 우리들의 새로운 건강문제(환경오염,공해,중금속,환경호르몬~~~)를 해결하는데 잘 적용이 안되는 것임니다 유황오리가 바로 지금 우리들의 새로운 건강문제 (환경오염,공해,중금속,환경호르몬~~)을 해결할수 있는 하나의 해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신약의세계천연약선

증득의 장 총 3개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수행인의 健康學(92)                                       체질에 따른 公害毒 예방과 대책      집오리등으로 諸病의 뿌리인 公害毒 다스려야   지난 17일의 강연회에서 O형의 혈액형(대개 少陽체질임)을 가진 사람들은 다른 혈액형에 비해 공해독의 피해로 암 . 난치병에 걸릴 확률이 높다는 점을 천명하였더니 그 원인과 대책에 대해서도 밝혀달라는 질문이 쇄도하였다. 혈액형은 크게 네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가운데 순수 유형을 1백으로 가정할 경우 1백%의 순수 O형은 페니실린 주사를 맞거나 감기약을 먹고도 절명할 수 있는 지극히 민감한 체질이다. 순수 O형은 오늘날 생존자가 거의 없을 것으로 본다.    요즘 각종 암과 난치병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90% O형 들이다. 인삼차(人蔘茶)만 마셔도 가슴이 답답하고 숨이 막히며, 혀가 오그라들고 머리가 아프며 눈앞이 캄캄해지는 사람들이 90% O형에 해당된다. 오늘날 이같은 체질을 가진 사람들이 간암에 걸려 스러져가는 현상을 자주 보게 된다.   그것은 연약하고 민감한 혈액으로 급증하는 공해독을 버터낼 수 없기 때문이다. 체내에 침투된 독성을 미쳐 해독(解毒)하지 못함으로써 우선 간(肝)이 병들게 되는 것이다.    이대로 대책을 세우지 않고 있다가는 앞으로 체내 독성의 증가로 길가다가도, 잠을 자다 가도 피를 토하고 죽게 될지도 모른다. 물론 여기서는 체질이 가장 민감한 소양체질 만을 언급하였지만 시간의 선후(先後)만 다를 뿐 다른 체질 역시 마침내는 공해독을 이기지 못해 비참한 최후를 맞게 될 것이다.    몰라서 못하는 것이야 어쩔 수 없겠으나 치료 내지 예방방법을 알면서도 동포들이 무수히 희생되어 가고 있음을 속수무책으로 지켜보고 있으니 안타까울 뿐이다.   가벼운 감기에 걸려서도 치료가 되지 않아 고생하는 사람들에게 공해독을 풀 수 있는 마황(麻黃)과 생지황(生地黃)을 감기약에 가미하여 써보면(처방명=靈神解毒湯) 효과가 빠름을 볼때 현대의 거의 모든 질병의 뿌리는 공해독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선은 자신의 체력이 떨어져 결정적인 공해독의 피해를 보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오늘날 현대인들은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도 주의해야 하겠지만 그보다는 체력이 떨어지는 것을 틈타 인체에 치명적 피해를 입히는 공해독을 더욱 주의해야 한다.   공해독으로부터 인명(人命)을 구제하려면 집오리와 동해산 마른명태, 밭마늘, 참옷, 죽염 등을 이용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가장 효과적이라 하겠다.   공간색소중의 산삼분자(山蔘分子)등을 합성, 이용하는 것은 2년여의 세월이 소요될 뿐아니라 많은 경비가 들므로 개인적으로는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선은 주변에서 그나마 쉽게 구할 수 있는 집오리 등의 체내에 함유된 극강한 해독제(害毒劑)를 이용하라는 말이다.   최소한 한달에 한번 정도는 집오리와 마른명태를 1마리 이상 삶아서 먹어둘 필요가 있으며 식탁에서 가능한 한 가공식품을 줄이고 천연식품을 올리도록 하되 죽염을 하루 3숟갈 이상씩 복용토록 한다. 그리고 집안에 감초1냥(한줌) + 생강1냥(한줌)을 함께 달인 차가 떨어지지 않도록 늘 끓여두고 먹도록 한다. 농약독이나 중금속 독을 최소화하고 해독제를 늘리라는 말이다.                                        修行人の 健康學(92)                              体質による公害毒、予防と対策。                                家で飼うアヒル等で 諸病の根である公害毒を治療する。           去る17日の講演会でO型の血液型(たいてい少陽体質)を持った人々は他の血液型に比べ て公害毒の被害で   癌、難病にかかる確率が高いという点を闡明したら、その原因と対策 に対しても明らかにしてくれると言う質問が殺到した。                      血液型は大きく四種類の類型で分類される。 このなかで、純粋類型を100で仮定する場合、100%の純粋のO型はペニシリン注射を 打つとか風邪薬を飲んでからでも絶命するくらい極めて敏感な体質だ。純粋O型は今日、生 存者がほとんどいないと思う。   このごろ、各種の癌と難病で苦労する人々は大部分90%のO型だ。人参茶だけ飲んでも胸が 息苦しくて息が詰まって, 舌が縮んで頭が痛くなり、目の前がまっ暗になる人々が90%のO 型に当たる。今日このような体質を持った人々が肝臓癌にかかって倒れてしまう現象がよ く見られる。               それは、弱くて敏感な血液で急増する公害毒に勝つ力がないからだ。体内に浸透さ れた毒性をまだ、解読(解毒)できないことで、まず肝腸が病むようになるのだ。   このまま対策を立てていないことでは、体内毒性の増加で,道端でも眠っていながらも血を 吐いて死ぬようになるかも知れない。もちろんここでは体質が一番敏感な素養体質を言及 したが時間の先後が違うだけ他の体質もついには公害毒を勝つことが出来ず、惨めな最後 を迎えるようになるでしょう。            分からないからできないこととは、仕方ないが治療あるいは、予防方法が分かって いながらも同胞たちが無数に犠牲されて行くことをお手上げで見守るということははがゆ い。      軽い風邪をひいても、治療できず、苦労する人々に公害毒を解くことができる麻黄と生地 黄を風邪薬に加味して、使って見ると、(処方名=霊神解毒湯)效果が早いということを見れ ば、時現代のほとんどの疾病の根は、公害毒にあることが分かる。         したがって、まずは、自分の体力が劣って決定的な公害毒の被害を受けないように細 心な注意が必要だ。今日、現代人たちは、ウイルスによる、感染も気を付けなければなら ないが、それよりは、体力が劣ることを乗じて、人体に、致命的被害を与える、公害毒に もっと気を付けなければならない。   公害毒から人命を救済しようとすれば、家で飼うアヒルと、東海産の乾燥された明太、畑 のニンニク、うるし、竹塩などを利用するのが、現在としては一番、效果的とする。             空間色素の中の山の人参分子(山蔘分子)などを合成、利用することは、2年余りの歳月 が必要となるのみならず、多い経費がかかるので、個人的には難しいことになるのだ。   したがって、まずは、周辺でそれでも手に入りやすい、アヒルみたいな体内に含有された 強い解毒剤を利用することだ。        最小限、ひと月に一回位は、アヒルと乾燥した明太を一匹以上、煮って、食べておく必 要があり、食卓で、できるだけ加工食品を減らし、天然食品を食べるようにするが、竹塩 を一日3さじくらいずつ服用するのがいい。そして、家に甘草1両(一握り)+生姜1両(一握り) を一緒に煎じたお茶が断たないように、常に沸かしておいて飲むのがいい。   農薬の毒、重金属の毒を最小化して解毒剤をふやすようにという話だ。      일본어 번역 <윤수정>     흐르는곡 : 삶. 소유 / 안수련 해금연주곡    
    증득의장수행인의 건강학
  • 사상체질 분류법을 수정 보완한 것이 인산선생의 혈액형에 따른 사상체질론이다. 기존의 사상체질 분류법을 수정 보완한 것이 인산선생의 혈액형에 따른 사상체질론이다. 이제마의 사상체질론 중 소양인을 '비대신소(脾大腎小)' 소음인을 '신대비소(腎大脾小)'라 한 것은 소양인을 '심대신소(心大腎小)'로 소음인은 '신대심소(腎大心小)'로 고쳐야 한다.<인산의 사상체질 연구 참조> 체질을 모르거나 무시하고 약을 쓰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의료행위로 지양하지 않으면 안된다. 병의 상태와 환자의 정확한 체질을 숙지한 뒤에 그에 알맞은 치료를 해야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제시하는 체질들은 전통적 분류법과는 약간 다르다. 70여년의 구료(救療) 경험을 통해 직접 확인한 분류 방법이다. ※ 4가지 혈액형에 따른 특징 가) B형 : 본래부터 밀가루 음식을 즐기며 소화도 잘되고, 진한 인삼차를 먹으면 반응이 좋은 사람으로 소음인(少陰人, 신대비소 腎大脾小)을 말한다. 나) O형 : 꿀이나 진한 인삼차를 먹으면 두통이나 충혈 등 여러 가지 부작용이 생기며 소양인(少陽人 심대신소 心大腎小)을 말한다. <사상의학에 심장기운이 강한자를 소양인이라하지 않고(脾大腎小曰少陽), 이건 잘못된 거라. 비장(脾腸)을 내세우는 게 아니라 나는 심장을 내세워. 심장에 화기(火氣)가 콩팥의 수기(水氣)가 제거하지 않으면 반드시 이거는 위험한 인간이라. 그래서 모든 공해독에 가장 감염이 강해. 그런데 이런 사람은 뜸을 뜨게 되면 화독(火毒)이 심장부에 빨리 오기 때문에 아침에 자고 일어나면 골아프고 숨이차고… - 신약본초 중에서 -> 다) A형 : 본래부터 밀가루 음식을 즐기지 않고, 소화도 잘 안되며, 진한 인삼차를 복용해도 별 반응이 없는 사람으로 태음인(太陰人, 간대폐소 肝大肺小)을 말한다. 라) AB형 : 인삼, 부자를 쓰면 효과도 부작용도 없으며, 닭고기를 싫어하는 체질인데 이는 위의 세 가지 혈액형 중 음식의 기호나 인삼차의 반응이 가장 비슷한 혈액형의 용법을 사용하며 태양인(太陽人, 폐대간소 肺大肝小)이다. ※ 혈액형에 맞는 약재 ▷ 혈액형 B형(소음인, 腎大心小) 수기는 지나치고 화기는 모자라며 콩팥은 크고 심장은 작다. 신·방광(腎膀胱)은 흑색소(黑色素)를 위주한 합성물. 혈액형은 대개 B형이며 어떤 약이든 대체로 잘 받으며 보약으로는 인삼·부자를 쓴다. 식성을 물어봐서 같은 혈액형이라도 약쑥 같은 것은 양을 다르게 하는데, 또 그 체질에 좋은 약이 있고 아무런 효(效)를 못 보는 약이 있다. 가령 B형에게는 익모초 3.5근, 약쑥 1.5근 이상 쓰는데 이 혈액형에는 녹용은 별 효력이 없다. 인삼은 온중(溫中) 보양제(補陽劑)로 잘 맞는다. ▷ 혈액형 A형(태음인, 肺大肝小) 목기는 지나치고 금기는 모자라며 간장은 크고 폐장은 작다. 간·담(肝膽)은 청색소(靑色素)를 위주한 합성물. 혈액형은 대개 A형이며 보약으로는 녹용이 가장 좋고 속을 덥히는 데는 약쑥이 최고이다. 이 혈액형은 애엽(약쑥)이 아주 좋은 약이다. 애엽은 잠양(潛陽)인데 뒷받침이 없는 온중제(溫中劑)로 보양제(補陽劑)는 안된다. 허화망동(虛火妄動)에 온중(溫中)하여 잠양(潛陽)한다. A형은 태음인인데 노나무가 해되는 법이 없다. 또 간대폐소(肝大肺小)하여 정신병이 적다. 보리밥, 감자, 호밀귀리를 못 먹는다. ▷ 혈액형 AB형(태양인, 心大腎小) 금기(金氣)는 지나치고 목기(木氣)는 모자라며 폐장(肺)은 크고 간장(肝)은 작다. 폐·대장(肺大腸)은 백색소(白色素)를 위주한 합성물. 혈액형은 대개 AB형으로서 희귀한 편이며 좀체로 병에 걸리지 않으나 한번 병에 걸리면 맞는 약도 드물고 치료하기 어려운 체질이다. 병약과 보약으로 다 같이 쓸 수 있는 약의 제조 방법을 소개하겠다. 약쑥보다 익모초가 더 좋다. 약쑥이 주장을 못한다. 복숭아씨를 볶아서 껍질을 벗기는 동시 살구씨를 볶아 속껍질을 벗기고 뾰족한 끝을 자른 다음 이 두 가지를 가루로 만든다. 두 가지 가루 각각 1근과 다래 20근 및 설탕을 한 데 섞어서 단지에 넣고 당화시키면 곧 태양체질의 가장 이상적 약이 된다. 다래가 들어가는 관계로 여름이 아니더라도 혹 변질되는 수가 있으므로 먹을 만큼의 분량만 만드는 것이 좋다. ▷ 혈액형 O형(소양인) 화기(火氣)는 지나치고 수기(水氣)는 모자라며 심장은 크고 콩팥은 작다. 심·소장(小腸)은 적색소(赤色素)를 위주한 합성물. 혈액형은 대개 O형이며 보약(補藥)으론 녹용 익모초가 좋으며 인삼·부자(附子)·초오(草烏)를 쓰면 위험하다. 과일로는 배가 좋다. 이 혈액형은 약에 반드시 대추가 필요하다. 녹용이 맞으면 좋으나 3전 정도 실험 후에 쓴다. O형중 1/3정도가 녹용이 맞는다. 인삼과 꿀을 많이 먹으면 열(熱, 火)을 많이 받는다. 꿀은 간의 약이고, 인삼은 폐에 약이지만 O형이 먹으면 해롭다. 송근(松根)도 잘 안 듣는다. 35% O형이라도 65% 나머지 피가 인삼이나 꿀을 받아 들여서 끝까지 다 차면 그 다음은 O형 피로 꿀과 인삼에 적응하지 못하고 부작용이 온다. 녹각으로 설사하면 녹용은 더욱 심하게 설사한다. ※ 체질은 음식물을 통해서도 판별할 수 있다. 가루 음식을 좋아하면 소음체질, 좋아하지 않으면 태양·태음·소양체질이며 인삼을 써봐서 부작용이 생기면 소양체질, 몸에 잘 맞으면 소음체질, 효과도 부작용도 없으면 태양·태음체질로 판별하는 것이다. <신약, 신약본초, 암처방집, 민속신약 참조> 민간요법의 서적을 보면 지은이 마다 각자 자신의 체질 감별법이 최고 인양 이야기하고 있지만 많은 모순이 있다. 사람의 체질이라는 것은 위 4가지의 체질을 서로서로 한 몸에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 위의 체질 분류법도 완벽한 정답은 아니며 하나의 기준을 제시해 주고 있을 따름이다. A형은 밀가루 음식이 몸에 맞지 않다는 것은 하나의 기준이다. A형일지라도 밀가루 음식을 좋아하는 사람이 있다. 그 까닭은 B형의 성질의 피를 몸에 지니고 있다고 보면 된다. 사람은 아버지, 어머니에게서 내가 태어났으니 아버지와 어머니의 피의 성질을 모두 공유하고 생활한다. 어릴 때 혈액형이   A형이었는데 자라면서 혈액형이 B형 또는 O형으로 바뀌었다는 사람이 주의에 많을 것이다. 혈액형의 판정은 A형과 B형의 표준 혈청을 채취하여 서로 다른 혈액을 섞어서 응집의 상태를 보고 판단하는 것이기 때문에 혈액형의 검사방법은 예나 지금이나 큰 기술의 차이가 없다.   혈액형이 변한다는 사실은 실제로 변한다기 보다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혈액형의 성질을 서로 공유하다가 환경의 변화와 섭생의 변화가 보다 두드러진 혈액형을 나타내 보이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내 몸에는 꼭 한가지의 피의 성질이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의 성질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혈액형의 특징을 살펴 보아야 한다. 아버지가 A형이고 어머니가 B형일 때 아들이 O형이라면 100% O형의 피를 아들이 가지는 것이 아니고 A형, B형, O형 피를 서로 공유하는데 O형의 피의 성질을 많이 지녔기 때문에 O형으로 드러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A형 20%, B형 30%, O형 50%의 피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는 말이다.   여기에서 O형의 피의 성질이 90%를 넘으면 그 사람은 인삼이나 꿀을 먹으면 눈이 충혈되고 머리가 심하게 아픈 부작용을 호소하지만 O형이라도 이런 증상을 호소하지 않는 사람은 다른 혈액형의 성질을 많이 지녔다고 보면 된다. 그런데 서로 다른 혈액형을 공유하고 있는데 어떻게 혈액형의 응집이 일어나지 않는 가라는 반문을 할 수 있는데, 어디까지나 혈액형의 성질을 지녔다는 것이지 그것이 A형 23%, B형 25%, O형 52%의 형태로 정확하게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아버지의 외모와 어머니의 외모를 그 아들이 모두 닮는 것과 마찬가지로 그 혈액형의 성질도 서로 사이 좋게 공유하고 있다는 말이다. 위의 혈액형 분류법은 정답이 아닌 하나의 기준이며, 이 기준을 바탕으로 자신의 체질을 조금 더 파악하면 되는 것이다. 가령 B형의 사람이 인삼을 먹어서 열이 나거나 두통이 나면, 본인의 식성을 잘 살펴서 다른 혈액형의 약을 써보는 것도 필요하다. 즉 B형인데도 밀가루 음식을 싫어하면 A형에게 좋은 녹용을 써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혈액형으로 그 사람의 체질을 파악하면 일반사람들이 응용하기에 아주 쉽다. 기존의 맥을 짚거나 여러 가지 실험으로 사상체질을 파악하는 어려움을 피하고, 보다 확실하고 오류가 없는 혈액형에 따른 사상 분류법은 그 어떤 방법보다 정확하다. 기존의 방법으로는 제대로 본인의 체질을 감별하기 어렵다. 진맥이나 특정 테스트에 의한 체질분류는 상태에 따라 틀리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체질의 감별이 어렵다.   그리고 단정지어 당신은 태음인이라고 말할 수 있는 분류가 없다.   태음인에 가깝다고 말할 수 있을 뿐 그리고 태음인에 준해서 약을 사용할 수 있을 뿐 단정지어 100% 태음인이라는 것은 없다는 것이다.    
