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곰'(으)로 총 2 개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게시물 통합 총 2개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5) 돼지와 부자(附子), 곰과 웅담
    5) 돼지와 부자(附子), 곰과 웅담  앞에서도 누차 말했듯이 어떤 약이든 약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한결같이 독성(毒性)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직접 먹는 것보다 간접 섭취하는 것이 보다 안전하다.  소양(少陽) 체질 <대개 O형의 혈액형>이 부자(附子)를 직접 복용하면 자칫 절명(絶命)하게 되지만 부자를 일정기간 돼지에게 먹여 간접 섭취하면 도리어 다른 체질보다 훨씬 효과가 빠른 것은 그 때문이다.  어떤 한의사가 독맥(督脈) 경화로 오래 고생하기에 1년여 부자를 먹인 돼지의 피를 복용케 했더니 그는 무척 꺼리는 것이었다. 자신의 체질이 소양 체질이라 부자는 극약이라는 우려였다.  일체의 독성이 없는 <순수 부자>라는 말에 그는 그것을 먹고 즉효를 본 일이 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아무 동물에게나 부자를 먹여 간접 섭취해도 된다는 말은 아니다.  부자에 있어서 돼지처럼 독성은 제거하되 약성은 보존하는 상관 관계에 대한 분명한 이해가 수반되어야 하는 것이다.  개와 인삼, 닭과 독사, 오리와 초오(草烏), 염소와 음양곽(淫羊藿) ․ 옻 등은 좋은 예다. 이 동물들은 모두 약물의 독성을 제거하고 약성을 보존할 뿐만 아니라 공간 색소(色素) 중의 약분자(藥分子)까지 합성시키는 묘한 역할을 한다.  이렇게 약의 합성을 위해 인공사육하는 것은 암약 오핵단(五核丹) 편에서 자세히 언급했으므로 이 이상의 상론을 피하고 자연적으로 약을 먹고 자라는 천연 약동물들에 관해 살펴볼까 한다.  한반도에는 천연 약동물이 무척 많다.  곰(웅담), 사향노루(사향), 사슴(녹용) 등 이 땅의 야생 동물들은 흔하디 흔한 약초 또는 약되는 각종 먹이들을 섭취함으로써 체내에 인간의 목숨을, 질병의 위기에서 살려낼 영약(靈藥)들을 합성해놓고 있다.  50년대까지만 해도 이런 종류의 짐승들은 우리나라 야산에 흔했던 만큼 손쉽게 구하여 약에 쓸 수 있었지만 요즘은 상황이 달라졌다.  토산은 거의 구할 수 없을 뿐 아니라 구한다 해도 대부분 믿을 수 없는 것들인데다가 가격 또한 턱없이 비싸서 이용이 거의 불가능하다.  웅담 , 녹용 등이 좋은 약이 된다는 인식이 최근 보편화되자 혹자는 이의 사육을 시도하고 있으나 그것은 약의 원리에 밝지 못하기 때문에 범하는 수주(守株)의 우(愚)일 뿐이다. 곰 , 사슴 , 사향노루 등의 약동물들은 석청(石淸) , 불개미 , 약초 등 각종 약물들을 섭취함으로써 체내의 특정 기관에 묘약을 이루어 놓는 것이다.  어찌 보통 사료를 먹여 그런 약이 이루어지길 바라는가.  정히 웅담과 사향 , 녹용을 생산하고 싶으면 곰 , 사슴 등을 사육하되 심산유곡에 넓게 울타리를 치고 또 충분히 약이 될 만한 <먹이>들을 공급해야 할 것이다.  지나친 상업주의에 의해 사람먹는 음식에까지 유해물질을 넣는 판국에, 믿을 수 없는 웅담 , 사향들이 판치는 것을 어쩌랴... 그러나 음식물의 유해물질 첨가는 그 피해가 작고 더디지만 약의 <가짜>는 사람의 목숨을 앗는 준살인행위인 만큼 일체의 생산 , 유통을 자제하고 금해야 한다.  곰이나 사향노루처럼 약물의 섭취를 통해 체내에 묘약을 이루어 놓는 것 중 아직 널리 알려지지 않은 동물들이 있다.  바로 인삼밭의 두더지와 땅강아지[土狗]다.  이의 적응증과 용법에 대해서 상론하겠다.
