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관절염'(으)로 총 16 개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도해영상 총 1개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게시물 통합 총 10개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노모가 89세인데 심부전과 무릎 관절염으로 고통 중에 계십니다. 혹시 여기서 말하는 쑥뜸과 밭마늘환이 도움이 될까요?
    교류의장인산학 건강상담
  • 4. 난치병인 연주창(連珠瘡), 폐결핵(肺結核), 관절염(關節炎), 신경통(神經痛), 신허요통(腎虛 腰痛), 척추결핵(脊?結核), 척추염(脊?炎)   생강을 잘씻어 가늘게 썰은 다음 프라이팬에 1치(一寸) 두께로 깔고, 도마뱀(石龍子) 1근과 원백강잠(元白?蠶) 1근을 생강위에 얹고   생강 약간 타서 연기가 날 때쯤 불에서 꺼내어 도마뱀과 백강잠을 골라내어 분말한 뒤 오동나무 열매 만한 크기로 알약을 만들어, 하루 두 번 복용하되 50알씩 식사전에 복용하면 신효하다.
    인산학구세신방
  •   9. 집오리(家鴨)로 늑막염(肋膜炎) 관절염(關節炎)을 치료   집오리를 털과 똥을 제거한 뒤 머리와 발과 내장을 모두 함께 솥에 넣고 푹 삶은 후에 식히면 표면에 기름이 뜬다.   그 기름을 걷어내고, 금은화(金銀花) 1근(一斤) 건칠피(乾漆皮) 1근(一斤) 생강으로 법제한 오공 3백마리 (蜈蚣三百)를 모두 오리와 함께 넣고 진하게 달여서 복용하면 매 우 신효하며 또한 골수암(骨髓癌)에도 효과가 있고 복막 염(腹膜炎)에도 사향(麝香) 1푼(一分)을 가미하여 복용하면 신효하다.   ♦오공법제: 생강 2근(二斤)을 깨끗이 씻어 얇게 썰어 프라이팬에 깔고 그위에 오공 3백마리를 흩어놓은 다음 불위에 얹고 생강이 타서 연기가 한참 난 후에 프라라 이팬을 불에서 꺼내어 오공만 골라내서 쓴다.
    인산학구세신방
  • [재미있는 한방이야기]홍화와 홍화씨 관절염`골다공증 예방`치료에 도움…어혈 없애는 작용     대부분의 사람들은 홍화를 뼈를 좋게 하는 약재라고 여긴다. 오래전부터 홍화씨는 뼈와 관절염, 골절, 골다공증에 좋고 어린이의 성장에 도움이 된다고 확대 해석돼 차 등으로 음용되고 있다.   홍화(紅花)는 7, 8월쯤 황색에서 홍색으로 변할 때 따서 음지에서 건조한다. 이집트가 원산지이며, 한국과 중국 남부지방에서 생산되고 있다. 우리나라 기후에 잘 맞아 전국적인 재배가 가능하며, 따뜻한 남부지방에서 잘 자란다. 홍화는 예부터 한약재와 염색재료로 많이 쓰여 온 식물로, 꽃잎(홍화)과 씨앗(홍화자)이 약재로 쓰이고 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미라를 감싸는 포를 물들이는 데 사용했으며, 우리나라 여성들도 홍화로 물들인 속옷을 입었다고 한다. 전통혼례 때 신부 얼굴에 바른 연지곤지도 홍화로 만든 것이다. 이와 같이 홍화는 약재뿐만 아니라 우리 생활에 이롭게 사용돼 왔다.   한의학에 따르면 홍화는 소량을 사용하면 혈을 잘 순환하게 하고 경맥을 원활하게 소통시키고 통증을 멈추게 하는 작용을 한다. 대량을 사용하면 혈을 파괴하고 어혈(瘀血`체내의 혈액이 일정한 자리에 정체돼 노폐물이 많아져 생기는 한의학상의 병증)을 없애는 작용을 하며, 임신부가 먹으면 낙태한다고 한다.   주로 한방에서는 처방할 때 소량을 사용하며, 오랜 기간 사용하는 약재는 아니다. 주로 어혈로 인해 월경(月經)이 갑자기 나오지 않거나, 복부의 종양이 있거나, 출산시 난산이거나, 산후 자궁 내 오로(惡露`해산 후 음문에서 흐르는 액체)가 잘 나오지 않아 복통이 생기거나, 생리통이 심하거나, 신체에 타박상 등이 있을 경우 쓰이는 약재다.   홍화씨(紅花子)는 홍화의 열매로, 껍질이 아주 딱딱하고 납작하며 색이 희다. 그래서 백평자(白平子)라고도 한다. 홍화자는 한방에서 많이 사용하는 약재는 아니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에 따르면 혈을 잘 순환하게 하며, 독을 푸는 작용이 있다.   몸에 난 부스럼이 잘 치유되지 않거나, 여자들의 복통`생리통에 사용한다고 언급돼 있다. 약리학적으로 보면 홍화씨는 리놀산과 같은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아 심혈관계 질환이나 콜레스테롤이 높을 때 쓸 수 있으며, 칼슘과 마그네슘, 칼륨 등의 무기질을 함유하고 있어 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하지만 한방에서 홍화와 홍화씨는 어혈로 인한 자궁질환이나 신체의 타박으로 말미암은 통증성 질환에 주로 사용하고 있다. 