    증득의장신암론 공부방
  • 수행인의 健康學(31) 사상체질론(四象體質論)   약은 사람의 체질에 맞게 써야 한다. 체질은 크게 네가지로 나누어 소음(少陰), 소양(少陽), 노양(老陽), 노음(老陰) 으로 분류한다.   체질을 모르거나 무시하고 약을 쓰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의료행위로서 지양하지 않으면 안 된다.     병의 상태와 환자의 정확한 상황을 숙지한 뒤에 그에 알맞은 치료를 해야 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시하는 체질론은 전통적인 분류법과는 약간 다르나 60여 년의 임상경험을 통해 직접 확인한 분류방법이다.     ▲소양체질 : 화기(火氣)는 지나치고 수기(水氣)는 모자라며 심장은 크고 콩팥은 작다. 심 소장(心 小腸)은 적색소(赤色素)를 위주로 한 합성물. 혈액형은 대개 O형이며 보약(補藥)은 녹용, 익모초가 좋으며 인삼, 부자(附子)를 쓰면 위험하다. (O型)     ▲소음체질 : 수기(水氣)는 지나치고 화기(火氣)는 모자라며 콩팥은 크고 심장은 작다. 신 방광(腎 膀胱)은 흑색소(黑色素)를 위주로 한 합성물. 혈액형은 대개 B형이며 어떤 약이든 대체로 잘 받으며 보약으론 인삼, 부자를 쓴다.(B型)   ▲노양체질 : 금기(金氣)는 지나치고 목기(木氣)는 모자라며 폐장(肺)은 크고 간장(肝)은 작다. 폐 대장(肺 大腸)은 白色素를 위주로 한 합성물. 혈액형은 대개 AB형으로서 희귀한 편이며 좀체로 병에 걸리지 않으나 한번 병에 걸리면 맞는 약도 드물고 치료하기 어려운 체질이다. 병약과 보약으로 다 같이 쓸 수 있는 약의 제조방법을 소개하겠다. (AB型)   ―복숭아씨를 볶아서 껍질을 벗기는 동시 살구씨를 볶아 속껍질을 벗기고 뾰족한 끝을 자른 다음 이 두 가지를 가루로 만든다.     두 가지 가루 각각 한근과 다래 20근 및 설탕을 한데 썩어서 단지에 넣고 당화시키면 곧 노양체질의 가장 이상적인 약이 된다.     다래가 들어가는 관계로 여름이 아니더라도 혹 변질되는 수가 있으므로 먹을 만큼의 분량을 만드는 것이 좋다.     ▲노음체질 : 목기(木氣)는 지나치고 금기(金氣)는 모자라며 간장은 크고 폐장은 작다. 간 담(肝 膽) 청색소(靑色素)를 위주로 한 합성물. 혈액형은 대개 A형이며 보약으로는 녹용이 가장 좋고 속을 덮히는데는 약쑥이 최고이다.(A型) 체질은 음식물을 통해서도 판별할 수 있다.   가루 음식을 좋아하면 소음체질, 좋아하지 않으면 노양,노음,소양체질이며 인삼을 써봐서 부작용이 생기면 소양체질, 몸에 잘 맞으면 소음체질, 효과도 부작용도 없으면 노양, 노음체질로 판별하는 것이다.     金一勳  <仁山 암연구소장>
    증득의장수행인의 건강학

인산학 총 2개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인산(仁山) 선생은 일찍이 인간의 체질과 약과의 관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언급한 바 있다. "약은 사람의 체질에 맞게 써야 한다. 체질은 크게 4가지로 나누어 소양(少陽)·소음(少陰)·태양(太陽)·태음(太陰)으로 분류한다. 체질을 모르거나 무시하고 약을 쓰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의료행위로서 지양하지 않으면 안 된다. 병의 상태와 환자의 정확한 체질을 숙지한 뒤에 그에 알맞은 치료를 해야 하는 것이다." 이는 곧 사상체질론(四象體質論)에 입각하여 약을 써야됨을 논한 것이다. 사상체질론이란 곧 사상의학(四象醫學)에서 일컫는 말로서 인간의 체질을 크게 4가지로 나누어 '소양(少陽)·소음(少陰)·태양(太陽)·태음(太陰)'으로 분류한 이론이다. 사상의학을 제일 처음 논급한 이는 동무(東武) 이 제마(李濟馬:1838~?)이다. 이는 그의 저서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 잘 드러나 있다. 특히 사상체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언급한 곳은 동의수세보원의 '사단론(四端論)'조이다. 사상(四象)이란 본래 《주역(周易)》에서 나온 말이다. 주역 계사(繫辭) 상(上)에 보면 "역(易)에 태극(太極)이 있다. 이것이 양의(兩儀)를 낳고, 양의는 사상(四象)을 낳고, 사상은 팔괘(八卦)를 낳는다…"(易有太極, 始生兩儀, 兩儀生四象. 四象生八卦…)라 하고, 그 소(疎)에 보면 '금·목·수·화(金木水火)를 이름이니, 천지에서 부여받아 있게 된 것이므로 양의는 사상을 낳는다고 한 것이다.'(謂金木水火, 稟天地而有, 故云兩儀生四象)라 하였다. 이상에서 말한 사상을 가지고 사람의 체질을 분석하여 논급한 것이 곧 사상체질론(四象體質論)이다. 인산(仁山) 선생도 동무(東武)에 이어 일찍이 사상체질론을 언급한 바 있는데, 사상의학의 근저(根底)를 이루고 있는 동양철학적(東洋哲學的) 기조(基調)에 있어서는 동무와는 다른 독특한 일면을 보이고 있다. 선생의 사상체질론(四象體質論)을 살펴볼 수 있는 것으로는 선생의 저서《宇宙와 神藥》(16쪽)《神藥》(344쪽) 등을 들 수 있는데, 그 내용에 있어서는 모두가 대동소이(大同小異)하다. 이들 내용을 논의의 근거로 하되, 그 내용을 보완하는 의미에서 여기서는 되도록 사상체질론에 대하여 필자가 선생께 직접 문의하여 본 내용을 중심으로 하여 문답 형식으로 엮어 살펴보고자 한다. 사상체질론과 현대의학에서 분류하는 혈액형과의 관계는 어떻게 됩니까? "소양인(少陽人)은 혈액형 중에 O형과 유사하나, O형이 모두 소양인은 아니다. O형 가운데 3%정도가 진소양인이라 할 수 있다. 사람 피 중에 80%정도가 O형피라면 이는 진짜 소양인이라 할 수 있다. 소음인(少陰人)은 대체로 혈액형 중에서 B형 체질을 지닌 사람이다. B형 중 약 60~70% 정도가 소음인이라 할 수 있다. 태양인(太陽人)은 혈액형 중 AB형과 유사하나 이 중 1% 정도가 진짜 태양인이라 할 수 있다. AB형 이외의 다른 혈액형 속에는 태양인 체질이 전혀 없다. 태음인(太陰人)은 혈액형 중 A형과 유사형으로서 대체로 A형 가운데 60~70% 정도가 태음인이다. A형 중에는 순소음인(純少陰人)도 더러 있다."    사상체질의 식성(食性)과 약성(藥性)은 각기 어떻게 다릅니까? "소양인은 꿀을 먹으면 죽는 경우가 있으며, 페니실린 주사를 맞으면 숨이 넘어가는 경우도 있어 주의해야 될 체질이다. 식성은 냉물(冷物), 곧 찬 음식을 좋아하며, 보리밥, 감자 따위를 덜 좋아한다. 약성은 인삼·부자(附子)·초오(草烏)를 쓰면 대체로 위험하다. 보약으로 녹용·익모초가 대체로 몸에 맞는다. 소양인으로서 O형 피와 A형 피를 서로 비슷하게 함유하고 있는 경우는 인삼이 몸에 맞고, 녹용은 몸에 맞지 않는다. O형 피 40% 정도에 A형 피35% 정도로 서로 비슷하게 함유한 경우는 태음인(太陰人)에 가까워 녹용이 몸에 맞는다. O형 피 40% 정도에 B형 피 35% 정도를 함유한 경우는 소양인이나 소음인과 비슷하여 인삼과 부자가 모두 몸에 맞는다. 소음인은 대체로 모든 음식을 즐기는 편이나 그 중 밀가루 음식을 가장 즐기며, 보리밥과 감자를 좋아한다. 약성은 인삼·부자가 몸에 맞는다. 태양인의 식성은 찰밥·인절미 등 찰 것을 좋아하며, 감자·보리밥·밀가루 음식 등은 좋아하지 않는다. 특히 다래를 밥보다 좋아한다. 잘 익은 다래를 1년 먹어도 먹을수록 좋은 사람이 태양인 체질이다. 태양인은 눈 위에서 자도 병이 없고, 의리에 살며 소인·간신배 따위가 없다. 태음인의 식성은 과일 중 특히 복숭아를 잘 먹는다. 식성과 약성은 소음인과 반대이다. 혈액형이 A형이나 그 중 O형 피가 35% 정도 함유되어 있으면 녹용이 몸에 맞지 않는다. A형 피 40% 정도와 AB형 피 35% 정도를 함유한 경우에는 녹용이 잘 맞고, 인삼은 잘 안 맞는다. A형 피 40%정도와 B형 피 35% 정도를 갖추고 있는 이는 인삼이 잘 맞고, 녹용은 잘 맞지 않는다."     동무(東武) 이 제마(李濟馬)의 사상인변증론(四象人辨證論)에 의하면 사상체질을 체형(體形)으로도 구분하고 있는데, 사상체질의 각 체형은 어떠한지요?  "사상체질을 체형으로 구분하는 것은 잘 맞지 않는다. 대체로 식성과 약성 등으로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주역(周易) 계사상(繫辭上)의 소(疎)에 의하면, 사상(四象)을 오행(五行) 중 금·목·수·화(金木水火)로도 일컫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사상체질과 금·목·수·화는 개별적으로 어떻게 연관되는지요? 예를 들어 소양체질은 금·목·수·화 중 어느 것에 속하는 지요 "소양인은 화(火) 장부이고, 소음인은 수(水) 장부이고, 태양인은 금(金)장부이고, 태음인은 목(木) 장부이다. 이제마는 화(火)장부를 토(土) 장부라 하나 토장부는 소양인이 될 수 없다. 곧 이제마는 소양인을 비대신소(脾大腎小)라 하였으나, 이는 맞지 않는다. 심대신소(心大腎小:심장은 크고 콩팥은 작다)이다. 소양인은 화기(火氣)가 강하고, 수기(水氣)가 약한 열장부인데, 토(土)가 어떻게 열장부(熱臟腑)가 되겠는가? 화(火)가 열장부일 뿐이다. 이제마는 토(土:脾)와 수(水:腎)를 상극(相剋)으로 보았으나, 원상극(原相克)은 수와 화(火:心)이다. 사상은 인신사해(寅申巳亥) 사장생(四長生)으로 분류된다. 토(土)는 진술축미(辰戌丑未) 사고장(四庫藏)에 들므로 사상에 들지 않는다."     그렇다면 기존 이제마의 사상체질론과 달리 보시는 견해는 어떠한 것들인지 이를 비교적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이야기해 주십시오 "이제마는 그의 사상체질론에서 태양인을 폐대간소(肺大肝小:폐장은 크고 간장은 작다)라 하고, 태음인은 간대폐소(肝大肺小)라 하였다. 이에는 나도 동의한다. 그러나 소양인과 소음인에 대한 체질론에는 동의할 수 없다. 이제마는 소양인에 대하여 비대신소(脾大腎小:비장은 크고 콩팥은 작다)라 하고, 소음인에 대해서는 신대비소(腎大脾小)라 하였다. 그러나 사상은 사장생(四長生:寅申巳亥)으로 나누고, 사고장(四庫藏:辰戌丑未)은 사상(四象)에 들어오지 않는다. 그런데 이제마는 비장(脾臟:土)은 축미(丑未)인데 이를 사상에 넣고 있다. 사장생에서 인(寅)은 갑인(甲寅)이니 방위로는 동방이요, 장부(臟腑)로는 간장(肝臟)이다. 신(申)은 경신(庚申)이니 방위로는 서방이요, 장부로는 폐장(肺臟)이다. 사(巳)는 정사(丁巳)이니, 방위로는 남방이요, 장부로는 심장(心臟)이다. 해(亥)는 계해(癸亥)이니 방위로는 북방이요, 장부로는 신장(腎臟:콩팥)이다. 비·위(脾胃)는 토(土)로 중앙에 속하고, 사고장(四庫藏:辰戌丑未)에 들므로 이는 사상분류에 들어갈 수 없다. 사상분류는 모두가 밖이지 중앙은 아니다. 곧 동서남북의 변두리이지 중앙이 아니다. 비·위는 중앙장부인데, 이제마의 사상분류에는 중앙장부가 들어와 있으므로 이는 맞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제마의 사상체질론 중 소양인을 '비대신소(脾大腎小)' 소음인을 '신대비소(腎大脾小)'라 한 것은 소양인을 '심대신소(心大腎小)'로 소음인은 '신대심소(腎大心小)'로 고쳐 보아야 한다. 인·오·술(寅午戌) 삼합(三合)이오, 해묘미(亥卯未) 삼합이다. 삼합에는 사장생(四長生:寅申巳亥)·사장성(四將星:子午卯酉)·사고장(四庫藏:辰戌丑未)이 있다. 우주의 근본이 이것이다. 그러므로 천부경(天符經)에 '사성환(三四成環)'이라 하였다."     《神藥》책에 보면 혈액형이 O형인 사람에게는 그 처방에 있어서 '석고(石膏)'를 가미하게 되는데, 그 까닭은 무엇인지요? "석고의 약성은 찬 것이다. 차면서 다른 약의 중독성을 예방하며 다스린다. 또한 부작용이 안 오기 때문에 화기(火氣)를 막아준다. 또한 석고는 비·위(脾胃)를 돕는 약이다. O형은 화장부(火臟腑)이므로 조금이라도 더운 약이 들어가면 안된다. AB형·B형·A형 약에 석고가 들어가면 비·위가 차게되어 나빠지게 되나 O형은 화장부이므로 찬 것이 들어감으로써 도리어 좋아진다."     O형에 관한 보충 자료 O형 피가 몇 %있는 사람은 어느 때부터 죽기 시작하고 O형피 속에 B형피가 몇 %있는 사람은 언제 죽을 것이란 것은 판에 박은 듯이 분명한 것이니 그것이 바로 운명이야. 옛날에는 사주가 운명이지만 혈액의 조성비에 따라 죽는 날이 정해져 있으니 요즘은 그것이 운명이야. O형 피에 A형 피가 소량 있는 진짜 O형들은, O형피가 80%이상을 차지하면 나머지 3가지 피는 20% 이하인데 그런 사람은 이런 세상 공기를 몇 초만 들어마셔도 죽어버려. 그런 사람들은 해방 후 십년이 지난 뒤부터 하나하나 없어지기 시작하는 데 전체적으로 간암(肝癌)으로 죽어갔어. (민속신약 제3집 58쪽) 그리고 혈액형이 O형인 사람은 공해독의 피해를 제일 빨리 받는다. 또 일반 사람들의 신경통을 고치는 초오(草烏)가 있는데 아무리 법제를 잘한다고 해도 진성 O형이 초오을 먹으면 그 자리에서 즉사한다. 이렇게 약을 먹는 데에도 여러 가지 조심이 필요한 O형의 병을 잘못 다루면 아주 위험하다.(민속신약 제3집 110쪽) 광복 이후 급격히 늘어나는 각종 화공약독에 의해 이땅의 사람은 물론, 미물에 이르기까지 적잖은 피해로 신음하고 있다. 맹독성을 지닌 독소들이 핏속으로 스며들어 각종 암과 난치병을 일으켜 왔는데 그중 특히 반응이 민감한 소양(少陽)체질(대개 O형의 혈액형)의 사람들이 피해가 가장 심하다.(민속신약 제3집 119쪽) 내가 단전에 뜸 뜨는 걸 백 번 강조해도 좋은 이유가 그거이 힘이 얼마나 무섭다는 걸 우선 경험해 볼 필요가 있고. 그러나 O형 속에는 과히 뜨면 화독이 들어와요. O형은 소양(少陽)체질이 분명해요. 가짜 O형이래도 뜸을 많이 뜨면 심장부에 화기가 닿으면 부작용이 굉장히 커요. 거기에는 그 석고(石膏) 들어가는 좋은 약도 1년 반, 2년을 먹어야 화독을 푸는 수 있어요. 그렇게 진짜 O형은 무서워요. 진짜 O형(眞少陽人)은 지금 이 공기중에 O형 피를 녹이는 독소가 상당량이 있어요. 그래서 참으로 병 걸리면 힘들어요.(신약본초 777쪽) 공기 속에 색소(色素)가 있고 색소 중에 전분이 있고, 전분 속에서 분자가 이뤄져요. 그러면 그게 지금 소양인 분자, O형 분자지? 거 이뤄지는데. 그 분자세계에서 불순물이 게재되니 O형은 불순물 속에서 많은 사람이 먼저 죽어요, 이런데. 죽염을 부지런히 조금씩 자주 먹어 가지고 죽염에 대한 효능을 얻는 날이면, 그 대기층에 조직된 분자세계는 내거 되고 말아.(신약본초 745쪽) 우리 한국에 없기 때문에 그건 안되고 진짜 노나무 있어요. 개오동나무말고. 그러니 지금은 개오동나무 외엔 쓸 수 없어요. 노나무를 주장으로 쓰는 데 다른 혈액형은 노나무만 달여 먹어도 해롭지 않은데 O형 중에 진짜에 가차운 O형은 노나무를 달여 먹으면 몇 시간 안에 죽어 버려요. 그래서 다른 약물에 합성하되 석고가 노나무 5돈이면 석고도 5돈, 노나무 5냥이면 석고도 5냥을 넣어 가지고 처방을 한 약은 O형도 병 고쳐요. 그래서 O형의 처방은 상당히 신중해야 되요. 꿀을 먹고 골이 터지게 아프다, 숨차다, 그건 다 진성에 가까운 O형. 또 인삼차같은 거 먹고 답답하다든지 손발이 저리다든지 하면 그것도 O형에 좀 가까운 사람. 건 소양(少陽)에 가까운 체질인데, 그런 사람들은 각별히 주의해야 돼요. O형 속에는 진짜 소양에 가차운 사람이 있어요. O형은 전체적으로 소양하고 근사한 사람이오. 왜 그러냐? 단전에 뜸을 많이 떠 가지고 O형 체질엔 부작용이 전반적으로 와요. A형이나 AB, B형은 하나도 부작용이 오질 않고, 조금씩 떠 나가면 아주 좋은데 O형은 그렇게 떠 나가도 얼마간 가게 되면 O형 핏속에서 화기(火氣)를 받을 때에는 부작용이 와. O형 피가 30%인데 70%가 딴 피게 되면 가상[가령] 다른 사람이 1천장을 뜰 수 있으면 [O형은] 5백장이 넘으면 벌써 부작용이 와. 그리고 2~3백장에 멎으면 건강을 회복할 수 있는 사람이 많아요. 그러니 O형은 전체적으로 소양하고 가깝다는 걸로 봐야 되겠고. 나는 일생에 약만 가지고 실험이 아니라 뜸 뜨는 덴 O형은 너무 많이 뜨면 부작용이 누구도 와요. 그러고 A형이 많이 떠서 부작용은 별로 없어요. 가상 젊어서 건강을 위해서 좋다는 말만 들으면, 젊어서 피가 심장부에 37도인데 36도7부에서 37도 온도를 가진 사람이 뜸을 많이 떠 가지고 40도에 올라갈 때엔 전신이 불같이 끓는데 부작용이 없을 리가 있어요? 젊은 세대, 한 20, 30대에 한꺼번에 뜸을 많이 뜨면 좋다고 떠 가지고 고생하는 사람, 생강·대추·원감초에 석고(石膏)를, 감초 5돈이면 석고도 5돈 넣고 흠씬 고아 놓고 차로 마시고 그러면 화독(火毒)이 금방 풀려요. 또 심한 사람은 생강·대추·감초 다 1냥씩이 넣고 석고도 1냥, 내가 석고 1냥 반을 뜸 많이 뜨다가 부작용이 와 가지고 1년반 만에 완전 회복된 사람이 지금 몇 사람이 있어요. 그건 진짜 소양에 가까운 사람. 그런 사람 뜸을 많이 떠서 까딱하면 죽어요. 그러니 뜸이 아무리 좋아도 그 혈액형을 분명히 알아야 돼요. 그래서 그 혈액형을 무시하는 사람은 반드시 위기에 처할 땐 석고 안 들어가면 안돼요.(신약본초 608~609쪽) O형은 잘못하면 화장부(火臟腑)이기 때문에 뜸을 많이 뜨다가 심장마비 들어오면 또 가버리니까. 화장부에도 O형 피가 40%에 다른 형 피가 60%라 하면 뜸을 좀 뜰 수 있구, O형 피가 30%라 하면 뜸 떠서 효과 봐요. 그렇지만 60%를 뜸 뜨면 위험해요. 1백% O형은 없어요. 1백% O형은 숨도 못 쉬어요. 이 공기 중에 있는 O형을 죽이는 독이 얼마나 강한데 1백% O형이 세상에 살고 있지 않구, 90% O형이 광복 후에 10년안에 다 공해독으로 죽어 버리는데 내가 그걸 유심히 보면서 오늘까지 살아오는데 지금은 90%, 80% O형은 없어요. 전부 최고에 60%이하 그런 O형을 뜸 뜨라 하면 효과 있어요. 그것도 많이 뜨면 부작용와요.(신약본초 587쪽) O형은 쑥뜸을 떠도 녹내장, 백내장 완치가 어렵다. O형은 숨이 차고 골이 아플 때는 떠서는 안된다. O형 피에는 공해물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조상에서 오는 O형 피에는 잡기가 많다. 나쁜 기운이 모아진 사람의 피에 정상인의 피가 들어가면(수혈) 숨이 넘어간다. O형 피를 맑게 하는 데는 오랜 세월 뜸이 요구된다.(의약신성 305쪽) O형의 원소가 적색인데 고걸 방해물이 그 사람이 죽을 때 왔으니까 기분이 나쁘고 몸이 이상하고 그래가주고 밥맛이 떨어지면 이상해 들올 적에 그게 여기 공기 중에 적색을 없애는 흑색이 양(量)을 초과하게 들어간다? 그러면 인간으로서는 몰라. 귀신 밖엔 몰라. 그걸 어떻게 알겠나?(의약신성 202쪽)    
    인산학신암론
  • ※ 강연회에서 O형의 혈액형(대개 少陽체질임)을 가진 사람들은 다른 혈액형에 비해 공해독의 피해로 암·난치병에 걸릴 확율이 높다는 점을 천명하였더니 그 원인과 대책에 대해서도 밝혀달라는 질문이 쇄도하였다. 혈액형은 크게 네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 가운데 순수유형을 1백으로 가정할 경우 1백%의 순수 O형은 페니실린 주사를 맞거나 감기약을 먹고도 절명할 수 있는 지극히 민감한 체질이다. 순수 O형은 오늘날 생존자가 거의 없을 것으로 본다. (진성 소양) 요즘 각종 암과 난치병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90% O형들이다. 인삼차(人蔘茶)만 마셔도 가슴이 답답하고 숨이 막히며, 혀가 오그라들고 머리가 아프며 눈앞이 캄캄해지는 사람들이 90% O형에 해당된다.  오늘날 이같은 체질을 가진 사람들이 간암에 걸려 쓰러져가는 현상을 자주 보게 된다. 그것은 연약하고 민감한 혈액으로 급증하는 공해독을 버텨낼 수 없기 때문이다. 체내에 침투된 독성을 미처 해독(解毒)하지 못함으로써 우선 간(肝)이 병들게 되는 것이다. 이대로 대책을 세우지 않고 있다가는 앞으로 체내 독성의 증가로 길가다가도, 잠을 자다가도 피를 토하고 죽게 될지도 모른다.  물론 여기서는 체질이 가장 민감한 소양체질만을 언급하였지만 시간의 선후(先後)만 다를 뿐 다른 체질 역시 마침내는 공해독을 이기지 못해 비참한 최후를 맞게 될 것이다. 몰라서 못하는 것이야 어쩔수 없겠으나 치료 내지 예방방법을 알면서도 동포들이 무수히 희생되어가고 있음을 속수무책으로 지켜보고만 있으니 안타까울 뿐이다. 가벼운 감기에 걸려서도 치료가 되지 않아 고생하는 사람들에게 공해독을 풀 수 있는 마황(麻黃)과 생지황(生地黃)을 감기약에 가미하여 써보면(처방명=영신해독탕;靈神解毒湯)효과가 빠름을 볼 때 현대의 거의 모든 질병의 뿌리는 공해독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선은 자신의 체력이 떨어져 결정적인 공해독의 피해를 보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오늘날 현대인들은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도 주의해야 하겠지만 그보다는 체력이 떨어지는 것을 틈타 인체에 치명적 피해를 입히는 공해독을 더욱 주의해야 한다. 공해독으로부터 인명(人命)을 구제하려면 집오리와 동해산 마른명태, 밭마늘, 참옻, 죽염 등을 이용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가장 효과적이라 하겠다. 공간색소중의 산삼분자(山蔘分子)들을 합성, 이용하는 것은 2년여의 세월이 소요될 뿐아니라 많은 경비가 들므로 개인적으로는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선은 주변에서 그나마 쉽게 구할 수 있는 집오리 등의 체내에 함유된 극강한 해독제(解毒劑)를 이용하라는 말이다.  최소한 한달에 한번 정도는 유황오리와 마른 명태를 1마리이상 삶아서 먹어둘 필요가 있으며 식탁에서 가능한 한 가공식품을 줄이고 천연식품을 올리도록 하되, 죽염을 하루 3숟갈 이상씩 복용토록 한다.  그리고 집안에 감초 1냥(한줌) + 생강 1냥(한줌)을 함께 달인 차가 떨어지지 않도록 늘 끓여두고 먹도록 한다. 요약하자면 섭취하는 음식에서 농약독이나 중금속독을 최소화하고 해독제를 늘리라는 말이다.