    인산학신약
  • 닭장곰
     닭장곰이라고 있어요, 거북같은 거, 납작한 거 있어요. 그놈은 참 힘이 있어요, 호랭이도 피해야지.  그놈이 느물느물하고 호랭이 뒷다리를 번개같이 쥔대. 아가리 바싹 찢어버린대. 호랭이도 그 앞에는 맥 못써. 코끼리도 못당해. 곰이란 코끼리를 코를 뚝 짤라버리면 그만이야. 거 맥 못써요. 코끼리 혹 사막에서 코가 없는 거 있잖아요. 곰은 갖 낳은 걸 키워 죽으라고 하면 죽는 시늉해요, 심부름을 그렇게 잘한대. 애기 궁둥짝 때리는 걸 배우면 탁 때려 박살난데. 애기 가슴 토닥거려서 잠재우는 거 보이면 큰 일나. 발로 두드려서 납짝하게 만들어 버리니까.  우리 어려서도 백두산에 곰을 키우는 사람 많았어. 방아 찧는데 그렇게 잘 찧는대. 맷돌 종일 돌리고, 장작도 잘 패고, 나무 해오라면 산에 가서 나무 뚝 짤라서 메고 온대. 왜놈 나오고 왜놈이 싹 다 잡았어. 사람의 집에서 사람이 키우는 곰은 순은 해요. 밥찌끼 조금 먹이면 배곺 죽을라고 그래요. 아무거나 잘 먹어. 도토리 제일 잘 먹어요. 그런데 그건 뭐이고 다 잡아오는데. 노루는 원래 빨라서 안되고, 사슴도 그러고, 따라갈 수 있는 건 다 잡아 와. 심산에 가면 불개미 사느 덴 불개미 한가마니 넘어요. 곰이 불개미 잘 먹어. 벌꿀 좋아하고. 고놈이 약기도 무척 약아요. 벌이 꿀치는 나무는 나뭇잎이 누래요. 주둥이로 싹 뜯어서 꿀어 꺼내 먹어요.  높은 산에서 봐서 나뭇잎이 누릿누릿하면 벌꿀 치거나 구렝이 있거나, 구렝이 들어가 있는 놈이 많아.  구렝이는 마른 불 놓면 대번 죽어. 꿀든 건 꿀이 많아요. 그런데 그것도 재수있어야 해. 난 산속에 그렇게 오래 있어도 못봤거든. 한 섬이라는 거 도라무통 두 개거든. 한 섬 든 거 있다거든. 그건 1초롱에 지금 돈 100만원도 돼요, 큰 부자요. 큰 돌틈에 벌이 꿀쳐놓면 곰이 알아내고 돌안고 들어가서, 무거운 거, 야문 거는 들어보면 알거든. 돌 안고 들어가 며칠이고 두드려서 꿀 있는 데까지 깨고 들어가 기어코 먹어요.  절벽에 꿀 있는 줄 알면 곰이 혓바닥 내밀고 절벽에다 침을 발라놓아. 벌이 곰의 침 빨아먹느라고 모여들면 벌 핥아 먹고 꿀먹고 반반하면 가버려. 곰은 옥노가지고 잡는데 곰이 화가 나가주고 웅담이 많이 줄어드는 수가 있어요. 함정이 좋아요. 창으로 자꾸 찌르고 해도 줄어요.   이중태라고, 병자 정축년(1936년 1937년) 눈이 많이 왔는데 깊은 덴 12자, 바닥에 내려와선 9자 왔거든, 그쪽엔 눈이 많아요, 녹지도 않고. 곰이란 놈이 눈 위, 사람이 댕겨도 끗떡 안해요, 거긴 추워서 눈이 얼음짱 돼 있으니까,  돼지 댕기면 빠지고, 사람들이 곰잡는다고 나섰는데 가다가 보니까 앞에 눈이 들썩들썩하거든, 눈에 빠진 산돼지를 만났다?  고개 쳐드는 걸 도끼로 내려 찍으니, 거 아플 거 아니오? 찍긴 찍었는데 그놈이 아파 휘저으니까 도끼자루 쥔 사람이 공중나가 떨어지니. 눈에 빠져서 도망은 못가고.  엠왕 가지고 골통을 쏘니까 거 맞은 자리만 뚫어져, 확 부수고 나가지 않고. 산짐승은 대구리 아주 야물어요. 소처럼 박 부숴지는 줄 알다가는 큰일나요.