혈액순환을 좋게 해 통증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홍화씨는 구성물질로 보면 뼈질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한의학적 논리와 일반인들이 알고 있는 사실과는 상반된다. 예를 들어 골절이 되면 그 부위에 어혈이 생긴다.   이때 어혈을 없애줌으로써 접골에 도움이 되는 것이지, 이것이 직접 뼈세포에 작용하는 것은 아닌데도 와전되었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홍화씨는 매우 단단하기 때문에 분쇄기로 밀가루 분말처럼 만든 후 사용해야 한다. 지방(홍화유)이 많아 소화기가 약한 사람이 먹으면 소화불량으로 속이 더부룩하고, 장이 약한 사람은 설사가 일어날 수 있다.   홍화씨는 공기와 접촉하면 맛과 색이 변하고 불쾌한 냄새가 날 수 있어 보관할 때 주의해야 한다. 홍화와 홍화씨는 약의 성질이 강하기 때문에 임신부와 위나 장의 염증이나 궤양이 있거나, 몸이 허약한 체질, 출혈성 질환을 갖고 있는 경우 복용하면 안 된다.   좋은 약도 함부로 쓰면 오히려 몸에 독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모현철기자 momo@msnet.co.kr  
    신약의세계홍화씨

신약의 세계 총 2개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재미있는 한방이야기]홍화와 홍화씨 관절염`골다공증 예방`치료에 도움…어혈 없애는 작용     대부분의 사람들은 홍화를 뼈를 좋게 하는 약재라고 여긴다. 오래전부터 홍화씨는 뼈와 관절염, 골절, 골다공증에 좋고 어린이의 성장에 도움이 된다고 확대 해석돼 차 등으로 음용되고 있다.   홍화(紅花)는 7, 8월쯤 황색에서 홍색으로 변할 때 따서 음지에서 건조한다. 이집트가 원산지이며, 한국과 중국 남부지방에서 생산되고 있다. 우리나라 기후에 잘 맞아 전국적인 재배가 가능하며, 따뜻한 남부지방에서 잘 자란다. 홍화는 예부터 한약재와 염색재료로 많이 쓰여 온 식물로, 꽃잎(홍화)과 씨앗(홍화자)이 약재로 쓰이고 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미라를 감싸는 포를 물들이는 데 사용했으며, 우리나라 여성들도 홍화로 물들인 속옷을 입었다고 한다. 전통혼례 때 신부 얼굴에 바른 연지곤지도 홍화로 만든 것이다. 이와 같이 홍화는 약재뿐만 아니라 우리 생활에 이롭게 사용돼 왔다.   한의학에 따르면 홍화는 소량을 사용하면 혈을 잘 순환하게 하고 경맥을 원활하게 소통시키고 통증을 멈추게 하는 작용을 한다. 대량을 사용하면 혈을 파괴하고 어혈(瘀血`체내의 혈액이 일정한 자리에 정체돼 노폐물이 많아져 생기는 한의학상의 병증)을 없애는 작용을 하며, 임신부가 먹으면 낙태한다고 한다.   주로 한방에서는 처방할 때 소량을 사용하며, 오랜 기간 사용하는 약재는 아니다. 주로 어혈로 인해 월경(月經)이 갑자기 나오지 않거나, 복부의 종양이 있거나, 출산시 난산이거나, 산후 자궁 내 오로(惡露`해산 후 음문에서 흐르는 액체)가 잘 나오지 않아 복통이 생기거나, 생리통이 심하거나, 신체에 타박상 등이 있을 경우 쓰이는 약재다.   홍화씨(紅花子)는 홍화의 열매로, 껍질이 아주 딱딱하고 납작하며 색이 희다. 그래서 백평자(白平子)라고도 한다. 홍화자는 한방에서 많이 사용하는 약재는 아니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에 따르면 혈을 잘 순환하게 하며, 독을 푸는 작용이 있다.   몸에 난 부스럼이 잘 치유되지 않거나, 여자들의 복통`생리통에 사용한다고 언급돼 있다. 약리학적으로 보면 홍화씨는 리놀산과 같은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아 심혈관계 질환이나 콜레스테롤이 높을 때 쓸 수 있으며, 칼슘과 마그네슘, 칼륨 등의 무기질을 함유하고 있어 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하지만 한방에서 홍화와 홍화씨는 어혈로 인한 자궁질환이나 신체의 타박으로 말미암은 통증성 질환에 주로 사용하고 있다. 