    인산학신암론

인산의학 총 1개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O형 체질의 쑥뜸 火毒 푸는 법   O형 피가 30%인데 70%가 딴 피게 되면 가상[가령] 다른 사람이 1천장을 뜰 수 있으면 [O형은] 5백장이 넘으면 벌써 부작용이 와. 그리고 2~3백장에 멎으면 건강을 회복할 수 있는 사람이 많아요.   그러니 O형은 전체적으로 소양하고 가찹다는 걸로 봐야 되겠고.   나는 일생에 약만 가지고 실험이 아니라 뜸 뜨는 덴 O형은 너무 많이 뜨면 부작용이 누구도 와요.   그러고 A형이 많이 떠서 부작용은 별로 없어요. 가상 젊어서 건강을 위해서 좋다는 말만 들으면,   젊어서 피가 심장부에 37˚인데 36˚ 7부에서 37˚ 온도를 가진 사람이 뜸을 많이 떠 가지고 40˚에 올라갈 때엔 전신이 불같이 끓는데 부작용이 없을 리가 있어요?   젊은 세대, 한 20, 30대에 한꺼번에 뜸을 많이 뜨면 좋다고 떠 가지고 고생하는 사람, 생강 · 대추 · 원감초에 석고(石膏)를, 감초 5돈이면 석고도 5돈 넣고 흠씬 고아 놓고 차로 마시고 그러면 화독(火毒)이 금방 풀려요.     또 심한 사람은 생강 · 대추 · 감초 다 1냥씩 넣고 석고도 1냥, 내가 석고 1냥 반을 뜸 많이 뜨다가 부작용이 와 가지고 1년 반 만에 완전 회복된 사람이 지금 몇 사람이 있어요.   그건 진짜 소양에 가차운 사람. 그런 사람 뜸을 많이 떠서 까딱하면 죽어요.   그러니 뜸이 아무리 좋아도 그 혈액형을 분명히 알아야 돼요. 그래서 그 혈액형을 무시하는 사람은 반드시 위기에 처할 땐 석고 안 들어가면 안돼요.
    인산의학쑥뜸

한의학 총 3개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체질테스트 나의 체질은 과연 어느 쪽일까? 체질 테스트를 한번 해보도록 한다. 다음은 체질을 판단하는 데 주요한 지표에 해당하는 것들로 만든 설문이다. 각 문항은 보통 네개의 보기가 있는데, 그중에서 자신의 특성과 가장 가깝다고 생각하는 것을 골라 표를 해보자. 해당되는 보기가 없으면 그냥 넘어간다.   1.당신의 체격은 어디에 다음 중 어디에 해당됩니까 ? (1) 허리와 배가 발달되고 상체가 약한 편이다. (2) 상체보다 하체가 발달되어 있다. (3) 가슴이 발달되고 허리 밑부분이 빈약한 편이다. (4) 두부(머리)와 목덜미가 발달되고 허리 부분이 약하다. 2.전체적인 외모와 골격은 어디에 해당됩니까 ? (1) 골격이 굵고 살이 찐 편이다. (2) 골격이 적고 균형이 잡혀있다. (3) 보통이며 다부진 체격이다. (4) 키가 크고 수척한 편이다. 3.당신의 몸에서 외관상 가장 발달된 부분은 ? (1) 허리와 엉덩이 (2) 엉덩이 (3) 가슴 (4) 머리 4.당신의 걸음걸이는 다음 중 어디에 해당됩니까 ? (1) 걸음이 느리고 무게있게 걷는다. (2) 걸음걸이가 자연스럽고 얌전하다. (3) 걸음이 빠르고 몸을 흔든다. (4) 걸음이가 꼿꼿하다. 5.당신은 다음중어디에 해당됩니까 ? (1)평소에 땀이 많고 땀을 흘리면 오히려 상쾌해진다. (2)평소에 땀이 많지 않고 조금만 땀을 내도 피곤하다. (3)(4)땀이 특별히 많은 편이 아니며,땀을 흘려도 그다지 피곤하지 않다. 6.당신의 얼굴은 다음중 어디에 가깝습니까 ? (1)얼굴의 윤곽이 뚜렷하고 의젖하다. (2)얼굴의 윤곽이 갸름하고 둥글다. (3)얼굴이 다소 길고 머리가 앞뒤로 나와 있다. (4)머리가 크고 정수리가 솟아 있다 7.당신의 얼굴의 색깔은? (1)갈색 혹은 검은빛이다. (2)황백색이다.  (3)흰색 혹은 붉은 빛이 돈다. (4)흰편이다. 8. 당신의 얼굴은 다음 중 어디에 해당됩니까? (1)이목구비가 크고 입술이 두텁다. (2)눈, 쿠, 입이 대체로 작고 섬세한 편이다. (3)입이 크지 않고 턱이 뽀족한 편이다. (4)이마가 넓고 광대뼈가 나와 있다. 9. 당신의 눈빛은 다음 중 어디에 가장 가깝습니까? (1)눈빛이 밝지 않고 침침하다. (2)눈빛이 순하고 눈웃음을 잘 짓는다. (3)눈빛이 반사적이고 예리하다. (4)눈에서 빛이 난다. 10. 당신의 가슴? (1) 넓고 잘 발달되었다. (비만형) (2) 빈약하고 구부정하다. (세장형) (3) 넓고 튼튼한편이다. (근육형) (4) 가슴이 벌어지고 견실하다. 11. 당신의 손과 발은 ? (1) 손발이 따뜻하나 겨울에 잘 튼다. (2) 손발이 차고 겨울에 잘 트지 않는다. (3)(4) 손발이 따뜻한 편이다. 12. 당신의 피부는 ? (1) 두텁고 땀구멍이 크다. (2) 부드럽고 땀구멍이 작다. (3) 희고 마른 편이다. (4) 부드럽고 마른 편이다. 13. 당신의 음성은 다음 중 어디에 해당됩니까 ? (1) 음성이 탁하다. (2) 조용한 편이다. (3) 카랑카랑하다. (4) 굵고 성량이 풍부하다. 14. 말을 할 때 평소 습관은 ? (1) 말수가 적고 간혹 더듬기도 한다. (2) 말이 많지 않으나 가까운 사이와는 말을 많이 하는 편이다. (3) 말이 많고 함부로 막하는 편이다. (4) 수다스럽지는 않지만 누구한테건 거리낌없이 말을 한다. 15. 당신의 대변상태는 다음 중 어디에 해당됩니까? (1) 변비가 자주 오는 편이다. (2) 대개는 변이 무르고, 혹시 변비가 있어도 그다지 불쾌감은 없다. (3) 약간의 변비만 있어도 고통스럽다. (4) 변보기가 부드럽고 양이 많다. 16. 평소 건강에 별 이상이 없는 때에도 자주 느끼는 증상이 있다면, 다음 중 어느 것입니까 ? (1) 가슴이 두근거린다. 눈이 쉽게 피로하거나 아프다. (2) 한숨을 잘 쉰다. 손발이 떨린다. (3) 건망증이 있다. (4) 가슴이 답답하고 막힌 듯하다. 다리에 힘이 없어 오래 걷지 못한다. 17. 평소에 잘 나타나는 병증으로 어떠한 증세가 있는가? (1) 가슴이 뛴다. 감기, 변비, 눈병, 설사, 갈증. (2) 소화이상. 신경예민, 설사, 요통, 팔다리에 힘이 없다. (3) 변비, 건망증, 구역감, 코피. (4) 요통, 하지무력, 목에 이상감각 또는 심한 구토로 음식물을 삼킬 때 불편하다. 18. 당신의 기질이나 성격으로 장점이라고 생각되는 것은? (1) 정직하고 과묵한 편이다. 매사에 신중하여 주위 사람이 보기에 믿음 직스럽게 행동한다. 예의 바르고 점잖게 처신한다. 불필요하게 일을 벌이지 않으며, 일을 할때는 꾸준한 노력과 인내심으로 잘 해낸다. (2) 성격이 온순하고 침착하며 사교적이다. 판단이 빠르고 생각이 치밀 하고 조직적이어서 학구적인 분위기가 있다. (3) 매사에 활동적이고 열성적이다. 봉사정신이나 의협심이 강하고 솔직 담백한 성격이다. 다정다감하여 인정이 많고 이해타산에 얽매여 행동 하지 않는다. (4) 명석하고 창의력이 뛰어나며 호탕한 성격이다. 강한 성격이고 적극적 이고 진취적이며 과단성이 있다. 행동에 거침이 없고 친하든 그렇지 않든 불문하고 남과 잘 사귀는 편이다. 19. 당신의 기질이나 성격으로 단점이라고 생각되는 것은? (1) 보수적이고 변화를 싫어한다. 밖의 일보다 집안일을 중시하고 활동을 싫어한다. 점잖은 듯하나 의심이 많아 음흉하고 욕심이 많다. 운동보 다는 오락을 좋아한다. 겁을 잘내고 게으른 편이다. (2) 내성적이고 수줍음이 많아 자기 의견을 잘 표현하지 않는? 소극적 이고 여린 성격이어서 추진력이 약하다. 개인주의나 이기주의가 강하 고 이해타산에 매여서 행동하는 편이다. 질투심이나 시기심이 많고, 한번 감정이 상하면 쉽게 풀리지 않고 오래간다. (3) 바깥일에만 분주하여 가정이나 자기 일은 소홀히 한다. 행동이 날래 고 경솔하다. 매사에 시작은 잘하나 마무리가 부족하고 싫증을 잘 느 끼며 쉽게 체념한다. (4) 계획성없이 무조건 하고 일을 추진한다. 자신의 잘못을 후회하거나 인정할 줄 모른다. 일이 마음먹은 대로 잘 안되면 남에게 화를낸다. 세심한 면이 부족하고 치밀하지 못하다. 20. 다음 음식물 중 좋아하는 음식물이 가장 많이 들어 있는 항목은 ? (1) 밀가루 음식, 콩, 고구마, 땅콩, 설탕, 쇠고기, 우유, 버터, 치즈, 명란젖, 장어, 도라지, 당근, 더덕, 고사리, 연근, 토란, 버섯, 미역, 다시마, 김. (2) 찹쌀, 차조, 감자, 닭고기, 개고기, 참새고기, 꿩고기, 양젖, 염소고 기, 양고기, 벌꿀, 명태, 도미, 조기, 멸치, 민어, 미꾸라지, 시금 치, 양배추, 미나리, 파, 카레, 후추, 마늘. (3) 보리, 팥, 녹두, 돼지고기, 계란,오리고기, 생굴, 해삼, 명게, 전복 새우, 게, 가재, 복어, 잉어, 자라, 가물치, 가자미, 배추, 오이, 상추, 우엉, 호박, 가지, 당근, 생맥주, 빙과류. (4) 모밀, 냉면, 새우, 조개류,(굴, 소라, 전복), 게, 해삼, 붕어, 순채 나물, 기타 소채류. 21. 다음 중 당신이 좋아하는 과일이 가장 많이 들어 있는 항목은 ? (1) 밤, 잣, 호도, 은행, 배, 매실, 살구, 자두. (2) 사과, 귤, 도마도, 복숭아, 대추. (3) 수박, 참외, 딸기, 바나나, 파인애플. (4) 포도, 머루, 다래, 감, 앵두, 모과. 22. 당신이 좋아하?않거나, 알레르기를 일으킨 적이 있거나, 당신에게 잘 맞지 않는 음식이라고 생각되는 식품이 있는 항목은 ? (1) 닭고기, 달걀, 돼지고기, 개고기, 염소고기, 사과, 커피, 삼계탕, 인삼차, 꿀, 생강차. (2) 냉면, 참외, 수박, 찬 우유, 빙과류, 생맥주, 보리밥, 돼지고기, 오징어, 밀가루 음식. (3) 맵고 짠 음식, 닭고기, 개고기, 노루고기, 염소고기, 꿀, 인삼, 엿, 땅콩. (4) 맵고 짠 음식, 뜨거운 음식, 지방질이 많은 음식, 쇠고기, 설탕, 무우, 조기 23. 음식물에 대한 당신의 기호는 ? (1)(2) 따뜻한 음식을 좋아한다. (1)(3) 찬 음식을 좋아한다. (3)(4) 시원한 음식을 좋아한다. 판 정 1 이 압도적으로 많으면 태음, 2 면 소음, 3 이면 소양, 4 면 태양에 해당된다. ( 5번, 11번 문항에서 3,4로 표시된 것은 소양, 태양 둘 다 해당된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1 이 14개, 2 가 6개, 3 이 2개, 4 가 1개였다면 태음체질이다. 어느 번호도 압도적으로 많지 않다면, 이 테스트로는 정확히 판정하기 어려우니 전문가의 판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아주 간편하게 체질을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이긴 하지만, 이 테스트를 사용하는 방법도 약간의 문제는 있다. 그 중 하나는 경중을 따지지 않고 문제마다 동일한 비중을 두고 있다는 점이다. 즉 어떤 문제는 체질 판별에 중요하니 가중치를 크게 두고 어느 항목은 적게 두는 식으로 처리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또 한가지 문제는 자신에 대한 평가를 공정하게 하기 어럽다는 점이다. 자신은 자신의 성격을 이렇다고 생각하여도 사실이 그런지는 다른 얘기가 될 수 있다. 한 가지 요령은 자신이 스스로 답을 내어보고 나서, 자신을 잘 아는 가족에게 자신에 대해서 답을 내어 보라고 해서 참고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한의학방제학
  • * 아래 내용은 대한한의사협회 홈페이지에서 퍼 온 겁니다.   사상체질의학 1. 정의 체질은 사람의 본래 가지고 태어난 신체적 특징, 정신적 특징 그리고 그 외에 여러가지 다른 특징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체질은 병에 대한 저항력 또 병에 대한 반응을 포함한다. 그리고 체질이란 아무리 약을 쓴다고 해도 바꿀 수 없다. 다만 후천적인 노력으로 체질은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인간의 여러 특징은 유전되는 것이며 그 중 체질도 자손에게까지 전달된다. 즉, 체질은 환경에 의해서 좌우되지 않는 고유의 기질을 의미한다. 사상체질의학은 여러 체질론 가운데 가장 획기적이고 체계적인 이론으로 평가되며 거의 백년동안 수많은 임상실험을 통하여 정확성과 과학성이 입증되었다. 우리의 일상 체험에서도 체질에 따른 음식의 기호가 다르고 치유과정에 차이가 있음은 누구나 수긍하는 바이다. 그런데 이제마의 사상체질의학은 이론과 임상실제가 완전히 부합되어 현단계에서 우리가 갈망하는 체질의학의 결정판이라 할 수 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체질별로 잘 걸리는 병과 잘 걸리지 않는 병을 파악할 수 있고 또 병을 치료하는 방법과 평소에 건강을 관리하는 방법까지도 체계적으로 알 수 있다. 2. 기원과 역사 이제마의 생애와 저술시기에 대한 내용을 동의수세보원과 격치고 및 여러 서적을 통해 나타나 있는 것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한국 한의학의 새로운 장을 개척한 이제마(李濟馬;1937-1900)는 조선말기의 철학자이면서 의학자로서 호는 동무(東武)이고 1837년에 태어나 1900년에 세상을 떠났다. 그의 사상은 주로 『격치고(格致藁)』와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 잘 나타나 있다. 이제마는 천인성명(天人性命)의 이론적 체계를 바탕으로 사상인 장부성리(四象人 臟腑性理)의 특징을 발견하여 이를 의학에 적용함으로써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있어 새로운 발전을 가져 왔으며, 일상 생활 속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양생(養生)의 방법론(方法論)을 함께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의 탄생일화를 살펴보면, 할아버지 충원공의 꿈에 어떤 사람이 탐스러운 망아지 한 필을 끌고 와서 이 망아지는 제주도에서 가져온 용마인데 아무도 알아주는 사람이 없어 귀댁으로 끌고 왔으니 맡아서 잘 길러달라고 하고 기둥에 매 놓고 가버렸는데 꿈이 하도 신기하여 곰곰히 생각에 잠겨 있던 차에 밖에서 누가 급히 하인을 불러서 나가 보라하니 어떤 여인이 강보에 갓난 아기를 싸안고 들어왔고 충원공이 조금전에 현몽이 떠올라 모자를 받아 들이고 그 아이의 이름을 제주도 말을 얻었다하여 제마(濟馬)라고 명명하였다고 한다. 그의 일대기를 살펴보면, 1837년 함흥에서 탄생하여 39세에 무과에 등용하고 40세에 무위별선 군관입위하고 50세에 진해현감을 지내고 60세에 최문환의 난을 평정하고 정삼품 통정대부 선유위원을 지냈으며 61세에 고원군수를 지내고 62세에 모든 관직에서 물러나 62세에 일생을 마쳤다. 저서로는『천유초(闡幽抄)』, 『제중신편(濟衆新編)』, 『광제설(廣濟說)』, 『격치고(格致藁)』,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등이 있는데, 『천유초』는 훈고를 목적으로 지은 것이라 하며, 『광제설』은 양생의 교훈을 가르친 것인데 동의수세보원 후편에 첨부되어 있다. 『제중신편』도 도덕에 관한 글이며 오복륜(五福論), 권수론(勸壽論), 지행론(知行論)으로 되어있고 『격치고』 부록으로 첨부되어 있다. 『격치고』는 동무 도덕학의 대표적인 저술이며 <유략(儒略)>, <반성잠(反誠箴)>, <독행편(獨行篇)>의 세편으로 되어있으며, 후편에 『제중신편』과 『유고초(遺藁抄)』가 부록으로 첨부되어 전해진다. 『동의수세보원』은 1894년(甲午年)에 처음 지어졌으나, 이후 임상경험을 축적하여 1900년(庚子年)까지 성명론(性命論)부터 태음인론(太陰人論)까지 개초(改抄)하였고, 동무가 사망한후 그의 문도(金永寬 等)들에 의해 1901년에 처음으로 신구본을 합하여 율동계(栗洞契)에서 출판하였다. 이책은 사상의학의 원전으로 각자 체질을 안다면 예방의학적 양생를 강조하고 있다. 3. 기초이론 사상의학(四象醫學)은 종래의 견해에 비하여 현실적인 측면에서 독특한 '사상구조론'을 바탕으로 태양인(太陽人), 소양인(少陽人), 태음인(太陰人), 소음인(少陰人)의 네 가지 체질을 설정하고 각 체질에 대한 생리, 병리, 진단, 변증, 치료와 약물에 이르기까지 서로 연계를 갖고서 임상에 응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우수한 이론이라 할 수 있다. 4. 사상의학의 특징 1) 품수의학적인 면 품수(稟受)라 함은 체질은 선천적으로 결정되므로 부모와 조상의 특징을 생김새와 성품에서 질병의 경향에 이르기까지 전하여 받는다는 것으로서 이미 밝혀진 이러한 점과 연관되는 내용으로 사람마다 혈액형이 부모와 자식간에 일정한 규율에 따라 전해져 내려감을 알 수 있고, 부모가 혈압이 높거나 중풍을 앓는 사람들은 자식도 그러한 경우가 많고,소화기능이 약한 부모를 가진 사람은 다른 사람에 비하여 그 발병빈도가 높으며 색맹이나 혈우병 또는 정신질환에 있어서 자손에게 그 영향이 전해지는 유전적 소인이 있음이 밝혀진 것을 볼 때 이러한 품수에 대한 내용은 의학에 충분히 참고되어야할 가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2) 심신의학적인 특징 이제까지의 의학은 주로 우리의 눈이나 감각기관을 통하여 확인이 가능한 환자의 몸을 치료의 대상으로 삼았다. 그러나 우리 사람은 몸으로만 구성되어있는 것이 아니고 마음이 같이 있어야만 사람으로서의 가치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사람이 마음이 없고 몸만 있다면 다른 무생물과 다를게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병을 치료하는데 있어서도 몸과 마음을 동시에 다루어야 한다. 정신은 육체의 일부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고 동등한 비중으로 우리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까닭에 병을 유발시키는 과정에서도 중요한 작용을 하고, 체질형성에 있어서도 깊게 관여되어 있으므로 이를 중요시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서양의학에 있어서도 20C에 이르러 이와 유사한 이론이 태동되어 근래 각광을 받고 있으나 이러한 사고를 전혀 접할 수 없었던 19C말에 이와 같은 사고를 할 수 있었다는 것은, 그것도 몸과 마음이 동일한 비중을 지니면서 서로 가역적으로 작용한다는 주장은, 이제마의 예지에 참으로 뛰어난 점이 있음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3) 체질의학적인 면 이는 주로 치료면에 있어서 체질에 따라 그 특징이 차이가 있으므로 그 체질적 차이를 감안하여 동일한 병이라 하여도 치료방법 을 다르게 적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으로서 임상에서 많은 의사들이 실제 경험하는 어려운 점중의 하나가 바로 이것이다. 예를들어 같은 질병에 응용할 수 있는 A라는 약과 B라는 약이 있을 때 A라는 약을 투여하여 낫는 환자가 있느냐하면, A약이 전혀 효과가 없고 오히려 B약이 효과를 나타내는 경우를 접하게 되고 또는 A나 B가아닌 C라는 약으로만 효과를 보는 경우를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그 이유로 약의 작용기전의 차이 혹은 이를 받아들이는 인체의 개체성의 문제를 들 수 있다. 이제마는 바로 이러한 점이 체질이 다른데서 유래되는 것으로 파악한 것입니다. 약 뿐만 아니라 음식물에 있어서도 일상생활에서 여러분들이 경험한 예들이 있을 것입니다. 서양의학에서 많이 거론되는 알레르기 현상도 이러한 체질적 소인과 관계가 있음은 다시 말할 필요가 없을 것입니다. 5. 체질 감별법 1)외모로 체질을 구별하는 방법 (1) 태양인(太陽人) 용모가 뚜렷하고 살이 적으며, 머리가 큰 편이고, 목덜미가 실하다. 가슴윗부분이 잘 발달하고, 다리는 위축되어 보여 서있는 자세가 불안하여 하체가 약하여 오래 걷거나 오래 서 있기 힘들어 한다. (2) 소양인(少陽人) 가슴부위가 충실하고, 엉덩이 부위가 빈약하여 앉은 모습이 외롭게 보인다. 하체가 가벼워서 걸음걸이가 날샌편이다. (3) 태음인(太陰人) 키가 크고 체격이 좋고 골격은 건실하고, 목덜미의 기세가 약하고 살이 찌고 체격이 건실합니다. 허리부위의 형세가 충실하여 서있는 자세가 굳건하다. (4) 소음인(少陰人) 전체적으로 체격이 작고 말랐으며 약한 체형입니다. 앞으로 수그린 모습으로 걷는 사람이 많고 가슴둘레를 싸고 있는 자세가 외롭게 보이고 약하고. 엉덩이 부위는 큰 편이다. ※ 소음인의 외모와 태음인의 외모는 비슷한 점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2) 심성(心性)으로 체질을 구별하는 방법 (1) 태양인(太陽人) 성질재간 : 과단성 있는 지도자형이나 독재자형으로 사회적 관계에 능하고 적극적으로 남들과 교통한다. 일이 잘 되지 않으면 남에게 화를 잘 낸다. 항심 : 급박지심. 성격 : 항상 앞으로 나아가려고만 하고 물러서지 않는다. 용맹스럽고 적극적이며 남성다운 성격이다. 심욕 : 방종지심. 제멋 대로이고 후회할 줄 모른다. 독선적이고 계획성이 적으며 치밀하지 못하다. (2) 소양인(少陽人) 성질재간 : 굳세고 날래며 일을 꾸리고 추진하는데 능하다. 일을 착수하는데 어려워하지 않는다. 행동거지가 활발하고 답답해 보이지 않으며 시원시원하다. 항심 : 구심. 너무 쉽게 일을 벌이다보니 문제가 생길까 두려워하다. 성격 : 성격이 급하고 매사에 시작은 잘하지만 마무리가 부족하다. 벌여 놓은 일을 잘 정리하지 않고 일이 잘 추진되지 않으면 그냥 방치해 둔다. 다른 사람을 잘 도우나 집안 일에는 소홀하다. 심욕 : 편사지심. 이해타산이나 공사의 구분없이 기분이나 감정에 따라 일을 처리하게 된다. (3) 태음인(太陰人) 성질재간 : 꾸준하고 침착하여 맡은 일은 꼭 성취하려고 한다. 행정적인 일에 능하고 어떤 어려움이 있더라도 쉽게 포기하지 않는다. 결말짓지 못하면 못 견뎌한다. 항심 : 겁심. 어떤 일을 해보기도 전에 겁을 내거나 조심이 지나치면 아예 아무 일도 못한다. 성격 : 보수적이어서 변화를 싫어한다. 밖에서 승부를 내지 않고 안에서 일을 이루려 한다. 가정이나 자기 고유의 업무 외엔 관심이 없다. 심욕 : 물욕지심. 자기 일을 잘 이루고 자기 것을 잘 지키는 모습은 좋지만 자기 것에 대한 애착이 지나치면 집착이 되고 탐욕이 된다. (4) 소음인(少陰人) 성질재간 : 유순하고 침착하다. 사람을 잘 조직한다. 세심하고 부드러워 사람들을 모으는데 유리하고 작은 구석까지 살펴 계획을 세우는 편이다. 항심 : 불안정지심. 작은 일에도 걱정을 많이 하여 소화가 되지 않고 가슴이 답답해 진다. 성격 : 내성적이고 여성적이다. 적극성이 적고 추진력이 약하다. 생각이 치밀하고 침착하다. 개인주의나 이기주의가 강하여 남의 간섭을 싫어하고 이해타산에 얽매인다. 심욕 : 투일지심. 내성적이고 소극적이어서 안일에 빠지기 쉽고 모험도 꺼려서 성취할 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3) 병증으로 체질을 구별하는 방법 (1) 태양인(太陽人) 완실무병 : 소변량이 많고 잘 나오면 건강하다. 대병 : 8-9일 변비가 되면서 입에서 침이나 거품이 자주 나면 대병이다. 중병 : 열격증, 반위증, 해역증 (2) 소양인(少陽人) 완실무병 : 대변이 잘 통하면 건강하다. 대병 : 하루라도 대변을 못 보면 대병을 의심한다. 중병 : 대변을 2-3일 못 보아도 가슴이 답답하고 고통스러우면 중병. 대변을 못 보면 가슴이 뜨거워지는 증세를 보인다. (3) 태음인(太陰人) 완실무병 : 땀을 잘 배출하면 건강하다. 대병 : 피부가 야무지고 단단하면서 땀이 안 나오면 대병이다. 중병 : 설사병이 생겨 소장의 중초가 꽉막혀서 안개낀 것처럼 답답하면 중병이다. (4) 소음인(少陰人) 완실무병: 비위의 기운이 약하지만 제대로 움직여 음식의 소화를 잘하면 건강합니다. 대병 : 허한 땀이 많이 나오면 대병 중병 : 설사가 멎지 않아서 아랫배가 얼음장같이 차가우면 중병 function showSideViewForScrapInfo(curObj, userid, planetUserid, targetNick) { var sideView = new SideView('nameContextMenu', curObj, userid, planetUserid, '\uB9C8\uC74C\uC218\uB828', targetNick, 'zTLz', '', '\uC77C\uCE68\uBA85\uC758', "unknown"); sideView.hideRow("member"); sideView.hideRow("planet"); sideView.showLayer(); } function winPopup() { window.open('http://cafe.daum.net/_service/home?grpid=uEd5', 'DaumPlanet', 'width=936,height=672,resizable=yes,scrollbars=yes'); return; } 출처 : 名醫 아닌 明醫되기 원문보기 글쓴이 : 明醫 金 毘
    한의학방제학
  • * 아래 내용은 대한한의사협회 홈페이지에서 퍼 온 겁니다.   사상체질의학 1. 정의 체질은 사람의 본래 가지고 태어난 신체적 특징, 정신적 특징 그리고 그 외에 여러가지 다른 특징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체질은 병에 대한 저항력 또 병에 대한 반응을 포함한다. 그리고 체질이란 아무리 약을 쓴다고 해도 바꿀 수 없다. 다만 후천적인 노력으로 체질은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인간의 여러 특징은 유전되는 것이며 그 중 체질도 자손에게까지 전달된다. 즉, 체질은 환경에 의해서 좌우되지 않는 고유의 기질을 의미한다. 사상체질의학은 여러 체질론 가운데 가장 획기적이고 체계적인 이론으로 평가되며 거의 백년동안 수많은 임상실험을 통하여 정확성과 과학성이 입증되었다. 우리의 일상 체험에서도 체질에 따른 음식의 기호가 다르고 치유과정에 차이가 있음은 누구나 수긍하는 바이다. 그런데 이제마의 사상체질의학은 이론과 임상실제가 완전히 부합되어 현단계에서 우리가 갈망하는 체질의학의 결정판이라 할 수 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체질별로 잘 걸리는 병과 잘 걸리지 않는 병을 파악할 수 있고 또 병을 치료하는 방법과 평소에 건강을 관리하는 방법까지도 체계적으로 알 수 있다. 2. 기원과 역사 이제마의 생애와 저술시기에 대한 내용을 동의수세보원과 격치고 및 여러 서적을 통해 나타나 있는 것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한국 한의학의 새로운 장을 개척한 이제마(李濟馬;1937-1900)는 조선말기의 철학자이면서 의학자로서 호는 동무(東武)이고 1837년에 태어나 1900년에 세상을 떠났다. 그의 사상은 주로 『격치고(格致藁)』와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 잘 나타나 있다. 이제마는 천인성명(天人性命)의 이론적 체계를 바탕으로 사상인 장부성리(四象人 臟腑性理)의 특징을 발견하여 이를 의학에 적용함으로써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있어 새로운 발전을 가져 왔으며, 일상 생활 속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양생(養生)의 방법론(方法論)을 함께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의 탄생일화를 살펴보면, 할아버지 충원공의 꿈에 어떤 사람이 탐스러운 망아지 한 필을 끌고 와서 이 망아지는 제주도에서 가져온 용마인데 아무도 알아주는 사람이 없어 귀댁으로 끌고 왔으니 맡아서 잘 길러달라고 하고 기둥에 매 놓고 가버렸는데 꿈이 하도 신기하여 곰곰히 생각에 잠겨 있던 차에 밖에서 누가 급히 하인을 불러서 나가 보라하니 어떤 여인이 강보에 갓난 아기를 싸안고 들어왔고 충원공이 조금전에 현몽이 떠올라 모자를 받아 들이고 그 아이의 이름을 제주도 말을 얻었다하여 제마(濟馬)라고 명명하였다고 한다. 그의 일대기를 살펴보면, 1837년 함흥에서 탄생하여 39세에 무과에 등용하고 40세에 무위별선 군관입위하고 50세에 진해현감을 지내고 60세에 최문환의 난을 평정하고 정삼품 통정대부 선유위원을 지냈으며 61세에 고원군수를 지내고 62세에 모든 관직에서 물러나 62세에 일생을 마쳤다. 저서로는『천유초(闡幽抄)』, 『제중신편(濟衆新編)』, 『광제설(廣濟說)』, 『격치고(格致藁)』,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등이 있는데, 『천유초』는 훈고를 목적으로 지은 것이라 하며, 『광제설』은 양생의 교훈을 가르친 것인데 동의수세보원 후편에 첨부되어 있다. 『제중신편』도 도덕에 관한 글이며 오복륜(五福論), 권수론(勸壽論), 지행론(知行論)으로 되어있고 『격치고』 부록으로 첨부되어 있다. 『격치고』는 동무 도덕학의 대표적인 저술이며 <유략(儒略)>, <반성잠(反誠箴)>, <독행편(獨行篇)>의 세편으로 되어있으며, 후편에 『제중신편』과 『유고초(遺藁抄)』가 부록으로 첨부되어 전해진다. 『동의수세보원』은 1894년(甲午年)에 처음 지어졌으나, 이후 임상경험을 축적하여 1900년(庚子年)까지 성명론(性命論)부터 태음인론(太陰人論)까지 개초(改抄)하였고, 동무가 사망한후 그의 문도(金永寬 等)들에 의해 1901년에 처음으로 신구본을 합하여 율동계(栗洞契)에서 출판하였다. 이책은 사상의학의 원전으로 각자 체질을 안다면 예방의학적 양생를 강조하고 있다. 3. 기초이론 사상의학(四象醫學)은 종래의 견해에 비하여 현실적인 측면에서 독특한 '사상구조론'을 바탕으로 태양인(太陽人), 소양인(少陽人), 태음인(太陰人), 소음인(少陰人)의 네 가지 체질을 설정하고 각 체질에 대한 생리, 병리, 진단, 변증, 치료와 약물에 이르기까지 서로 연계를 갖고서 임상에 응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우수한 이론이라 할 수 있다. 4. 사상의학의 특징 1) 품수의학적인 면 품수(稟受)라 함은 체질은 선천적으로 결정되므로 부모와 조상의 특징을 생김새와 성품에서 질병의 경향에 이르기까지 전하여 받는다는 것으로서 이미 밝혀진 이러한 점과 연관되는 내용으로 사람마다 혈액형이 부모와 자식간에 일정한 규율에 따라 전해져 내려감을 알 수 있고, 부모가 혈압이 높거나 중풍을 앓는 사람들은 자식도 그러한 경우가 많고,소화기능이 약한 부모를 가진 사람은 다른 사람에 비하여 그 발병빈도가 높으며 색맹이나 혈우병 또는 정신질환에 있어서 자손에게 그 영향이 전해지는 유전적 소인이 있음이 밝혀진 것을 볼 때 이러한 품수에 대한 내용은 의학에 충분히 참고되어야할 가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2) 심신의학적인 특징 이제까지의 의학은 주로 우리의 눈이나 감각기관을 통하여 확인이 가능한 환자의 몸을 치료의 대상으로 삼았다. 그러나 우리 사람은 몸으로만 구성되어있는 것이 아니고 마음이 같이 있어야만 사람으로서의 가치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사람이 마음이 없고 몸만 있다면 다른 무생물과 다를게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병을 치료하는데 있어서도 몸과 마음을 동시에 다루어야 한다. 정신은 육체의 일부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고 동등한 비중으로 우리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까닭에 병을 유발시키는 과정에서도 중요한 작용을 하고, 체질형성에 있어서도 깊게 관여되어 있으므로 이를 중요시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서양의학에 있어서도 20C에 이르러 이와 유사한 이론이 태동되어 근래 각광을 받고 있으나 이러한 사고를 전혀 접할 수 없었던 19C말에 이와 같은 사고를 할 수 있었다는 것은, 그것도 몸과 마음이 동일한 비중을 지니면서 서로 가역적으로 작용한다는 주장은, 이제마의 예지에 참으로 뛰어난 점이 있음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3) 체질의학적인 면 이는 주로 치료면에 있어서 체질에 따라 그 특징이 차이가 있으므로 그 체질적 차이를 감안하여 동일한 병이라 하여도 치료방법 을 다르게 적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으로서 임상에서 많은 의사들이 실제 경험하는 어려운 점중의 하나가 바로 이것이다. 예를들어 같은 질병에 응용할 수 있는 A라는 약과 B라는 약이 있을 때 A라는 약을 투여하여 낫는 환자가 있느냐하면, A약이 전혀 효과가 없고 오히려 B약이 효과를 나타내는 경우를 접하게 되고 또는 A나 B가아닌 C라는 약으로만 효과를 보는 경우를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그 이유로 약의 작용기전의 차이 혹은 이를 받아들이는 인체의 개체성의 문제를 들 수 있다. 이제마는 바로 이러한 점이 체질이 다른데서 유래되는 것으로 파악한 것입니다. 약 뿐만 아니라 음식물에 있어서도 일상생활에서 여러분들이 경험한 예들이 있을 것입니다. 서양의학에서 많이 거론되는 알레르기 현상도 이러한 체질적 소인과 관계가 있음은 다시 말할 필요가 없을 것입니다. 5. 체질 감별법 1)외모로 체질을 구별하는 방법 (1) 태양인(太陽人) 용모가 뚜렷하고 살이 적으며, 머리가 큰 편이고, 목덜미가 실하다. 가슴윗부분이 잘 발달하고, 다리는 위축되어 보여 서있는 자세가 불안하여 하체가 약하여 오래 걷거나 오래 서 있기 힘들어 한다. (2) 소양인(少陽人) 가슴부위가 충실하고, 엉덩이 부위가 빈약하여 앉은 모습이 외롭게 보인다. 하체가 가벼워서 걸음걸이가 날샌편이다. (3) 태음인(太陰人) 키가 크고 체격이 좋고 골격은 건실하고, 목덜미의 기세가 약하고 살이 찌고 체격이 건실합니다. 허리부위의 형세가 충실하여 서있는 자세가 굳건하다. (4) 소음인(少陰人) 전체적으로 체격이 작고 말랐으며 약한 체형입니다. 앞으로 수그린 모습으로 걷는 사람이 많고 가슴둘레를 싸고 있는 자세가 외롭게 보이고 약하고. 엉덩이 부위는 큰 편이다. ※ 소음인의 외모와 태음인의 외모는 비슷한 점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2) 심성(心性)으로 체질을 구별하는 방법 (1) 태양인(太陽人) 성질재간 : 과단성 있는 지도자형이나 독재자형으로 사회적 관계에 능하고 적극적으로 남들과 교통한다. 일이 잘 되지 않으면 남에게 화를 잘 낸다. 항심 : 급박지심. 성격 : 항상 앞으로 나아가려고만 하고 물러서지 않는다. 용맹스럽고 적극적이며 남성다운 성격이다. 심욕 : 방종지심. 제멋 대로이고 후회할 줄 모른다. 독선적이고 계획성이 적으며 치밀하지 못하다. (2) 소양인(少陽人) 성질재간 : 굳세고 날래며 일을 꾸리고 추진하는데 능하다. 일을 착수하는데 어려워하지 않는다. 행동거지가 활발하고 답답해 보이지 않으며 시원시원하다. 항심 : 구심. 너무 쉽게 일을 벌이다보니 문제가 생길까 두려워하다. 성격 : 성격이 급하고 매사에 시작은 잘하지만 마무리가 부족하다. 벌여 놓은 일을 잘 정리하지 않고 일이 잘 추진되지 않으면 그냥 방치해 둔다. 다른 사람을 잘 도우나 집안 일에는 소홀하다. 심욕 : 편사지심. 이해타산이나 공사의 구분없이 기분이나 감정에 따라 일을 처리하게 된다. (3) 태음인(太陰人) 성질재간 : 꾸준하고 침착하여 맡은 일은 꼭 성취하려고 한다. 행정적인 일에 능하고 어떤 어려움이 있더라도 쉽게 포기하지 않는다. 결말짓지 못하면 못 견뎌한다. 항심 : 겁심. 어떤 일을 해보기도 전에 겁을 내거나 조심이 지나치면 아예 아무 일도 못한다. 성격 : 보수적이어서 변화를 싫어한다. 밖에서 승부를 내지 않고 안에서 일을 이루려 한다. 가정이나 자기 고유의 업무 외엔 관심이 없다. 심욕 : 물욕지심. 자기 일을 잘 이루고 자기 것을 잘 지키는 모습은 좋지만 자기 것에 대한 애착이 지나치면 집착이 되고 탐욕이 된다. (4) 소음인(少陰人) 성질재간 : 유순하고 침착하다. 사람을 잘 조직한다. 세심하고 부드러워 사람들을 모으는데 유리하고 작은 구석까지 살펴 계획을 세우는 편이다. 항심 : 불안정지심. 작은 일에도 걱정을 많이 하여 소화가 되지 않고 가슴이 답답해 진다. 성격 : 내성적이고 여성적이다. 적극성이 적고 추진력이 약하다. 생각이 치밀하고 침착하다. 개인주의나 이기주의가 강하여 남의 간섭을 싫어하고 이해타산에 얽매인다. 심욕 : 투일지심. 내성적이고 소극적이어서 안일에 빠지기 쉽고 모험도 꺼려서 성취할 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3) 병증으로 체질을 구별하는 방법 (1) 태양인(太陽人) 완실무병 : 소변량이 많고 잘 나오면 건강하다. 대병 : 8-9일 변비가 되면서 입에서 침이나 거품이 자주 나면 대병이다. 중병 : 열격증, 반위증, 해역증 (2) 소양인(少陽人) 완실무병 : 대변이 잘 통하면 건강하다. 대병 : 하루라도 대변을 못 보면 대병을 의심한다. 중병 : 대변을 2-3일 못 보아도 가슴이 답답하고 고통스러우면 중병. 대변을 못 보면 가슴이 뜨거워지는 증세를 보인다. (3) 태음인(太陰人) 완실무병 : 땀을 잘 배출하면 건강하다. 대병 : 피부가 야무지고 단단하면서 땀이 안 나오면 대병이다. 중병 : 설사병이 생겨 소장의 중초가 꽉막혀서 안개낀 것처럼 답답하면 중병이다. (4) 소음인(少陰人) 완실무병: 비위의 기운이 약하지만 제대로 움직여 음식의 소화를 잘하면 건강합니다. 대병 : 허한 땀이 많이 나오면 대병 중병 : 설사가 멎지 않아서 아랫배가 얼음장같이 차가우면 중병 function showSideViewForScrapInfo(curObj, userid, planetUserid, targetNick) { var sideView = new SideView('nameContextMenu', curObj, userid, planetUserid, '\uB9C8\uC74C\uC218\uB828', targetNick, 'zTLz', '', '\uC77C\uCE68\uBA85\uC758', "unknown"); sideView.hideRow("member"); sideView.hideRow("planet"); sideView.showLayer(); } function winPopup() { window.open('http://cafe.daum.net/_service/home?grpid=uEd5', 'DaumPlanet', 'width=936,height=672,resizable=yes,scrollbars=yes'); return; } 출처 : 名醫 아닌 明醫되기 원문보기 글쓴이 : 明醫 金 毘
    한의학방제학