혈액순환을 좋게 해 통증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홍화씨는 구성물질로 보면 뼈질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한의학적 논리와 일반인들이 알고 있는 사실과는 상반된다. 예를 들어 골절이 되면 그 부위에 어혈이 생긴다.   이때 어혈을 없애줌으로써 접골에 도움이 되는 것이지, 이것이 직접 뼈세포에 작용하는 것은 아닌데도 와전되었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홍화씨는 매우 단단하기 때문에 분쇄기로 밀가루 분말처럼 만든 후 사용해야 한다. 지방(홍화유)이 많아 소화기가 약한 사람이 먹으면 소화불량으로 속이 더부룩하고, 장이 약한 사람은 설사가 일어날 수 있다.   홍화씨는 공기와 접촉하면 맛과 색이 변하고 불쾌한 냄새가 날 수 있어 보관할 때 주의해야 한다. 홍화와 홍화씨는 약의 성질이 강하기 때문에 임신부와 위나 장의 염증이나 궤양이 있거나, 몸이 허약한 체질, 출혈성 질환을 갖고 있는 경우 복용하면 안 된다.   좋은 약도 함부로 쓰면 오히려 몸에 독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모현철기자 momo@msnet.co.kr  
    신약의세계홍화씨
  •     산천에 수북한 신경통 · 관절염의 영약-―소나무 뿌리     그러면 그 소나무의 비밀이 또 제한이 없다. 그래서 내가 신경통 · 관절염 모두 이런 산후병, 이런 데 신통한 약은 우리나라 재래종 소나무라. 소나무가 잎사귀 셋이요, 거 관목이오. 그러면 그놈이 동쪽으로 뻗은 뿌럭지[뿌리], 황토에 선 소나무, 동쪽으로 뻗은 뿌럭지를 써라, 내가 일러준다.       그럼 그 뿌럭지는 왜 그러냐? 요놈이, 소나무가 이슬이 맺힌다? 이슬이 맺히면 아침에 해 뜰 적에 해를 먼저 받아. 태양광을 먼저 받으면 태양광 속에서 우주의 비밀이 전부 담겨 올 적에 그 비밀을 먼저 맞는 건 그 소나무 동쪽으로 뻗은 가지, 거기에 이슬, 이슬 속으로 모여든다.     그러면 그 태양 힘으로 이슬이 말라 가지고 잎사귀 속으로 들어가면 동쪽으로 흘러내려요. 이 나무에 나이테라는 거 있어요. 그래서 동쪽으로 흘러내리면 또 이슬이 떨어지게 되면 땅에서 동쪽으로 뻗은 뿌럭지가 그 이슬을 받게 된다.       그래서 모든 그 우주의 비밀 속에 서쪽에나 남쪽에나 북쪽은 많이 약하고 오직 동쪽만 강하다. 그래서 이 동쪽 뿌럭지를 황토에 선 소나무, 동쪽 뿌럭지를 잘라서 쓰는데. 일본서 온 해송(海松)도 안되고 미국서 온 미송(美松)도 훨씬 약해요. 건 내가 다 실험한 거라, 이런데.   그래서 관절염 · 신경통 · 요통 이런 어려운 증상에, 어혈(瘀血 ; 죽은피, 놀랜 피) 이런데, 이 소나무 뿌리 그것이 그렇게 신비약인데.   왜 그런 나무가 산천에 우린 수북한데 그런 병자는 그대로 앓느냐? 뭐 병원에 가니까 관절염은 못 고친다고 한다, 신경통도 못 고친다고 한다, 당뇨도 못 고친다, 당뇨를 못 고친다면 왜 못 고치느냐? 두부 같은 거 먹으면 좋다, 거 영양물이겠지.  
    신약의세계동물/식물

인산학 총 5개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4. 난치병인 연주창(連珠瘡), 폐결핵(肺結核), 관절염(關節炎), 신경통(神經痛), 신허요통(腎虛 腰痛), 척추결핵(脊?結核), 척추염(脊?炎)   생강을 잘씻어 가늘게 썰은 다음 프라이팬에 1치(一寸) 두께로 깔고, 도마뱀(石龍子) 1근과 원백강잠(元白?蠶) 1근을 생강위에 얹고   생강 약간 타서 연기가 날 때쯤 불에서 꺼내어 도마뱀과 백강잠을 골라내어 분말한 뒤 오동나무 열매 만한 크기로 알약을 만들어, 하루 두 번 복용하되 50알씩 식사전에 복용하면 신효하다.
    인산학구세신방
  •   9. 집오리(家鴨)로 늑막염(肋膜炎) 관절염(關節炎)을 치료   집오리를 털과 똥을 제거한 뒤 머리와 발과 내장을 모두 함께 솥에 넣고 푹 삶은 후에 식히면 표면에 기름이 뜬다.   그 기름을 걷어내고, 금은화(金銀花) 1근(一斤) 건칠피(乾漆皮) 1근(一斤) 생강으로 법제한 오공 3백마리 (蜈蚣三百)를 모두 오리와 함께 넣고 진하게 달여서 복용하면 매 우 신효하며 또한 골수암(骨髓癌)에도 효과가 있고 복막 염(腹膜炎)에도 사향(麝香) 1푼(一分)을 가미하여 복용하면 신효하다.   ♦오공법제: 생강 2근(二斤)을 깨끗이 씻어 얇게 썰어 프라이팬에 깔고 그위에 오공 3백마리를 흩어놓은 다음 불위에 얹고 생강이 타서 연기가 한참 난 후에 프라라 이팬을 불에서 꺼내어 오공만 골라내서 쓴다.