교류의 장 총 4개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산성체질을 개선하는 유황의 효능? 1. 유황은 질병치유의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광물질 유황은 만병을 물리친다는 천하의 명약으로 알려진 금단(金丹)의 주원료로 쓰여 왔을 만큼 그 약성이 매우 강하다. 고로 생체건강의 초대의 적이 되는 중금속, 화공약품 각종 농약 등의 공해물질의 오염에서 해방될 수 있는 신비한 해독(解毒)작용을 가지고 있어, 이 유황이야 말로 21세기의 필수 영양제라 아니할 수 없다.   2. 미국을 비롯해서 여러 나라의 대체의학 병원에서는 유황을 항암제, 염증치료제, 통증완화제, 류마티스 치료제, 우울증치료제, 피부경화 치료제로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다.   3. 유명한 영양학자 칼 파이퍼 박사는 유황이 생체에 필수영양소라 하였고 C.미첼 박사는 생체 정화 및 해독에 탁월한 요능이 있다고 했다. 또한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 페니실린(Penicillin), 돌부타미드, 설파민, 페노티아진(Phenithiajine), 등에는 상당히 많은 유황성분이 포함되어 있을뿐 아니라 조미료, 감미료, 표백제, 비료, 염료, 농약 등에도 유황성분이 이용되고 있는 사실을 볼 때 우리생활에 여러 면에 깊이 관여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4. 우리 몸에도 생체원소로서 수소(H), 산소(O), 질소(N), 유황(S), 나트륨(Na) 등 14종의 원소들은 주체적인 것들로서 그중 유황은 8번째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뼈나 피부, 머리카락에 많이 분포되어 있어 이로 인한 결핍으로 대머리, 손톱발톱의 각질화, 피부의 노화 등이 일어나게 되는 원인 물질이기도 하다.   5. 각종 암을 유발시키는 유해물질인 활성산소로 인해 건강한 세포를 손상시켜 노화와 치명적인 암을 유발하는 독성이 강한 히드록시 레디칼의 공격으로 부터 DNA를 보호해주는 글루타티온과 세포를 활성화하고 종양을 괴멸시키는 면역세포 TNF(종양괴사인자)를 증강시키는 큰 역할을 이 유황성분이 한다고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에서 실험결과 그 효능을 발표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김치, 된장, 간장, 치즈, 요구르트, 등은 유황 아미노산인 메치오닌(Methionine)에 의해 발효된 결과물 들이다.   6. 우리 선조들은 피부병이 발생하면 치료의 방편으로 쉽게 유황온천을 찾았다. 이는 생체의 표피층이 켈라틴(Keratin)단백질 구조로 되어 있으면서 주성분인 유황아미노산 시스테인(Cystine)이 맡아 피부에 누적된 유해물질을 정화 해독 시켜주기 때문이다. 또한 피부의 탄력성을 유지시켜 주는 것이 콜라겐(Collagen)의 기능성에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나 이 콜라겐 분자에 직접 관여하는 효소를 구성하는 여러 아미노산을 유황성분이 붙들어 주는 역할을 하고 있을 뿐 아니라 Beauty Mineral로 불려질 만큼 그 효능이 매우 크다.   7. 마늘속에 함유되어 있는 유황성분은 탁월한 해독작용을 가지고 있어 생선회를 먹을때에 겨자와 함께 섭취하는 것도 음식물중에 들어있는 독을 제거하고 살균을 위한 목적이다. 이와같이 파와 마늘에는 다량의 유황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각종 염증제거와 살균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유황은 대장경(大腸經)을 자극하여 체내의 유독가스와 노폐물을 배출하고 만성적인 숙변을 제거하여 몸안을 깨끗이 한다.   8. 신농본초경(神濃本草經)에서는 유황은 뼈를 강하게 하고 근육을 튼튼하게 하며 탈모를 방지한다 하였다. 이렇듯 전장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강골(强骨)의 처방으로서 자연산산골을 복용한 사실을 미루어 짐작컨데 유황은 뼈를 강하게 하고 골수를 충만하게 한다는 것 뿐만 아니라 항암작용과 각종 유해물질을 분해하여 생체내의 독성을 제거함과 동시에 각부분의 면역작용을 증대시켜 각종 질병에서 자유로워 질 수 있는 신비스로운 효능을 가지고 있다하여 지대한 관심과 함께 자못 그 기대가 크다 하겠다.   9. 이렇게 좋은 유황도 우리가 그냥 섭취할수 없지요 그냥 섭취하면 몸에 흡수가 잘안될뿐아니라 유황의 독성때문에 위험합니다 유황의 독성을 없애고 약성을 살리면서 섭취할수있게 법제된것이 바로 유황오리입니다 ★ 산성체질을 개선하는 유황오리의 효능 유황은 최상의 양(陽)덩어리이며 오리는 최상의 음(陰)덩어리입니다. 즉, 유황오리는 음양이 중화된 음식입니다. 건강한 사람은 물론 음과 양의 균형이 깨져 병이 있는 사람은 남자와 여자,어린이에게도 잘 받게 됩니다. 사람은 30세가 되면 자연히 양의 기운이 소진하게 됩니다. 그래서 나이가 들수록 양기가 소모되면서 정력(陽氣)이 약해지고 체질이 음화(陰火)되어 갑니다.   앞에서도 설명하였듯이 유황(陽,火)을 먹은 오리(陰,水)는 음과 양이 중화된 기 덩어리 음식입니다. 이 유황오리를 먹으면 순양(純陽)의 기가 극대화 되고 이로 인해 음(陰)기운을 안정시키고 양(陽)의 기운을 보충하여 음양의 조화를 이루는 효과가 있어 그야말로 노인에게는 정력을 보충하는데 많은 효과가 있는 것이고 남녀노소 어느누구나 먹을수 있는 최상의 음식인 것입니다. 또 유황오리는 냉한 체질을 개선합니다.   유황은 주기율표의 원소기호 16번 제6족 산소족에 속합니다. 산소족에 속한다는 것은 산소와 같은 성질을 가진 원소라는 것입니다. 산소가 없으면 불이 발생하지 않듯이 유황은 불과 친화력이 있어 불,양의 기운을 잘 끌어 당깁니다. 따라서 이러한 유황의 성질때문에 오리에 의해 독이 제거된 몸에 이로운 순수한 유황은 엄청난 양의 기운을 끌어 당길수 있는 요소를 포함하고 있기때문에 정력을 보충하는데 금상첨화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옛날부터 금단을 제조하는데 없어서는 안될 원료로 쓰여왔던 이유도 이러한 성질 때문입니다. 현대 고질병 원인인 각종공해, 찌든 독소등으로부터 건강과 생명을 위협받고 있습니다. 마시는 공기 물에서부터 발암물질과 중금속으로 오염이 되고 농산물은 농약의 공해독소로부터 벗어날 수 없어 마음놓고 먹지 못할 정도입니다   . 화공약품피해자들이 많이 생겨나면서 말 못할 괴질에서 치유가 되지를 않고 고통을 겪으면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입니다. 유황먹은 오리에 대해 그 원리를 밝힌 유일한 문헌인 신약본초의 저자 김일훈 선생은 이 책에서 \"알게 모르게 보음 보양하면서 해독시키는 것은 유황오리가 제일이다\" \"유황은 산삼보다 나은 보양제, 유황먹인 오리는 불로장생의 약이 된다.\" 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유황으로서의 엄청난 양의 기운을 완벽하게 흡수할 수 있는 완전한 유황법제가 지금까지 전해오지 않다가 인산선생에 의해 독극물인 유황이 살아있는 오리라는 생명체를 통해 법제되어 탄생된 것입니다. 그것은 살아있는 금단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완벽한 유황 법제법이 되었습니다.   유황을 1개월쯤 먹이게 되면 장 기능에 약성이 차게 되고 2~3 개월 후에는 살과 피에 약성이 고루 퍼져 6개월 이상이 되면 뼈까지 무독성의 유황성분이 분배됩니다. 유황오리에 때해서는 약간의 설명이 더 필요합니다. 물속에 사는 차가운 수성(水性)의 오리에게 더운 기운을 가진 (火性)의 유황을 먹이면 오리의 해독력이 유황해독을 중화시키면서 상승작용을 일으켜 최상의 해독력과 최대의 약성을 발휘됩니다. 그래서 각종 암,염증,요통,신경통,관절염,류머티즘은 물론 고혈압,동맥경화, 중풍,혈액순환 장애와 정력부족 증세를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효과가 생긴다는 것입니다. 다른 육류는 대부분 산성식품인데 비해 오리고기는 사람 몸에 맞는 약알카리성입니다. 오리기름은 인체에 소화가 잘되는 수용성입니다.   또한 불포화 지방으로 우리인체에 필요한 지방산인 리놀산과 리놀레인산을 함유하여 콜레스테롤 형성을 억제하고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기 때문에 동맥경화나 고혈압에 좋으며 불포화 지방산(45%)이 쇠고기나 돼지고기, 닭고기보다 월등히 높고 필수아미노산과 각종 비타민이 풍부합니다. 단백질은 쌀밥의 6배 대두의 1.4배이며 비타민은 닭고기의 3.5배나 됩니다. 특히 비타민C, 비타민B1, 비타민B2 등의 함량이 높아 지구력을 향상시키고 집중력저하를 막는 한편 만성피로를 몰아내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칼슘,인,철,칼륨 등도 많이 들어있어 중요한 광물질 공급원이기도 합니다. *유황오리는 체질개선을 하지요 산성체질을 건강체질인 약알카리체질로 개선시키는 기능이 있습니다 *또하나의 특징은 피를 맑게 하지요 피속의 혈전이나,콜레스트롤,중금속을 배출시키고 막힌 혈관을 뚫는 작용을 합니다 *산성체질,피가 탁한것,혈관이 막히거나 좁아진것에서 기인하는것,혈액순환 장애에서 기인하는것을 아주 효과적으로 개선시켜 건강을 되찾게 함니다   *담배,술때문에 나타나는 증상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킴니다 *우리 몸속에 중금속을 유황이 배출시키는 기능이 있습니다 *뼈를 튼튼하게 하는 작용이 있습니다 *유황온천이 피부에 좋은것 아시지요 당연히 피부에도 좋아요 피부가 자연스럽게 윤이나고 아름다워짐니다 *어혈배출작용도 합니다 우리는 21세기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옛날의 의학이 지금에 와서 잘 적용안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것은 옛날에 지금처럼 환경오염이 심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 환경적요인이 달라서 지금 우리들의 새로운 건강문제(환경오염,공해,중금속,환경호르몬~~~)를 해결하는데 잘 적용이 안되는 것임니다 유황오리가 바로 지금 우리들의 새로운 건강문제 (환경오염,공해,중금속,환경호르몬~~)을 해결할수 있는 하나의 해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교류의장정다운 게시판
  • 허약체질개선에 좋은 약술
    허약체질개선에 좋은 약술                 허약체질개선에 좋은 약술 IMG {         BORDER-RIGHT: medium none; BORDER-TOP: medium none; BORDER-LEFT: medium none; BORDER-BOTTOM: medium none } SELECT {         FONT-SIZE: 9pt; COLOR: #404040; FONT-FAMILY: \"돋움\", \"굴림\",\"seoul\", \"verdana\", \"arial\"; BACKGROUND-COLOR: #ffffff } BODY {         FONT-SIZE: 9pt; COLOR: #404040; FONT-FAMILY: \"돋움\", \"굴림\",\"seoul\", \"verdana\", \"arial\" } TABLE {         FONT-SIZE: 9pt; COLOR: #404040; FONT-FAMILY: \"돋움\", \"굴림\",\"seoul\", \"verdana\", \"arial\" } TR {         FONT-SIZE: 9pt; COLOR: #404040; FONT-FAMILY: \"돋움\", \"굴림\",\"seoul\", \"verdana\", \"arial\" } TD {         FONT-SIZE: 9pt; COLOR: #404040; FONT-FAMILY: \"돋움\", \"굴림\",\"seoul\", \"verdana\", \"arial\" } TEXTAREA {         FONT-SIZE: 9pt; COLOR: #404040; FONT-FAMILY: \"돋움\", \"굴림\",\"seoul\", \"verdana\", \"arial\" } A:link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A:visited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A:hover {         COLOR: #999999; TEXT-DECORATION: underline } mainlink:hover {         COLOR: #ffffff; TEXT-DECORATION: underline } box {         BORDER-RIGHT: #c4cad1 1px solid; PADDING-RIGHT: 0px; BORDER-TOP: #c4cad1 1px solid; PADDING-LEFT: 3px; FONT-SIZE: 9pt; PADDING-BOTTOM: 0px; BORDER-LEFT: #c4cad1 1px solid; COLOR: #000000; PADDING-TOP: 2px; BORDER-BOTTOM: #c4cad1 1px solid; FONT-FAMILY: \"돋움\", \"굴림\",\"seoul\", \"verdana\", \"arial\"; BACKGROUND-COLOR: #ffffff } s_box {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3px; FONT-SIZE: 9pt; PADDING-BOTTOM: 0px; PADDING-TOP: 2px; FONT-FAMILY: \"돋움\", \"굴림\",\"seoul\", \"verdana\", \"arial\" } ubox {         BORDER-RIGHT: #c4cad1 1px solid; PADDING-RIGHT: 0px; BORDER-TOP: #c4cad1 1px solid; PADDING-LEFT: 3px; FONT-SIZE: 9px; PADDING-BOTTOM: 0px; BORDER-LEFT: #c4cad1 1px solid; COLOR: #000000; PADDING-TOP: 2px; BORDER-BOTTOM: #c4cad1 1px solid; FONT-FAMILY: \"verdana\", \"arial\"; HEIGHT: 18px; BACKGROUND-COLOR: #ffffff } tbox {         BORDER-RIGHT: #c4cad1 1px solid; BORDER-TOP: #c4cad1 1px solid; FONT-SIZE: 9pt; OVERFLOW: auto; BORDER-LEFT: #c4cad1 1px solid; COLOR: #000000; BORDER-BOTTOM: #c4cad1 1px solid; FONT-FAMILY: \"돋움\", \"굴림\",\"seoul\", \"verdana\", \"arial\"; BACKGROUND-COLOR: #ffffff } eng {         FONT-SIZE: 9px; COLOR: #666666; FONT-FAMILY: \"verdana\", \"arial\" } eng2 {         FONT-SIZE: 11px; COLOR: #666666; FONT-FAMILY: \"돋움\", \"arial\" } englink {         FONT-SIZE: 10px; COLOR: #666666; FONT-FAMILY: \"verdana\", \"arial\" } small {         FONT-SIZE: 9px; COLOR: #404040; FONT-FAMILY: \"verdana\", \"arial\" } view {         WORD-BREAK: break-all;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 view2 {         COLOR: #787878; WORD-BREAK: break-all;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 s_link {         COLOR: #1a3588; TEXT-DECORATION: underline } s_link:link {         COLOR: #1a3588; TEXT-DECORATION: underline } s_link:visited {         COLOR: #1a3588; TEXT-DECORATION: underline } s_link:hover {         COLOR: #5573cb; TEXT-DECORATION: underline } blink {         COLOR: #315592; TEXT-DECORATION: none } blink:link {         COLOR: #315592; TEXT-DECORATION: none } blink:visited {         COLOR: #315592; TEXT-DECORATION: none } blink:hover {         COLOR: #5573cb; TEXT-DECORATION: underline } con_link {         COLOR: #0033cc; TEXT-DECORATION: underline } con_link:link {         COLOR: #0033cc; TEXT-DECORATION: underline } con_link:visited {         COLOR: #0033cc; TEXT-DECORATION: underline } con_link:hover {         COLOR: #5573cb; TEXT-DECORATION: underline } gray {         COLOR: #9b9b9b; TEXT-DECORATION: none } gray:link {         COLOR: #9b9b9b; TEXT-DECORATION: none } gray:visited {         COLOR: #9b9b9b; TEXT-DECORATION: none } gray:hover {         COLOR: #999999; TEXT-DECORATION: underline } naver_menu {         COLOR: #333333; FONT-FAMILY: \"굴림\",\"seoul\"; TEXT-DECORATION: none } naver_menu:link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naver_menu:visited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naver_menu:hover {         COLOR: #999999; TEXT-DECORATION: underline } p5 {         PADDING-RIGHT: 5px; PADDING-LEFT: 5px; PADDING-BOTTOM: 0px; PADDING-TOP: 0px } p10 {         PADDING-RIGHT: 10px; PADDING-LEFT: 10px; PADDING-BOTTOM: 0px; PADDING-TOP: 0px } p20 {         PADDING-RIGHT: 20px; PADDING-LEFT: 20px; PADDING-BOTTOM: 0px; PADDING-TOP: 0px } p30 {         PADDING-RIGHT: 30px; PADDING-LEFT: 30px; PADDING-BOTTOM: 0px; PADDING-TOP: 0px } p40 {         PADDING-RIGHT: 40px; PADDING-LEFT: 40px; PADDING-BOTTOM: 0px; PADDING-TOP: 0px } p11 {         FONT-SIZE: 11px } A.p11:link {         FONT-SIZE: 11px } A.p11:visited {         FONT-SIZE: 11px } A.p11:hover {         FONT-SIZE: 11px } A.p11:active {         FONT-SIZE: 11px } u {         TEXT-DECORATION: underline } A.u:link {         TEXT-DECORATION: underline } A.u:visited {         TEXT-DECORATION: underline } A.u:hover {         TEXT-DECORATION: underline } A.u:active {         TEXT-DECORATION: underline } b {         FONT-WEIGHT: bold } A.b:link {         FONT-WEIGHT: bold } A.b:visited {         FONT-WEIGHT: bold } A.b:hover {         FONT-WEIGHT: bold } A.b:active {         FONT-WEIGHT: bold } ls {         LETTER-SPACING: -1px } #b {         FONT-WEIGHT: bold } #o {         COLOR: #ff7635 } gray_b {         FONT-WEIGHT: bold; COLOR: #a0a0a0 } eng_gray {         FONT-SIZE: 9px; COLOR: #9b9b9b; FONT-FAMILY: \"verdana\", \"arial\" } pop_t {         FONT-WEIGHT: bold; COLOR: #ffffff; BACKGROUND-COLOR: #8f8f8f } pop_b01 {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PADDING-BOTTOM: 7px; PADDING-TOP: 10px; BACKGROUND-COLOR: #f7f1e3; TEXT-ALIGN: center } pop_b02 {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PADDING-BOTTOM: 4px; PADDING-TOP: 5px; BACKGROUND-COLOR: #ebebeb; TEXT-ALIGN: center } pop_b03 {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PADDING-BOTTOM: 4px; PADDING-TOP: 5px; BACKGROUND-COLOR: #fef3db } Pt {         FONT-WEIGHT: bold; FONT-SIZE: 14px; COLOR: #333333; FONT-FAMILY: \"돋움\"; LETTER-SPACING: -0.04em } Pt3 {         FONT-WEIGHT: bold; FONT-SIZE: 12px; COLOR: #333333; FONT-FAMILY: \"돋움\"; LETTER-SPACING: -0.04em } ct {         FONT-SIZE: 12px; COLOR: #999999; FONT-FAMILY: \"돋움\"; LETTER-SPACING: -0.04em } #w {         COLOR: #ffffff; TEXT-DECORATION: none } #wb {         COLOR: #ffffff; TEXT-DECORATION: none } mania {         LINE-HEIGHT: 16px } mania:link {         FONT-WEIGHT: bold; COLOR: #3f8d1f; TEXT-DECORATION: none } mania:visited {         FONT-WEIGHT: bold; COLOR: #3f8d1f; TEXT-DECORATION: none } mania:hover {         FONT-WEIGHT: bold; COLOR: #3f8d1f; TEXT-DECORATION: underline } friend {         FONT-WEIGHT: bold; COLOR: #00778d } fbox {         BORDER-RIGHT: #dbd7cd 1px solid; BORDER-TOP: #dbd7cd 1px solid; FONT-WEIGHT: bold; BORDER-LEFT: #dbd7cd 1px solid; COLOR: #616161; BORDER-BOTTOM: #dbd7cd 1px solid; BACKGROUND-COLOR: #fffbf0 } Pt2 {         FONT-WEIGHT: bold; FONT-SIZE: 14px; COLOR: #315592; FONT-FAMILY: \"돋움\"; LETTER-SPACING: -0.04em; TEXT-DECORATION: underline } Pt2:link {         FONT-WEIGHT: bold; FONT-SIZE: 14px; COLOR: #315592; FONT-FAMILY: \"돋움\"; LETTER-SPACING: -0.04em; TEXT-DECORATION: underline } Pt2:visited {         FONT-WEIGHT: bold; FONT-SIZE: 14px; COLOR: #315592; FONT-FAMILY: \"돋움\"; LETTER-SPACING: -0.04em; TEXT-DECORATION: underline } Pt2:hover {         FONT-WEIGHT: bold; FONT-SIZE: 14px; COLOR: #333333; FONT-FAMILY: \"돋움\"; LETTER-SPACING: -0.04em; TEXT-DECORATION: underline } slink {         FONT-WEIGHT: bold; COLOR: #ff3600; TEXT-DECORATION: none } slink:link {         FONT-WEIGHT: bold; COLOR: #ff3600; TEXT-DECORATION: underline } slink:visited {         FONT-WEIGHT: bold; COLOR: #ff3600; TEXT-DECORATION: underline } slink:hover {         FONT-WEIGHT: bold; COLOR: #ff3600; TEXT-DECORATION: none } clink {         COLOR: #404040; TEXT-DECORATION: none } clink:link {         COLOR: #404040; TEXT-DECORATION: none } clink:visited {         COLOR: #404040; TEXT-DECORATION: none } clink:hover {         COLOR: #404040; TEXT-DECORATION: underline } clink2 {         FONT-WEIGHT: bold; COLOR: #404040; TEXT-DECORATION: underline } clink2:link {         FONT-WEIGHT: bold; COLOR: #404040; TEXT-DECORATION: underline } clink2:visited {         FONT-WEIGHT: bold; COLOR: #404040; TEXT-DECORATION: underline } clink2:hover {         FONT-WEIGHT: bold; COLOR: #404040; TEXT-DECORATION: none } cat {         LINE-HEIGHT: 160%; TEXT-ALIGN: justify } category {         HEIGHT: 20px } nav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nav:link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nav:active {         COLOR: #ff7635; TEXT-DECORATION: none } nav:visited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nav:hover {         COLOR: #999999; TEXT-DECORATION: none } co_list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co_list:link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co_list:visited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co_list:hover {         COLOR: #999999; TEXT-DECORATION: underline } buddy_title {         FONT-WEIGHT: bold;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buddy_title:link {         FONT-WEIGHT: bold;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buddy_title:visited {         FONT-WEIGHT: bold;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buddy_title:hover {         FONT-WEIGHT: bold; COLOR: #999999; TEXT-DECORATION: underline } buddy_list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buddy_list :link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buddy_list :visited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buddy_list:hover {         COLOR: #999999; TEXT-DECORATION: underline } sm {         FONT-SIZE: 9px; COLOR: #333333; FONT-FAMILY: verdana } c {         COLOR: #000000 } A.c:link {         COLOR: #000000 } A.c:visited {         COLOR: #000000 } A.c:hover {         COLOR: #000000 } A.c:active {         COLOR: #000000 } w {         COLOR: #ffffff } A.w:link {         COLOR: #ffffff } A.w:visited {         COLOR: #ffffff } A.w:hover {         COLOR: #ffffff } A.w:active {         COLOR: #ffffff } gray01 {         COLOR: #404040 } A.gray01:link {         COLOR: #404040 } A.gray01:visited {         COLOR: #404040 } A.gray01:hover {         COLOR: #404040 } A.gray01:active {         COLOR: #404040 } gray02 {         COLOR: #7d7d7d } A.gray02:link {         COLOR: #7d7d7d } A.gray02:visited {         COLOR: #7d7d7d } A.gray02:hover {         COLOR: #7d7d7d } A.gray02:active {         COLOR: #7d7d7d } gray03 {         COLOR: #7b7b7b } A.gray03:link {         COLOR: #7b7b7b } A.gray03:visited {         COLOR: #7b7b7b } A.gray03:hover {         COLOR: #7b7b7b } A.gray03:active {         COLOR: #7b7b7b } gray05 {         COLOR: #666666 } A.gray05:link {         COLOR: #666666 } A.gray05:visited {         COLOR: #666666 } A.gray05:hover {         COLOR: #666666 } A.gray05:active {         COLOR: #666666 } gray06 {         COLOR: #afafaf } A.gray06:link {         COLOR: #afafaf } A.gray06:visited {         COLOR: #afafaf } A.gray06:hover {         COLOR: #afafaf } A.gray06:active {         COLOR: #afafaf } gr04 {         COLOR: #60964d } A.gr04:link {         COLOR: #60964d } A.gr04:visited {         COLOR: #60964d } A.gr04:hover {         COLOR: #60964d } A.gr04:active {         COLOR: #60964d } gr02 {         COLOR: #3f8d1f } A.gr02:link {         COLOR: #3f8d1f } A.gr02:visited {         COLOR: #3f8d1f } A.gr02:hover {         COLOR: #3f8d1f } A.gr02:active {         COLOR: #3f8d1f } gr01 {         COLOR: #337700 } A.gr01:link {         COLOR: #337700 } A.gr01:visited {         COLOR: #337700 } A.gr01:hover {         COLOR: #337700 } A.gr01:active {         COLOR: #337700 } bl01 {         COLOR: #084d8c } A.bl01:link {         COLOR: #084d8c } A.bl01:visited {         COLOR: #084d8c } A.bl01:hover {         COLOR: #084d8c } A.bl01:active {         COLOR: #084d8c } BODY {          } post {         BORDER-RIGHT: #dcdcdc 1px solid; BORDER-TOP: #dcdcdc 1px solid; BORDER-LEFT: #dcdcdc 1px solid; BORDER-BOTTOM: #dcdcdc 1px solid } P {         MARGIN-TOP: 2px; MARGIN-BOTTOM: 2px } itemSubjectBoldfont {         FONT-WEIGHT: bold; FONT-SIZE: 12px; COLOR: #333333; FONT-FAMILY: \"돋움\"; LETTER-SPACING: -0.04em } V_g {         FONT-WEIGHT: bold; FONT-SIZE: 9px; COLOR: #639933; FONT-FAMILY: \"verdana\", \"arial\" } eng_t {         FONT-SIZE: 9px; COLOR: #7a7a7a; FONT-FAMILY: \"tahoma\", \"arial\" } eng_g {         FONT-SIZE: 9px; COLOR: #999999; FONT-FAMILY: \"tahoma\", \"arial\" } 인삼술(人蔘酒) 효능 및 특성 인삼은 만성 허약체질의 개선에 적당하다. 신경의 흥분 전도를 빠르게 하고 원기를 보충하며, 심장의 수축력을 강하게 한다. 성분은 사포닌 배당체인 파나키론, 정유(精油)인 파나센, 파나키시놀, 비타민B군, 지방산, 미네랄 등이다. 식욕부진, 원기부족, 설사, 자주 피로를 느낄 때, 허약체질, 무기력한 체질의 개선등에 효과적이다. 재 료 고려인삼 15g, 소주 1,000㎖, 설탕 100g, 벌꿀 50g 만드는법 잘게 썬 인삼을 용기에 넣고 소주를 부은 다음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매일 한두번 가볍게 흔들어 준다. 10일이 지나면 개봉하여 천에 거른 다음 생약 찌꺼기를 1/10쯤 다시 넣는다. 여기에 설탕과 벌꿀을 넣고 잘 녹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1개월 후에 뚜껑을 열어 윗부분의 맑은 액만 용기에 따라 붓고, 남은 액은 두 겹의 천으로 거른다. (이 액은 약간 탁한 색을 띠고 있으므로 다른 용기에 담아 이것부터 마시는 것이 좋다) 아름다운 호박색, 격조 높은 향기, 약간 씁쓸하고 감칠맛나는 부드러운 맛이 일품인 약술이 완성된다. 마시는법 1회 20㎖, 1일 2회, 아침·저녁으로 식사 전에 마신다. 참고사항 인삼은 일시적으로 혈압을 높이므로 혈압이 높은 사람은 삼가하는 것이 좋다. 또 체내에 수분을 저장시키는 작용이 있으므로 인삼이 몸에 좋다고 과신해서는 안된다. 황기술(黃 酒) 효능 및 특성 황기는 옛날부터 많이 쓰여온 생약으로, 중추 신경계를 흥분시켜 성 호르몬과 비슷한 작용을 하며, 단백뇨를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혈관 확장 작용도 있어 혈액 순환 장애를 개선시키므로 피로성 심장 쇠약에 사용된다. 남녀 노소를 불문하고 원기를 회복시키고 강화한다. 목소리에 힘이 없고 무력감이 있으며 자주 피로를 느끼는 체질에 적합하다. 그리고 체효의 수독(水毒)을 제거하고 이뇨 작용을 하므로 관절이나 몸에 부종(浮腫)이 있는 사람에게 적합하다.자양 강장, 지한(止汗), 감기에 잘 걸리는 체질을 개선시킴, 이뇨, 류머티스성 관절염, 부종에도 효과적이다. 재 료 황기 150g, 소주 1,000㎖, 설탕 50g, 과당 50g 만드는법 잘게 부순 황기를 용기에 넣고, 소주를 부은 다음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존한다. 매일 한 번씩 살짝 흔들어 준다. 10일 후에 마개를 열고 흰 천으로 거른다. 따라 낸 액은 다시 용기에 붓고, 생약 찌꺼기 약 1/10을 다시 용기에 넣는다. 여기에 설탕과 과당을 넣어 잘 저은 다음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이때 브랜디 10㎖를 추가시키면 향기가 더욱 좋아진다. 1개월이 자나면 개봉하여 윗부분만 따라 낸 다음 남은 부분은 천이나 여과지로 거른다. 맑은 황갈색의 담백한 맛을 지닌 약술이 완성된다. 마시는법 1회 30㎖, 1일 2회, 아침·저녁의 식전이나 식사 사이에 마신다. 하수오술(何首烏酒) 효능 및 특성 하수오에는 혈청 콜레스테롤 강하 작용이 있다. 또 장의 운동을 촉진시켜 변통을 평온하게 조절한다. 지방이 혈관에 달라 붙는 것을 방지하여 동맥경화를 막는다. 그리고 피부의 가려움을 해소한다. 자양 강장, 보혈, 허약 체질, 권태 무력, 병으로 인한 백발, 조기 노화, 조증·울증 등의 억울성 정신병질등에 효과적이다. 재 료 하수오 150g, 소주 1000㎖, 설탕 150g, 과당 50g 만드는법 잘게 썬 하수오를 용기에 넣고 소주를 붓는다.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1일 1회, 가볍게 액을 흔들어 준다. 10일 후에 개봉하여 액을 천으로 거른 다음 다시 용기에 붓는다. 설탕과 과당을 가미하여 녹인다. 생약 찌꺼기 1/10을 다시 용기에 넣고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하다. 약 1∼2개월 후 마개를 열고 용기를 가볍게 기울여 윗부분의 액만 따라 낸 다음 나머지 액은 천 또는 여과지로 걸러 앞의 액과 합친다. 아름다운 적갈색의 독특한 향기와 약간 씁쓸하고 떫은 맛이 감도는 맛좋은 약술이 완성된다. 마시는법 1회 20㎖, 1일 2회, 아침·저녁의 식사 전이나 사이에 마신다. 육종용술 효능 및 특성 강장 강정(强壯强精)을 목적으로 하는 처방에 많이 쓰이는 대표적인 보정제(補精劑)이다. 허리와 다리의 냉통 등에 효과적이고, 성기능을 충실하게 하는 비약(秘藥)으로 손꼽힌다. 장기간 복용해도 부작용이 없다. 양귀비를 비롯한 중국 역대의 황후, 궁중의 여관(女官)들도 몰래 애용하였다고 전해진다. 자양 강장, 강정(强精), 피로, 허약체질, 허리의 나른함, 청력 쇠약, 통변(通便)등에 효과적이다. 재 료 육종용 150g, 소주 1000㎖, 설탕 100g, 벌꿀 50㎖ 만드는법 잘게 썬 육종용을 용기에 넣고 소주를 부은 다음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처음 4,5일은 1일 1회 가볍게 흔들어 준다. 7일 후에 마개를 열어 액을 천으로 거른다. 액은 용기에 다시 담고 설탕과 벌꿀을 넣어 잘 녹인다. 생약 찌꺼기의 1/10을 다시 용기에 넣고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1개월 후에 마개를 열어 액을 천 또는 여과지로 거른다. 흑갈색의 특이한 향기와 달콤한 약술이 완성된다. 마시는법 1회 20㎖, 1일 2,3회, 식사 전이나 공복일 때 또는 식사 사이에 마신다. 민들레술 효능 및 특성 민들레에는 위와 장의 운동을 돕는 작용이 있어 위가 약한 사람이나 설사 변비증이 있는 사람에게 좋다. 특히 술을 담가 꾸준히 마시면 허약체질개선효과가 있다. 재 료 민들레꽃 300g, 소주 1000㎖ 만드는법 이른봄에 핀 민들레꽃을 따서 깨끗이 씻은 다음 체에 받쳐 불기를 뺀다. 손질해둔 민들레꽃과 소주를 밀폐용기에 담고 뚜껑을 닫은 뒤 서늘한 곳에서 2∼3개월 정도 숙성시킨다. 술이 익으면 거즈나 체로 건더기를 걸러내고 술만 받아 유리병에 옮겨 담는다. 마시는법 소주잔으로 1∼2잔씩 하루에 2회 마신다. 술이 약한 사람은 토닉워커나 콜라를 타서 칵테일로 마셔도 좋다.   IMG {         BORDER-RIGHT: medium none; BORDER-TOP: medium none; BORDER-LEFT: medium none; BORDER-BOTTOM: medium none } SELECT {         FONT-SIZE: 9pt; COLOR: #404040; FONT-FAMILY: \"돋움\", \"굴림\",\"seoul\", \"verdana\", \"arial\"; BACKGROUND-COLOR: #ffffff } BODY {         FONT-SIZE: 9pt; COLOR: #404040; FONT-FAMILY: \"돋움\", \"굴림\",\"seoul\", \"verdana\", \"arial\" } TABLE {         FONT-SIZE: 9pt; COLOR: #404040; FONT-FAMILY: \"돋움\", \"굴림\",\"seoul\", \"verdana\", \"arial\" } TR {         FONT-SIZE: 9pt; COLOR: #404040; FONT-FAMILY: \"돋움\", \"굴림\",\"seoul\", \"verdana\", \"arial\" } TD {         FONT-SIZE: 9pt; COLOR: #404040; FONT-FAMILY: \"돋움\", \"굴림\",\"seoul\", \"verdana\", \"arial\" } TEXTAREA {         FONT-SIZE: 9pt; COLOR: #404040; FONT-FAMILY: \"돋움\", \"굴림\",\"seoul\", \"verdana\", \"arial\" } A:link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A:visited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A:hover {         COLOR: #999999; TEXT-DECORATION: underline } mainlink:hover {         COLOR: #ffffff; TEXT-DECORATION: underline } box {         BORDER-RIGHT: #c4cad1 1px solid; PADDING-RIGHT: 0px; BORDER-TOP: #c4cad1 1px solid; PADDING-LEFT: 3px; FONT-SIZE: 9pt; PADDING-BOTTOM: 0px; BORDER-LEFT: #c4cad1 1px solid; COLOR: #000000; PADDING-TOP: 2px; BORDER-BOTTOM: #c4cad1 1px solid; FONT-FAMILY: \"돋움\", \"굴림\",\"seoul\", \"verdana\", \"arial\"; BACKGROUND-COLOR: #ffffff } s_box {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3px; FONT-SIZE: 9pt; PADDING-BOTTOM: 0px; PADDING-TOP: 2px; FONT-FAMILY: \"돋움\", \"굴림\",\"seoul\", \"verdana\", \"arial\" } ubox {         BORDER-RIGHT: #c4cad1 1px solid; PADDING-RIGHT: 0px; BORDER-TOP: #c4cad1 1px solid; PADDING-LEFT: 3px; FONT-SIZE: 9px; PADDING-BOTTOM: 0px; BORDER-LEFT: #c4cad1 1px solid; COLOR: #000000; PADDING-TOP: 2px; BORDER-BOTTOM: #c4cad1 1px solid; FONT-FAMILY: \"verdana\", \"arial\"; HEIGHT: 18px; BACKGROUND-COLOR: #ffffff } tbox {         BORDER-RIGHT: #c4cad1 1px solid; BORDER-TOP: #c4cad1 1px solid; FONT-SIZE: 9pt; OVERFLOW: auto; BORDER-LEFT: #c4cad1 1px solid; COLOR: #000000; BORDER-BOTTOM: #c4cad1 1px solid; FONT-FAMILY: \"돋움\", \"굴림\",\"seoul\", \"verdana\", \"arial\"; BACKGROUND-COLOR: #ffffff } eng {         FONT-SIZE: 9px; COLOR: #666666; FONT-FAMILY: \"verdana\", \"arial\" } eng2 {         FONT-SIZE: 11px; COLOR: #666666; FONT-FAMILY: \"돋움\", \"arial\" } englink {         FONT-SIZE: 10px; COLOR: #666666; FONT-FAMILY: \"verdana\", \"arial\" } small {         FONT-SIZE: 9px; COLOR: #404040; FONT-FAMILY: \"verdana\", \"arial\" } view {         WORD-BREAK: break-all;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 view2 {         COLOR: #787878; WORD-BREAK: break-all;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 s_link {         COLOR: #1a3588; TEXT-DECORATION: underline } s_link:link {         COLOR: #1a3588; TEXT-DECORATION: underline } s_link:visited {         COLOR: #1a3588; TEXT-DECORATION: underline } s_link:hover {         COLOR: #5573cb; TEXT-DECORATION: underline } blink {         COLOR: #315592; TEXT-DECORATION: none } blink:link {         COLOR: #315592; TEXT-DECORATION: none } blink:visited {         COLOR: #315592; TEXT-DECORATION: none } blink:hover {         COLOR: #5573cb; TEXT-DECORATION: underline } con_link {         COLOR: #0033cc; TEXT-DECORATION: underline } con_link:link {         COLOR: #0033cc; TEXT-DECORATION: underline } con_link:visited {         COLOR: #0033cc; TEXT-DECORATION: underline } con_link:hover {         COLOR: #5573cb; TEXT-DECORATION: underline } gray {         COLOR: #9b9b9b; TEXT-DECORATION: none } gray:link {         COLOR: #9b9b9b; TEXT-DECORATION: none } gray:visited {         COLOR: #9b9b9b; TEXT-DECORATION: none } gray:hover {         COLOR: #999999; TEXT-DECORATION: underline } naver_menu {         COLOR: #333333; FONT-FAMILY: \"굴림\",\"seoul\"; TEXT-DECORATION: none } naver_menu:link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naver_menu:visited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naver_menu:hover {         COLOR: #999999; TEXT-DECORATION: underline } p5 {         PADDING-RIGHT: 5px; PADDING-LEFT: 5px; PADDING-BOTTOM: 0px; PADDING-TOP: 0px } p10 {         PADDING-RIGHT: 10px; PADDING-LEFT: 10px; PADDING-BOTTOM: 0px; PADDING-TOP: 0px } p20 {         PADDING-RIGHT: 20px; PADDING-LEFT: 20px; PADDING-BOTTOM: 0px; PADDING-TOP: 0px } p30 {         PADDING-RIGHT: 30px; PADDING-LEFT: 30px; PADDING-BOTTOM: 0px; PADDING-TOP: 0px } p40 {         PADDING-RIGHT: 40px; PADDING-LEFT: 40px; PADDING-BOTTOM: 0px; PADDING-TOP: 0px } p11 {         FONT-SIZE: 11px } A.p11:link {         FONT-SIZE: 11px } A.p11:visited {         FONT-SIZE: 11px } A.p11:hover {         FONT-SIZE: 11px } A.p11:active {         FONT-SIZE: 11px } u {         TEXT-DECORATION: underline } A.u:link {         TEXT-DECORATION: underline } A.u:visited {         TEXT-DECORATION: underline } A.u:hover {         TEXT-DECORATION: underline } A.u:active {         TEXT-DECORATION: underline } b {         FONT-WEIGHT: bold } A.b:link {         FONT-WEIGHT: bold } A.b:visited {         FONT-WEIGHT: bold } A.b:hover {         FONT-WEIGHT: bold } A.b:active {         FONT-WEIGHT: bold } ls {         LETTER-SPACING: -1px } #b {         FONT-WEIGHT: bold } #o {         COLOR: #ff7635 } gray_b {         FONT-WEIGHT: bold; COLOR: #a0a0a0 } eng_gray {         FONT-SIZE: 9px; COLOR: #9b9b9b; FONT-FAMILY: \"verdana\", \"arial\" } pop_t {         FONT-WEIGHT: bold; COLOR: #ffffff; BACKGROUND-COLOR: #8f8f8f } pop_b01 {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PADDING-BOTTOM: 7px; PADDING-TOP: 10px; BACKGROUND-COLOR: #f7f1e3; TEXT-ALIGN: center } pop_b02 {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PADDING-BOTTOM: 4px; PADDING-TOP: 5px; BACKGROUND-COLOR: #ebebeb; TEXT-ALIGN: center } pop_b03 {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PADDING-BOTTOM: 4px; PADDING-TOP: 5px; BACKGROUND-COLOR: #fef3db } Pt {         FONT-WEIGHT: bold; FONT-SIZE: 14px; COLOR: #333333; FONT-FAMILY: \"돋움\"; LETTER-SPACING: -0.04em } Pt3 {         FONT-WEIGHT: bold; FONT-SIZE: 12px; COLOR: #333333; FONT-FAMILY: \"돋움\"; LETTER-SPACING: -0.04em } ct {         FONT-SIZE: 12px; COLOR: #999999; FONT-FAMILY: \"돋움\"; LETTER-SPACING: -0.04em } #w {         COLOR: #ffffff; TEXT-DECORATION: none } #wb {         COLOR: #ffffff; TEXT-DECORATION: none } mania {         LINE-HEIGHT: 16px } mania:link {         FONT-WEIGHT: bold; COLOR: #3f8d1f; TEXT-DECORATION: none } mania:visited {         FONT-WEIGHT: bold; COLOR: #3f8d1f; TEXT-DECORATION: none } mania:hover {         FONT-WEIGHT: bold; COLOR: #3f8d1f; TEXT-DECORATION: underline } friend {         FONT-WEIGHT: bold; COLOR: #00778d } fbox {         BORDER-RIGHT: #dbd7cd 1px solid; BORDER-TOP: #dbd7cd 1px solid; FONT-WEIGHT: bold; BORDER-LEFT: #dbd7cd 1px solid; COLOR: #616161; BORDER-BOTTOM: #dbd7cd 1px solid; BACKGROUND-COLOR: #fffbf0 } Pt2 {         FONT-WEIGHT: bold; FONT-SIZE: 14px; COLOR: #315592; FONT-FAMILY: \"돋움\"; LETTER-SPACING: -0.04em; TEXT-DECORATION: underline } Pt2:link {         FONT-WEIGHT: bold; FONT-SIZE: 14px; COLOR: #315592; FONT-FAMILY: \"돋움\"; LETTER-SPACING: -0.04em; TEXT-DECORATION: underline } Pt2:visited {         FONT-WEIGHT: bold; FONT-SIZE: 14px; COLOR: #315592; FONT-FAMILY: \"돋움\"; LETTER-SPACING: -0.04em; TEXT-DECORATION: underline } Pt2:hover {         FONT-WEIGHT: bold; FONT-SIZE: 14px; COLOR: #333333; FONT-FAMILY: \"돋움\"; LETTER-SPACING: -0.04em; TEXT-DECORATION: underline } slink {         FONT-WEIGHT: bold; COLOR: #ff3600; TEXT-DECORATION: none } slink:link {         FONT-WEIGHT: bold; COLOR: #ff3600; TEXT-DECORATION: underline } slink:visited {         FONT-WEIGHT: bold; COLOR: #ff3600; TEXT-DECORATION: underline } slink:hover {         FONT-WEIGHT: bold; COLOR: #ff3600; TEXT-DECORATION: none } clink {         COLOR: #404040; TEXT-DECORATION: none } clink:link {         COLOR: #404040; TEXT-DECORATION: none } clink:visited {         COLOR: #404040; TEXT-DECORATION: none } clink:hover {         COLOR: #404040; TEXT-DECORATION: underline } clink2 {         FONT-WEIGHT: bold; COLOR: #404040; TEXT-DECORATION: underline } clink2:link {         FONT-WEIGHT: bold; COLOR: #404040; TEXT-DECORATION: underline } clink2:visited {         FONT-WEIGHT: bold; COLOR: #404040; TEXT-DECORATION: underline } clink2:hover {         FONT-WEIGHT: bold; COLOR: #404040; TEXT-DECORATION: none } cat {         LINE-HEIGHT: 160%; TEXT-ALIGN: justify } category {         HEIGHT: 20px } nav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nav:link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nav:active {         COLOR: #ff7635; TEXT-DECORATION: none } nav:visited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nav:hover {         COLOR: #999999; TEXT-DECORATION: none } co_list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co_list:link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co_list:visited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co_list:hover {         COLOR: #999999; TEXT-DECORATION: underline } buddy_title {         FONT-WEIGHT: bold;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buddy_title:link {         FONT-WEIGHT: bold;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buddy_title:visited {         FONT-WEIGHT: bold;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buddy_title:hover {         FONT-WEIGHT: bold; COLOR: #999999; TEXT-DECORATION: underline } buddy_list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buddy_list :link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buddy_list :visited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buddy_list:hover {         COLOR: #999999; TEXT-DECORATION: underline } sm {         FONT-SIZE: 9px; COLOR: #333333; FONT-FAMILY: verdana } c {         COLOR: #000000 } A.c:link {         COLOR: #000000 } A.c:visited {         COLOR: #000000 } A.c:hover {         COLOR: #000000 } A.c:active {         COLOR: #000000 } w {         COLOR: #ffffff } A.w:link {         COLOR: #ffffff } A.w:visited {         COLOR: #ffffff } A.w:hover {         COLOR: #ffffff } A.w:active {         COLOR: #ffffff } gray01 {         COLOR: #404040 } A.gray01:link {         COLOR: #404040 } A.gray01:visited {         COLOR: #404040 } A.gray01:hover {         COLOR: #404040 } A.gray01:active {         COLOR: #404040 } gray02 {         COLOR: #7d7d7d } A.gray02:link {         COLOR: #7d7d7d } A.gray02:visited {         COLOR: #7d7d7d } A.gray02:hover {         COLOR: #7d7d7d } A.gray02:active {         COLOR: #7d7d7d } gray03 {         COLOR: #7b7b7b } A.gray03:link {         COLOR: #7b7b7b } A.gray03:visited {         COLOR: #7b7b7b } A.gray03:hover {         COLOR: #7b7b7b } A.gray03:active {         COLOR: #7b7b7b } gray05 {         COLOR: #666666 } A.gray05:link {         COLOR: #666666 } A.gray05:visited {         COLOR: #666666 } A.gray05:hover {         COLOR: #666666 } A.gray05:active {         COLOR: #666666 } gray06 {         COLOR: #afafaf } A.gray06:link {         COLOR: #afafaf } A.gray06:visited {         COLOR: #afafaf } A.gray06:hover {         COLOR: #afafaf } A.gray06:active {         COLOR: #afafaf } gr04 {         COLOR: #60964d } A.gr04:link {         COLOR: #60964d } A.gr04:visited {         COLOR: #60964d } A.gr04:hover {         COLOR: #60964d } A.gr04:active {         COLOR: #60964d } gr02 {         COLOR: #3f8d1f } A.gr02:link {         COLOR: #3f8d1f } A.gr02:visited {         COLOR: #3f8d1f } A.gr02:hover {         COLOR: #3f8d1f } A.gr02:active {         COLOR: #3f8d1f } gr01 {         COLOR: #337700 } A.gr01:link {         COLOR: #337700 } A.gr01:visited {         COLOR: #337700 } A.gr01:hover {         COLOR: #337700 } A.gr01:active {         COLOR: #337700 } bl01 {         COLOR: #084d8c } A.bl01:link {         COLOR: #084d8c } A.bl01:visited {         COLOR: #084d8c } A.bl01:hover {         COLOR: #084d8c } A.bl01:active {         COLOR: #084d8c } BODY {          } post {         BORDER-RIGHT: #dcdcdc 1px solid; BORDER-TOP: #dcdcdc 1px solid; BORDER-LEFT: #dcdcdc 1px solid; BORDER-BOTTOM: #dcdcdc 1px solid } P {         MARGIN-TOP: 2px; MARGIN-BOTTOM: 2px } itemSubjectBoldfont {         FONT-WEIGHT: bold; FONT-SIZE: 12px; COLOR: #333333; FONT-FAMILY: \"돋움\"; LETTER-SPACING: -0.04em } V_g {         FONT-WEIGHT: bold; FONT-SIZE: 9px; COLOR: #639933; FONT-FAMILY: \"verdana\", \"arial\" } eng_t {         FONT-SIZE: 9px; COLOR: #7a7a7a; FONT-FAMILY: \"tahoma\", \"arial\" } eng_g {         FONT-SIZE: 9px; COLOR: #999999; FONT-FAMILY: \"tahoma\", \"arial\" } 자양강장에 좋은 약술 IMG {         BORDER-RIGHT: medium none; BORDER-TOP: medium none; BORDER-LEFT: medium none; BORDER-BOTTOM: medium none } SELECT {         FONT-SIZE: 9pt; COLOR: #404040; FONT-FAMILY: \"돋움\", \"굴림\",\"seoul\", \"verdana\", \"arial\"; BACKGROUND-COLOR: #ffffff } BODY {         FONT-SIZE: 9pt; COLOR: #404040; FONT-FAMILY: \"돋움\", \"굴림\",\"seoul\", \"verdana\", \"arial\" } TABLE {         FONT-SIZE: 9pt; COLOR: #404040; FONT-FAMILY: \"돋움\", \"굴림\",\"seoul\", \"verdana\", \"arial\" } TR {         FONT-SIZE: 9pt; COLOR: #404040; FONT-FAMILY: \"돋움\", \"굴림\",\"seoul\", \"verdana\", \"arial\" } TD {         FONT-SIZE: 9pt; COLOR: #404040; FONT-FAMILY: \"돋움\", \"굴림\",\"seoul\", \"verdana\", \"arial\" } TEXTAREA {         FONT-SIZE: 9pt; COLOR: #404040; FONT-FAMILY: \"돋움\", \"굴림\",\"seoul\", \"verdana\", \"arial\" } A:link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A:visited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A:hover {         COLOR: #999999; TEXT-DECORATION: underline } mainlink:hover {         COLOR: #ffffff; TEXT-DECORATION: underline } box {         BORDER-RIGHT: #c4cad1 1px solid; PADDING-RIGHT: 0px; BORDER-TOP: #c4cad1 1px solid; PADDING-LEFT: 3px; FONT-SIZE: 9pt; PADDING-BOTTOM: 0px; BORDER-LEFT: #c4cad1 1px solid; COLOR: #000000; PADDING-TOP: 2px; BORDER-BOTTOM: #c4cad1 1px solid; FONT-FAMILY: \"돋움\", \"굴림\",\"seoul\", \"verdana\", \"arial\"; BACKGROUND-COLOR: #ffffff } s_box {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3px; FONT-SIZE: 9pt; PADDING-BOTTOM: 0px; PADDING-TOP: 2px; FONT-FAMILY: \"돋움\", \"굴림\",\"seoul\", \"verdana\", \"arial\" } ubox {         BORDER-RIGHT: #c4cad1 1px solid; PADDING-RIGHT: 0px; BORDER-TOP: #c4cad1 1px solid; PADDING-LEFT: 3px; FONT-SIZE: 9px; PADDING-BOTTOM: 0px; BORDER-LEFT: #c4cad1 1px solid; COLOR: #000000; PADDING-TOP: 2px; BORDER-BOTTOM: #c4cad1 1px solid; FONT-FAMILY: \"verdana\", \"arial\"; HEIGHT: 18px; BACKGROUND-COLOR: #ffffff } tbox {         BORDER-RIGHT: #c4cad1 1px solid; BORDER-TOP: #c4cad1 1px solid; FONT-SIZE: 9pt; OVERFLOW: auto; BORDER-LEFT: #c4cad1 1px solid; COLOR: #000000; BORDER-BOTTOM: #c4cad1 1px solid; FONT-FAMILY: \"돋움\", \"굴림\",\"seoul\", \"verdana\", \"arial\"; BACKGROUND-COLOR: #ffffff } eng {         FONT-SIZE: 9px; COLOR: #666666; FONT-FAMILY: \"verdana\", \"arial\" } eng2 {         FONT-SIZE: 11px; COLOR: #666666; FONT-FAMILY: \"돋움\", \"arial\" } englink {         FONT-SIZE: 10px; COLOR: #666666; FONT-FAMILY: \"verdana\", \"arial\" } small {         FONT-SIZE: 9px; COLOR: #404040; FONT-FAMILY: \"verdana\", \"arial\" } view {         WORD-BREAK: break-all;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 view2 {         COLOR: #787878; WORD-BREAK: break-all;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 s_link {         COLOR: #1a3588; TEXT-DECORATION: underline } s_link:link {         COLOR: #1a3588; TEXT-DECORATION: underline } s_link:visited {         COLOR: #1a3588; TEXT-DECORATION: underline } s_link:hover {         COLOR: #5573cb; TEXT-DECORATION: underline } blink {         COLOR: #315592; TEXT-DECORATION: none } blink:link {         COLOR: #315592; TEXT-DECORATION: none } blink:visited {         COLOR: #315592; TEXT-DECORATION: none } blink:hover {         COLOR: #5573cb; TEXT-DECORATION: underline } con_link {         COLOR: #0033cc; TEXT-DECORATION: underline } con_link:link {         COLOR: #0033cc; TEXT-DECORATION: underline } con_link:visited {         COLOR: #0033cc; TEXT-DECORATION: underline } con_link:hover {         COLOR: #5573cb; TEXT-DECORATION: underline } gray {         COLOR: #9b9b9b; TEXT-DECORATION: none } gray:link {         COLOR: #9b9b9b; TEXT-DECORATION: none } gray:visited {         COLOR: #9b9b9b; TEXT-DECORATION: none } gray:hover {         COLOR: #999999; TEXT-DECORATION: underline } naver_menu {         COLOR: #333333; FONT-FAMILY: \"굴림\",\"seoul\"; TEXT-DECORATION: none } naver_menu:link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naver_menu:visited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naver_menu:hover {         COLOR: #999999; TEXT-DECORATION: underline } p5 {         PADDING-RIGHT: 5px; PADDING-LEFT: 5px; PADDING-BOTTOM: 0px; PADDING-TOP: 0px } p10 {         PADDING-RIGHT: 10px; PADDING-LEFT: 10px; PADDING-BOTTOM: 0px; PADDING-TOP: 0px } p20 {         PADDING-RIGHT: 20px; PADDING-LEFT: 20px; PADDING-BOTTOM: 0px; PADDING-TOP: 0px } p30 {         PADDING-RIGHT: 30px; PADDING-LEFT: 30px; PADDING-BOTTOM: 0px; PADDING-TOP: 0px } p40 {         PADDING-RIGHT: 40px; PADDING-LEFT: 40px; PADDING-BOTTOM: 0px; PADDING-TOP: 0px } p11 {         FONT-SIZE: 11px } A.p11:link {         FONT-SIZE: 11px } A.p11:visited {         FONT-SIZE: 11px } A.p11:hover {         FONT-SIZE: 11px } A.p11:active {         FONT-SIZE: 11px } u {         TEXT-DECORATION: underline } A.u:link {         TEXT-DECORATION: underline } A.u:visited {         TEXT-DECORATION: underline } A.u:hover {         TEXT-DECORATION: underline } A.u:active {         TEXT-DECORATION: underline } b {         FONT-WEIGHT: bold } A.b:link {         FONT-WEIGHT: bold } A.b:visited {         FONT-WEIGHT: bold } A.b:hover {         FONT-WEIGHT: bold } A.b:active {         FONT-WEIGHT: bold } ls {         LETTER-SPACING: -1px } #b {         FONT-WEIGHT: bold } #o {         COLOR: #ff7635 } gray_b {         FONT-WEIGHT: bold; COLOR: #a0a0a0 } eng_gray {         FONT-SIZE: 9px; COLOR: #9b9b9b; FONT-FAMILY: \"verdana\", \"arial\" } pop_t {         FONT-WEIGHT: bold; COLOR: #ffffff; BACKGROUND-COLOR: #8f8f8f } pop_b01 {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PADDING-BOTTOM: 7px; PADDING-TOP: 10px; BACKGROUND-COLOR: #f7f1e3; TEXT-ALIGN: center } pop_b02 {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PADDING-BOTTOM: 4px; PADDING-TOP: 5px; BACKGROUND-COLOR: #ebebeb; TEXT-ALIGN: center } pop_b03 {         PADDING-RIGHT: 0px; PADDING-LEFT: 0px; PADDING-BOTTOM: 4px; PADDING-TOP: 5px; BACKGROUND-COLOR: #fef3db } Pt {         FONT-WEIGHT: bold; FONT-SIZE: 14px; COLOR: #333333; FONT-FAMILY: \"돋움\"; LETTER-SPACING: -0.04em } Pt3 {         FONT-WEIGHT: bold; FONT-SIZE: 12px; COLOR: #333333; FONT-FAMILY: \"돋움\"; LETTER-SPACING: -0.04em } ct {         FONT-SIZE: 12px; COLOR: #999999; FONT-FAMILY: \"돋움\"; LETTER-SPACING: -0.04em } #w {         COLOR: #ffffff; TEXT-DECORATION: none } #wb {         COLOR: #ffffff; TEXT-DECORATION: none } mania {         LINE-HEIGHT: 16px } mania:link {         FONT-WEIGHT: bold; COLOR: #3f8d1f; TEXT-DECORATION: none } mania:visited {         FONT-WEIGHT: bold; COLOR: #3f8d1f; TEXT-DECORATION: none } mania:hover {         FONT-WEIGHT: bold; COLOR: #3f8d1f; TEXT-DECORATION: underline } friend {         FONT-WEIGHT: bold; COLOR: #00778d } fbox {         BORDER-RIGHT: #dbd7cd 1px solid; BORDER-TOP: #dbd7cd 1px solid; FONT-WEIGHT: bold; BORDER-LEFT: #dbd7cd 1px solid; COLOR: #616161; BORDER-BOTTOM: #dbd7cd 1px solid; BACKGROUND-COLOR: #fffbf0 } Pt2 {         FONT-WEIGHT: bold; FONT-SIZE: 14px; COLOR: #315592; FONT-FAMILY: \"돋움\"; LETTER-SPACING: -0.04em; TEXT-DECORATION: underline } Pt2:link {         FONT-WEIGHT: bold; FONT-SIZE: 14px; COLOR: #315592; FONT-FAMILY: \"돋움\"; LETTER-SPACING: -0.04em; TEXT-DECORATION: underline } Pt2:visited {         FONT-WEIGHT: bold; FONT-SIZE: 14px; COLOR: #315592; FONT-FAMILY: \"돋움\"; LETTER-SPACING: -0.04em; TEXT-DECORATION: underline } Pt2:hover {         FONT-WEIGHT: bold; FONT-SIZE: 14px; COLOR: #333333; FONT-FAMILY: \"돋움\"; LETTER-SPACING: -0.04em; TEXT-DECORATION: underline } slink {         FONT-WEIGHT: bold; COLOR: #ff3600; TEXT-DECORATION: none } slink:link {         FONT-WEIGHT: bold; COLOR: #ff3600; TEXT-DECORATION: underline } slink:visited {         FONT-WEIGHT: bold; COLOR: #ff3600; TEXT-DECORATION: underline } slink:hover {         FONT-WEIGHT: bold; COLOR: #ff3600; TEXT-DECORATION: none } clink {         COLOR: #404040; TEXT-DECORATION: none } clink:link {         COLOR: #404040; TEXT-DECORATION: none } clink:visited {         COLOR: #404040; TEXT-DECORATION: none } clink:hover {         COLOR: #404040; TEXT-DECORATION: underline } clink2 {         FONT-WEIGHT: bold; COLOR: #404040; TEXT-DECORATION: underline } clink2:link {         FONT-WEIGHT: bold; COLOR: #404040; TEXT-DECORATION: underline } clink2:visited {         FONT-WEIGHT: bold; COLOR: #404040; TEXT-DECORATION: underline } clink2:hover {         FONT-WEIGHT: bold; COLOR: #404040; TEXT-DECORATION: none } cat {         LINE-HEIGHT: 160%; TEXT-ALIGN: justify } category {         HEIGHT: 20px } nav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nav:link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nav:active {         COLOR: #ff7635; TEXT-DECORATION: none } nav:visited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nav:hover {         COLOR: #999999; TEXT-DECORATION: none } co_list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co_list:link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co_list:visited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co_list:hover {         COLOR: #999999; TEXT-DECORATION: underline } buddy_title {         FONT-WEIGHT: bold;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buddy_title:link {         FONT-WEIGHT: bold;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buddy_title:visited {         FONT-WEIGHT: bold;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buddy_title:hover {         FONT-WEIGHT: bold; COLOR: #999999; TEXT-DECORATION: underline } buddy_list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buddy_list :link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buddy_list :visited {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buddy_list:hover {         COLOR: #999999; TEXT-DECORATION: underline } sm {         FONT-SIZE: 9px; COLOR: #333333; FONT-FAMILY: verdana } c {         COLOR: #000000 } A.c:link {         COLOR: #000000 } A.c:visited {         COLOR: #000000 } A.c:hover {         COLOR: #000000 } A.c:active {         COLOR: #000000 } w {         COLOR: #ffffff } A.w:link {         COLOR: #ffffff } A.w:visited {         COLOR: #ffffff } A.w:hover {         COLOR: #ffffff } A.w:active {         COLOR: #ffffff } gray01 {         COLOR: #404040 } A.gray01:link {         COLOR: #404040 } A.gray01:visited {  &nb
    교류의장정다운 게시판
  • 전 간접구만 떠도 입이 바싹 마르고 허열이 나고 그러네요. 전중혈에 떠야할지 중완과 관원혈은 한 번 실패해서 엄두가 안나고 참.. 족삼리 올 봄에 떳는데 허열이 나고 체력이 떨어지고 1달 누워서 생활했어요. 뜸 뜬 뒤에는 더 몸이 안 좋아요. 그래도 또 뜰려고 하는데 조언 좀 부탁합니다.
    교류의장인산학 체험기
  • 전 소음인이네요^^*
    교류의장정다운 게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