    인산학구세신방
  •   제 9장   신경통. 관절염. 척수암. 골수암     1) 신경통. 관절염   신경통에는 오래 묵은 무우씨 1근을 볶아서 우슬 1근과 모과 반근을 토종 닭 1마리에 함께 넣고 푹 달여서 복용하면 병의 경중에 따라 몇 마리 안 되어 쾌차하게 된다. 또 신경통과 관절염을 다같이 치료할 수 있는 처방은 다음과 같다. 국산 고추가루 3되와 우슬 2근, 모과 1근, 백두옹 1근을 함께 가루를 낸 뒤 청량미(새파란 차좁쌀) 5되와 함께 술을 만들어 두고 조금씩 마시다가 약간씩 양을 늘려 마신다.     2) 신허요통. 신경통   :이의 처방은 척수염항의 도마뱀을 이용한 처방과 동일하다. 그러나 진소음인의 신허요통에는 위의 방법을 쓰지 않고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치료한다. 곧 지네 5백 마리와 부자 5냥을 각각 생강에 법제하되 지네는 법제한 뒤 말려서 가루를 만든다. 그런 다음 법제한 부자 1돈과 생강 5돈으로 차를 끓여 이 차에 법제한 지네가루 1돈을 타서 복용한다.     처음에는 조금씩 복용하다가 차도를 보아 가며 점차 늘린다. 신허요통. 신경통의 또 다른 처방으로 또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불개미 1홉을 하루 저녁 소주에 담가 두었다가 고운 체에 술을 밭아 식전에 조금씩 먹고, 그 불개미는 불에 잘 볶은 다음 이를 분말하여 불개미를 담갔던 술에 먹는다.     이것은 몸에 맞지 않는 사람도 있으므로 먼저 1홉을 먹어 본 뒤 몸에 이상이 없으면 나을 때까지 계속 먹도록 한다. 신경통 및 고혈압, 변비, 장여은 소주 반홉에 참기름을 3숟갈씩 타서 마신다. 이는 본래 신경통 약이나 오래 마시면 고혈압, 변비, 장염도 치료된다.     3) 노인의 고치. 신경통. 요통. 중풍 예방   :이에는 가미청위산과 송진을 알약으로 만들어 복용한다. 곧 승마 2돈, 목단피 1돈반, 당귀. 생지황. 백지. 황련. 산치자. 원방풍. 석고 각 1돈, 형개. 박하 각 5푼, 영사 1돈으로 지은 첩약 1제를 분말한 뒤 이를 꿀로 반죽하여 오동나무씨 만한 크기로 알약을 만든다. 그리고 또 송진을 법제한 뒤 참기름을 남비에 끓여서 송진을 적당량씩 넣고 반죽하여 이 또한 오동나무씨 만한 크기로 알약을 만든다. 그런 다음 앞의 가미청위산 알약 30알과 뒤의 송진 알약 20알을 합하여 도합 50알씩 하루 2번 식전에 밥숭늉에 복용한다. *송진 법제법:송진을 막걸리에 넣고 푹 끓여서 식힌 다음 송진이 굳어지면 막걸리를 버린다. 그러면 송진의 불순물이 다 제거 된다.     4) 남녀 견비통   :이에는 할담탕을 달여서 복용한다.   *할담탕:산치자(볶은 것). 진피. 해동피. 합환피. 화피. 지각. 길경 각 8푼, 적작약. 창출. 향부자 걱 7푼, 백복령 6푼, 천궁. 강황 각 5푼, 원감초 2푼.     5) 관절염 및 기관지 늑막염. 폐선 늑막염. 결핵 늑막염. 어혈 늑막염   :관절염과 모든 늑막염에는 집오리를 이용한 처방이 좋다. 살찐 큰 집오리 1마리를 털과 똥만 제거하고 푹 달여서 식히면 표면에 기름이 뜬다.   그 기름을 걷어 버리고 다시 더운 물을 부은 뒤 금은화 1근반, 마른 옻나무 껍질 1근, 생강으로 법제한 지네 3백 마리를 넣고 함께 푹 달인다.     그런 다음 찌꺼기는 짜버리고 약물이 1되 가량 되게 졸여서 두고두고 조금씩 자주 복용한다. *지네 법제법:생강 2근을 깨끗이 씻어 얇게 썰어 프라이팬에 깔고 그 위에 지네 3백 마리를 흩어 놓은 다음, 이를 불위에 얹고 생강이 타서 연기가 한참 난 뒤에 불에서 프라이팬을 꺼내고 지네만 골라내서 쓴다.     6) 어혈   :먼저 온돌방을 뜨겁게 달군 뒤 솔잎 두가마니를 온돌방에 깔고 그 위에 홑이불을 편다. 그리고 소주 1홉에 웅담 1푼을 타서 마시고 홑이불 위에서 이불을 덮고 이마 위에도 수건을 둘러 찬 기운이 범하지 않게 한 뒤 푹 땀을 내면 어혈이 깨끗하게 낫는다. 웅담이 없어 이렇게 할 수 없을 때는 다음과 같이 한다. 곧 깊은 산에서 자생한 측백엽 3냥을 술을 뿜어 하룻 저녁 두었다가 시루에 찌고 다시 술을 뿜어서 찌는 것을 9번 반복한다.     이렇게 한 측백엽에 배사물탕 1첩을 두고 푹 달인 다음 이 약물에 소주 반홉을 타서 마시고 솔잎땀을 낸다 이는 오래된 어혈에도 좋다. 이렇게 한본 땀을 내게 되면 어혈을 대개 풀리는데 측백엽으로 땀을 내는 것은 곧 웅담을 먹고 솔잎땀을 내는 것과 같은 효과를 보게 된다.     *배사물탕:숙지황, 당귀, 천궁, 작약 각 2돈 5푼.   아주 오래된 어혈은 아픈 당처에 쑥뜸을 5분간 타는 것으로 1백장 가량 뜨고 고약을 붙여 고름을 뺀다. 어혈은 오래되면 염과 담. 냉. 습. 풍이 되는데, 병이 이렇게 깊어지면 모든 약이 뜸만 못하게 된다. 심한 관절염과 고혈압도 어혈에서 오고, 각종 암도 어혈에서 죽은 피에서 비롯되어 결국 암으로 종신하게 되는 것이다.   어혈을 소홀히 하면 죽은 피는 염증으로 변하고, 염증은 인체 내에서 독성으로 화하며, 독성은 독종인 옹종으로 변하고, 옹종은 또 위옹. 비옹. 폐옹. 대장옹. 간옹. 담낭옹. 신옹. 방광옹 심옹. 소장옹. 심포락옹. 삼초옹. 십이장옹. 식도옹. 설옹 구옹. 치근옹. 인후옹. 사지. 피부옹 및 인류공동의 숙적인 암으로 발전하게 된다.   사혈의 원인은 주색 과로와 타박상 등으로 오게 된다. 술을 너무 많이 마시면 얼굴이 창백하고, 과로하여도 얼굴이 창백하고, 중병으로 오래 앓아도 얼굴이 창백해지는데 모두 죽은 피의 주요 원인이 된다.   이렇게 과음. 과색 및 타박상 등으로 어혈이 들어 체내에 죽은 피가 축적되면 공해독의 침입을 받아 중병과 암으로 고생하게 된다.     7) 주마담과 음성 혈관암   :유독성 사혈이 전신의 혈관을 좇아 다니며 일정한 장소가 없이 여기저기 새알같이 툭 삐져 나오면서 발병하였다가 없어지곤 하는 것이 양성 혈관암으로 곧 주마담이다. 이 주마담이 오래되어서 여기저기 곪아 터지기 시작하면 고치기가 어려우며, 또 이러한 현상이 전신에 퍼지게 되면 매우 위험하다.   이에는 도마뱀을 이용한 처방이 좋다. 먼저 생강을 잘 씻어 가늘게 썰은 다음 프라이팬에 1치 두께로 깔고 도마뱀 1근과 원백강잠 1근을 생강 위에 얹어 이를 불위에 올려 놓고 찐다. 생강이 약간 타서 연기가 날 때쯤 불에서 꺼내어 도마뱀과 백강잠을 골라내어 이를 분말한 뒤 오동나무씨 만한 크기로 알약을 만든다.   이를 하루 2번씩 진한 생강차에 복용하되 1번에 50알씩 식사 전에 복용한다. 유독성 사혈이 뭉쳐서 혹이 된 것을 음성 혈관암이라 하며, 이는 한군데 그대로 있다.   이의 첫째가는 처방으로는 토웅담 1푼을 소주 1잔에 타서 먹되 하루 2번씩 식전에 복용한다. 토웅담을 구할 수 없을 때 대용할 수 있는 두 번째 처방으로는 앞의 도마뱀을 이용한 양성 혈관암의 처방을 쓰면 된다.     8) 골수염. 골수암 및 속골 처방     가) 집오리 1마리를 털과 똥, 및 쓸개만을 버리고 푹 삶아서 식힌 뒤 표면에 뜬 기름을 걷어낸 다음, 여기에 금은화 1근을 넣고, 더운물 1초롱을 부은 뒤 오래 달여서 이 약물에 가미금액단을 50알씩 식전에 복용한다.     가미금액단은 제 22장 제 9절  아기가 밤에 우는 병 을 참조하라.     나) 또는 위와 같이 살찐 큰 집오리 1마리를 털과 똥, 쓸개만을 버리고 푹 달여서 식히면 표면에 기름이 뜨는데 그 기름을 걷어 버리고 다시 더운 물을 부은 뒤 금은화 1근반, 마른 옻나무 껍질 1근, 생강으로 법제한 지네 3백 마리를 넣고 함께 푹 달인다. 그런 다음 찌꺼기는 짜버리고 약물이 1되 가량 되게 졸여서 두고두고 조금씩 자주 복용한다.     *지네 법제법:생강 2근을 깨끗이 씻어 얇게 썰어 프라이팬에 깔고 그 위에 지네 3백 마리를 흩어 놓은 다음 불위에 얹고 생강이 타서 연기가 한참 난 뒤에 불에서 프라이팬을 꺼내고 지네만 골라내서 쓰되, 이렇게 3번을 반복하여 말리어 쓴다.     다) 또는 난치이거나 재발시에는 마늘뜸으로 치료하도록 한다.   천개어자하니 골속천이요, 지벽어축하니 육속지며, 인생어인하니 모발은 속어인이다 그러므로 골수암의 치료는 생기일 밤 12시에 뜸을 시작해야 한다. 그후에는 언제든지 떠도 무방하다. 고름이 나온 곳이나 환부 중 심한 곳에 마늘뜸을 뜬 다음 완치될 때까지 고약을 계속 갈아 붙인다.   마늘뜸은 큰 마늘 5쪽을 껍질을 까서 곱게 다진 뒤 당처에 6푼 두께로 펴놓고 뜸장을 15~30분 타는 정도의 크기로 만들어 30장 이상을 뜨면 고도의 열과 강한 자극 및 인력으로 고름을 끌어냄으로써 치료가 된다.   고름이 그칠 때까지 계속고약을 갈아 붙인다.   골수염. 골수암을 수술할 때 고굉골을 절단하거나 천공하고 치료한 뒤 고름을 뺀 사람과 폐암. 폐결핵으로 늑골을 절단한 경우에는 앞의 나)의 처방으로 다스리되 최소한 15마리 이상을 복용해야  한다. 혹 3년을 전후하여 재발할 겅우에는 고름을 뺀 당처에 앞의 다)와 같은 방법으로 치료하도록 하라.     9) 척수염. 척수암. 척수결핵   :생강을 잘 씻어 가늘게 썰은 다음 프라이팬에 1치 두께로 깔고 도마뱀 1근과 원백강잠 1근을 생강위에 얹어 이를 불 위에 올려 놓고 찐다.   생강이 약간 타서 연기가 날 때쯤 불에서 꺼내어 도마뱀과 백강잠 1근을 골라내어 이를 분말한 뒤 오동나무씨 만한 크기로 알약을 만든다.   이를 하루 2번씩 진한 생강차에 복용하되 1번에 50알씩 식사 전에 복용한다.     10) 결핵 관절염. 결핵 척수염. 신경통 관절염   :이에는 가미대방풍탕 1제를 지어 하루 2첩씩, 아침 저녁으로 1첩씩 달여 식전에 복용한다.     *가미대방풍탕:우슬(구증구포:정종을 뿜어 시루에 찌어 말리는 것을 9번 반복함) 1냥, 목과(구증구포) 5돈, 백두옹(구증구포) 5돈,숙지황(구증구포) 3돈, 백출. 원방풍. 당귀. 백작약. 원두충. 황저 각 1돈반, 경포부자. 천궁 강활. 인삼. 원감초 각 5푼. 위의 약으로 완치가 안 될 경우에는 다음의 치료 방법으로 대처 한다.   생강을 얇게 썰어서 1치 두께로 깔고 그 위에 도마뱀과 백강잠 각 1근씩을 함께 얹어 놓고 양재기를 덮어서 불 위에 얹어 놓는다. 김이 나다가 연기가 나기 시작한 뒤 5분 정도 되면 불에서 꺼낸다.   도마뱀은 냄새를 맡아보고 부패한 냄새가 전혀 없는 것이라야 약으로 쓸 수 있다. 생강 법제한 도마뱀과 백강잠을 방아간에 가서 이를 함께 빻아서 그 가루를 생강차에 1숟가락씩, 식사 전에 하루 2회 복용한다.   그리고 위의 백강잠은 생강 법제 이전에 짤라 보고 샛노란 아교가 있어 잘 안부러지는 것을 쓴다. 퍼석퍼석하며 잘 부러지는 것은 썩은 것이므로 쓰지 말라.   또 다른 치료 방법으로는(도마뱀을 구하지 못할 경우) 양쪽 족삼리혈을 나을 때까지 뜨되 처음에는 작은 뜸장으로 뜨도록 하라.     뜸뜨는 시기는 봄.가을이 좋지만 치료가 급한 경우에는 여름. 겨울이라도 부득이 뜸을 떠야 할 것이다.
    인산학신약
  • 6. 신경통 관절염(關節炎)
      6. 신경통 관절염(關節炎)   국산 고춧가루 3되와 우슬(牛膝) 2근, 모과(木瓜) 1근, 백두옹(白頭翁) 1근을 함께 가루 낸뒤 청량미(靑梁米) 5되와 같이 술을 만들어 두고 조금씩 마시다가 약간씩 양을 늘려 마시라
    인산학구세신방

인산의학 총 1개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신경통(神經痛, neuralgia), 관절염(關節炎, arthritis), 산후풍(産後風) 1. 산후풍(産後風)의 원인 및 여성에 흔한 질병의 병리(病理) 1) 대개 자궁 수술한 뒤에 온다. 수술할 때 간에서 자궁에 오는 혈관과 신장에서 자궁에 오는 혈관이 복잡하게 되어 있는데 이 두 장기에서 오는 핏줄이 수술시에 엇갈려 봉합되어 산후풍이 온다. 수술 5년 후에는 간병(肝病)이 오고 10년이면 신장병이 온다. 2) 유산(流産)시에 애기 내리고 채 내리지 않은 피가 있는데 여기에 음식물과 식수로 섭취한 공해독이 합하여 생기는 병이다. 3) 음력 7월경, 입추(立秋), 처서(處暑)경에 해산하면 환절기의 고비를 넘길 기운이 모자라서 병이 온다. 4)애기가 들어설 때 애기 되는 것은 간에서 오는 피, 간은 곤(坤), 영(靈), 신(神)이 있는 곳인데 즉 간은 혼이다(肝臟魂). 간에서 혼이 가야 애기가 생기게 되어 있는데 혼(魂)이 간을 거쳐 들어간다. 그래서 낙태하면 간이 자연히 망가진다. 그래서 여자들은 낙태 후에 병이 생긴다. 5) 쑤시고 저리고 하는 것은 간에 탈이 나서 혈관의 혈액 유통 부전(不全)에서 생긴다. 그래서 여자의 병에 당귀와 천궁을 쓰는 것은 이것이 생혈(生血)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강활과 원방풍은 피 순환을 촉진시키니까 쓰는 것이다. 익모초는 생혈(生血)하고 어혈(瘀血)은 파혈(破血)한다. 6) 상처 즉 외부의 상처로 오는 파상풍(破傷風)과 산후 파상풍은 다른데, 애기 낳을 때 상처로 오는 파상풍은 상풍(傷風)이다. 이것은 두통이 따른다. 7) 산후 중풍은 산후풍과도 다르고 일반 중풍과도 다르다. 8) 동절(冬節)의 유산은 상처로 한독(寒毒)이 들어와 풍독(風毒)이 생긴다. 추운 계절이라 상처로 한기가 들어와 생기는 한독이다. 파상풍과 유사하지만 다르다. 풍(風)이 독(毒)을 일으키면 뇌암을 만들고 독을 일으키지 않으면 전신불수나 반신 불수를 일으킨다. 9) 죽은 피에 염증이 생기고 염증이 담을 만든다. 이 죽은피에 바람이 들면 산후풍이 되고 신경마비가 점차 심해져서 점점 위로 올라가 중풍이 된다. 10) 갑자기 솟은 피는 빨리 회복되지 않으니 슬슬 회복되는 데 그 시간동안 원기가 쇠약해지면 머리를 들어 생기는 것이 산후풍이다. 11) 습(濕)이 많으면 풍(風)이 생길 징조이다. 즉 습에서 냉이 생기고 냉이 생긴 뒤 기가 허하면 풍이 생긴다(濕生冷 冷生 氣虛動風). 12) 산후풍 및 역절풍은 열독(熱毒)이, 몸 속에 어혈독(瘀血毒) 기운과 합해서 생기는 병이니 따끔따끔한 증세 보이면 이것이 독성(毒性)으로 염증으로 변하고 이것이 습(濕)이니 담(痰)이니 풍으로 변해서 온 것이다. 2. 신경통, 관절염, 산후풍 처방 1) 산후풍 [O형 55세 여자. 속이 어질어질하고 손이 저려 팔이 비비 틀려온다. 4남매 낳았고 6번 낙태 시켰다]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5되,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원백강잠(법제) 3.5근, 석룡자(법제) 0.5근, 우슬·강활 각 3.5근, 원방풍·속단·목과 각 1.5근, 송근 7.5근, 백개자(초)·행인 3.5근, 익모초·당귀·천궁·백출 각 1.5근, 신곡(초)·맥아(초) 각 3.5근, 공사인(초) 1.5근, 금은화·포고영 각 3.5근, 하고초 1.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5근, 석고 3.5근, 당산사·당목향 각 1.5근, 유근피 3.5근 2) 관절통[O형 26세 미혼 여성 뼈마디가 아프고 늘 피곤하다. 일 좀하면 아파서 못 산다. 유산 한적도 없다. 직업은 사무직이고 손목이 제일 아프다]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5되,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원백강잠(법제) 3.5근, 석룡자(법제) 0.5근, 우슬·강활 각 3.5근, 원방풍3.5근, 속단·목과 각 0.5근, 송근 7.5근, 백개자(초)·행인 3.5근, 익모초·당귀·천궁·백출 각 1.5근, 신곡(초)·맥아(초) 각 3.5근, 공사인(초) 1.5근, 금은화·포고영 각 3.5근, 하고초 1.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5근, 석고 3.5근, 당산사·당목향 각 1.5근, 유근피 3.5근 3) 관절염 [B형 56세 여자]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5되,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원백강잠(법제) 3.5근, 석룡자(법제) 0.5근, 우슬·강활 각 3.5근, 원방풍3.5근, 속단 3.5근, 목과 1.5근, 송근 3.5근, 백개자(초)·행인 1.5근, 익모초 3.5근, 당귀·천궁·백출 각 1.5근, 신곡(초)·맥아(초) 각 3.5근, 공사인(초) 1.5근, 금은화·포고영 각 1.5근, 하고초 1.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5근, 애엽 0.5근, 당산사·당목향 각 1.5근, 유근피 3.5근 4) 경직성 척추염 [O형 29세 남자]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5되,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원백강잠(법제) 3.5근, 석룡자(법제) 0.5근, 우슬·강활 각 3.5근, 원방풍3.5근, 속단·목과 각 1.5근, 송근 3.5근, 백개자(초)·행인 1.5근, 익모초·당귀·천궁·백출 각 1.5근, 신곡(초)·맥아(초) 각 3.5근, 공사인(초) 1.5근, 금은화·포고영 각 1.5근, 하고초 1.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5근, 석고 3.5근, 유근피 3.5근 5) 디스크 [O형 47세 여자] 공통약(오리 2마리, 다슬기 5되, 밭마늘 큰 것 1접, 작은 것 1접, 대파 25뿌리) 원백강잠(법제) 3.5근, 우슬·강활 각 3.5근, 원방풍 3.5근, 속단·목과 각 1.5근, 송근 3.5근, 백개자(초)·행인 1.5근, 익모초 3.5근, 당귀·천궁·백출 각 1.5근, 신곡(초)·맥아(초) 각 3.5근, 공사인(초) 1.5근, 금은화·포고영 각 3.5근, 하고초 1.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5근, 석고 3.5근, 유근피 3.5근 6) 전신이 땅기고 아픈데(索引痛)[ A형 여자 ] ※ 이것은 산후풍이 역절풍이 되는 중간 과정이다. 처방: 공통약, 원방풍 1.5근, 우슬 3.5근, 원백강잠(법제) ·송근 4.5근, 속단·당귀·천궁·애엽 각 3근, 익모초·목과·독활·신곡·맥아 각 3.5근, 공사인 1.5근, 생강·대추 각 1근, 원감초 2근 ※ 소화 불량에게는 신곡, 맥아, 공사인을 각 3.5근으로 가미하라. 7) 팔, 다리가 아프다 [ B형 39세 여자, 소화가 안되고, 가슴이 아프고 아랫배, 다리, 팔, 어깨 등 전신이 아프다 ] 공통약, 원백강잠(법제) 3.5근, 우슬·강활·방풍 각 3.5근 속단 3.5근, 모과 1.5근, 송근 3.5근, 백개자(초)·행인(초) 각 1.5근, 애엽 1.5근, 익모초 3.5근, 당귀 3.5근, 천궁 1.5근, 백출 각 1.5근, 신곡(초)·맥아(초) 각 3.5근, 공사인(초) 1.5근, 금은화·포공영 각 1.5근, 생강·대추·원감초 각 1.5근, 유근피 3.5근 8) 다리마비[ O형 28세 여자, 눈이 노랗고 신경이 불안하다 ] ※ 눈이 노랗다는 것은 간에 문제가 있고 하체가 마비되면 관절염 약을 써라. 공통약, 원백강잠(법제) 3.5근, 우슬·강활·방풍 각 3.5근 속단 3.5근, 모과 1.5근, 송근 3.5근, 백개자(초)·행인(초) 각 3.5근, 익모초 3.5근, 당귀·천궁·백출 각 1.5근, 신곡(초)·맥아(초) 각 3.5근, 공사인(초) 1.5근, 금은화·포공영 각 1.5근, 하고초·생강·대추·원감초 각 1.5근, 유근피 3.5근, 별갑(초) 3.5근, 석고 3.5근 ※ 원백강잠이 3.5근이면 별갑, 백개자, 행인도 3.5근을 써라.
    인산의학부인병및산후병

교류의 장 총 2개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노모가 89세인데 심부전과 무릎 관절염으로 고통 중에 계십니다. 혹시 여기서 말하는 쑥뜸과 밭마늘환이 도움이 될까요?
    교류의장인산학 건강상담
  • 《‘동물이 뿜는 맹독으로 난치병 치료제를 개발한다.’ 다소 의아스럽게 들리는 얘기다. 벌에 쏘이거나 독사에게 물리면 신경이 마비되고 산소를 운반하는 적혈구가 파괴돼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른다. 이들의 독으로 병을 치료한다니 과학적 근거가 약한 ‘민간요법’에서나 통용되는 말이 아닐까. 하지만 최근 과학자들은 독을 약으로 둔갑시킬 수 있는 흥미로운 연구성과를 내고 있다. 충북대 약학과 홍진태 교수와 경원대 한의학과 김기현·송호섭 교수 공동연구팀은 지난 2년간 ‘벌의 독(봉독)’에서 추출한 물질이 류머티스 관절염에 효과를 보인다는 점을 생리적 차원에서 규명했다.》 이 연구논문은 미국에서 발행되는 ‘관절염과 류머티즘(Arthritis & Rheumatism)’ 11월호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현재 한방과 양방 모두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봉독요법’을 기초과학 수준에서 해석하고 싶었다. 봉독을 추출해 침이나 주사로 투여하면 염증 생성이 억제되고 통증이 사라진다고 한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에서 올해 봉독요법을 시도하고 있는 병원과 클리닉이 800개가 넘는다. 연구팀은 봉독에서 멜리틴을 비롯한 7가지 단백질로 이뤄진 복합물질을 추출해냈다. 이 물질을 류머티즘에 걸린 쥐의 다리에 투여하자 염증과 부기가 현저히 빠졌다. 또 류머티즘 환자로부터 얻은 무릎관절 세포(활액세포)에 투여한 결과 세포 내 염증 유발 유전자의 활성이 억제된다는 점을 밝혔다. 벌에 쏘이면 체내에서는 독물질과 싸우느라 염증이 생기고 피부가 붓는 것이 상식인데, 어떻게 거꾸로 치료효과가 나타나는 것일까. 홍 교수는 “봉독의 농도를 묽게 만드는 것이 비결”이라며 “1마이크로g(100만분의 1g) 수준의 극미량을 투여했을 때 치료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 이상 농도를 투여하면 ‘본래의 성질’인 독성이 발휘될지 모른다는 의미다. 같은 약물이라도 ‘많으면 독이 되고 적으면 약이 된다’는 의학계의 오랜 믿음이 확인된 셈이다. 하지만 ‘묽은 봉독’이 왜 염증을 치료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해석은 아직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비해 독이 약이 되는 ‘이유’를 미리 알고 접근하는 연구도 활발하다. 일명 ‘살모사 연구팀’으로 불리는 연세대 김두식(생화학과)·정광회 교수팀(의대)의 사례다. 연구팀은 살모사 독(살모신)에서 천연의 ‘항혈액응고제’를 추출했다. 살모사가 먹이를 물었을 때 생체에서는 피가 흐르지 않도록 물린 부위의 혈관에 혈소판 등이 몰려간다(응고). 살모사 독에는 이 방어작용을 막기 위한 항응고제가 존재하는 것. 만일 살모신을 인체에 투여하면 혈액응고로 인해 혈관이 막히는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는 얘기다. 흥미롭게도 살모신은 암세포 주변의 새로운 혈관생성도 막는다. 연구팀은 지난 수년간 살모신과 그 유전자를 생쥐에 투여해 탁월한 항암효과를 확인하고 미국 암학회가 발행하는 ‘캔서 리서치’에 두 차례 논문을 게재했다. 김두식 교수는 “사람에게도 살모신과 비슷한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가 있을 것”이라며 “올해 9월부터 5년간 과학기술부로부터 국가지정연구실로 선정돼 ‘인체 내 살모신’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주름제거제로 잘 알려진 보툴리눔 치료제(상품명 보톡스)도 독물의 작용원리를 미리 알고 개발된 사례다. 충북 청원군 오창과학산업단지에 위치한 바이오벤처 메디톡스는 2001년 세계에서 네 번째로 보툴리눔 치료제를 개발하고 올해 6월 서울 4개 병원의 200여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모두 마쳤다. 얼굴의 절반이 실룩거리며 떨리는 ‘반측안면경련’에 약효가 뛰어나다는 점이 밝혀진 것. 치료제의 재료는 부패한 통조림에 살고 있는 미생물(Clostridium botulinum)의 독물질. 신경세포 끝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차단해 근육마비를 유발한다. 1마이크로g만 인체에 투여돼도 사망에 이른다. 연구진은 이 물질을 1000배 이상 묽게 만들었다. 근육이 떨리는 것은 그 부위의 신경이 과도하게 자극을 받은 결과다. 따라서 ‘희석된 독물’을 투여하면 어느 정도 증상이 완화될 수 있다. 메디톡스의 정현호 사장은 “눈가 주름도 신경자극의 반복으로 피부 아래 근육이 굳어져 생긴 것이어서 이 물질이 주름을 펴는 데 효과가 있다”며 “앞으로는 신경치료제로도 많이 활용될 것”으로 전망했다. 김훈기 동아사이언스기자 wolfkim@donga.com  
    교류의장정다운 게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