    인산학이야기속으로

인산학 총 2개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5) 돼지와 부자(附子), 곰과 웅담
    5) 돼지와 부자(附子), 곰과 웅담  앞에서도 누차 말했듯이 어떤 약이든 약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한결같이 독성(毒性)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직접 먹는 것보다 간접 섭취하는 것이 보다 안전하다.  소양(少陽) 체질 <대개 O형의 혈액형>이 부자(附子)를 직접 복용하면 자칫 절명(絶命)하게 되지만 부자를 일정기간 돼지에게 먹여 간접 섭취하면 도리어 다른 체질보다 훨씬 효과가 빠른 것은 그 때문이다.  어떤 한의사가 독맥(督脈) 경화로 오래 고생하기에 1년여 부자를 먹인 돼지의 피를 복용케 했더니 그는 무척 꺼리는 것이었다. 자신의 체질이 소양 체질이라 부자는 극약이라는 우려였다.  일체의 독성이 없는 <순수 부자>라는 말에 그는 그것을 먹고 즉효를 본 일이 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아무 동물에게나 부자를 먹여 간접 섭취해도 된다는 말은 아니다.  부자에 있어서 돼지처럼 독성은 제거하되 약성은 보존하는 상관 관계에 대한 분명한 이해가 수반되어야 하는 것이다.  개와 인삼, 닭과 독사, 오리와 초오(草烏), 염소와 음양곽(淫羊藿) ․ 옻 등은 좋은 예다. 이 동물들은 모두 약물의 독성을 제거하고 약성을 보존할 뿐만 아니라 공간 색소(色素) 중의 약분자(藥分子)까지 합성시키는 묘한 역할을 한다.  이렇게 약의 합성을 위해 인공사육하는 것은 암약 오핵단(五核丹) 편에서 자세히 언급했으므로 이 이상의 상론을 피하고 자연적으로 약을 먹고 자라는 천연 약동물들에 관해 살펴볼까 한다.  한반도에는 천연 약동물이 무척 많다.  곰(웅담), 사향노루(사향), 사슴(녹용) 등 이 땅의 야생 동물들은 흔하디 흔한 약초 또는 약되는 각종 먹이들을 섭취함으로써 체내에 인간의 목숨을, 질병의 위기에서 살려낼 영약(靈藥)들을 합성해놓고 있다.  50년대까지만 해도 이런 종류의 짐승들은 우리나라 야산에 흔했던 만큼 손쉽게 구하여 약에 쓸 수 있었지만 요즘은 상황이 달라졌다.  토산은 거의 구할 수 없을 뿐 아니라 구한다 해도 대부분 믿을 수 없는 것들인데다가 가격 또한 턱없이 비싸서 이용이 거의 불가능하다.  웅담 , 녹용 등이 좋은 약이 된다는 인식이 최근 보편화되자 혹자는 이의 사육을 시도하고 있으나 그것은 약의 원리에 밝지 못하기 때문에 범하는 수주(守株)의 우(愚)일 뿐이다. 곰 , 사슴 , 사향노루 등의 약동물들은 석청(石淸) , 불개미 , 약초 등 각종 약물들을 섭취함으로써 체내의 특정 기관에 묘약을 이루어 놓는 것이다.  어찌 보통 사료를 먹여 그런 약이 이루어지길 바라는가.  정히 웅담과 사향 , 녹용을 생산하고 싶으면 곰 , 사슴 등을 사육하되 심산유곡에 넓게 울타리를 치고 또 충분히 약이 될 만한 <먹이>들을 공급해야 할 것이다.  지나친 상업주의에 의해 사람먹는 음식에까지 유해물질을 넣는 판국에, 믿을 수 없는 웅담 , 사향들이 판치는 것을 어쩌랴... 그러나 음식물의 유해물질 첨가는 그 피해가 작고 더디지만 약의 <가짜>는 사람의 목숨을 앗는 준살인행위인 만큼 일체의 생산 , 유통을 자제하고 금해야 한다.  곰이나 사향노루처럼 약물의 섭취를 통해 체내에 묘약을 이루어 놓는 것 중 아직 널리 알려지지 않은 동물들이 있다.  바로 인삼밭의 두더지와 땅강아지[土狗]다.  이의 적응증과 용법에 대해서 상론하겠다.
    인산학신약
  • 닭장곰
     닭장곰이라고 있어요, 거북같은 거, 납작한 거 있어요. 그놈은 참 힘이 있어요, 호랭이도 피해야지.  그놈이 느물느물하고 호랭이 뒷다리를 번개같이 쥔대. 아가리 바싹 찢어버린대. 호랭이도 그 앞에는 맥 못써. 코끼리도 못당해. 곰이란 코끼리를 코를 뚝 짤라버리면 그만이야. 거 맥 못써요. 코끼리 혹 사막에서 코가 없는 거 있잖아요. 곰은 갖 낳은 걸 키워 죽으라고 하면 죽는 시늉해요, 심부름을 그렇게 잘한대. 애기 궁둥짝 때리는 걸 배우면 탁 때려 박살난데. 애기 가슴 토닥거려서 잠재우는 거 보이면 큰 일나. 발로 두드려서 납짝하게 만들어 버리니까.  우리 어려서도 백두산에 곰을 키우는 사람 많았어. 방아 찧는데 그렇게 잘 찧는대. 맷돌 종일 돌리고, 장작도 잘 패고, 나무 해오라면 산에 가서 나무 뚝 짤라서 메고 온대. 왜놈 나오고 왜놈이 싹 다 잡았어. 사람의 집에서 사람이 키우는 곰은 순은 해요. 밥찌끼 조금 먹이면 배곺 죽을라고 그래요. 아무거나 잘 먹어. 도토리 제일 잘 먹어요. 그런데 그건 뭐이고 다 잡아오는데. 노루는 원래 빨라서 안되고, 사슴도 그러고, 따라갈 수 있는 건 다 잡아 와. 심산에 가면 불개미 사느 덴 불개미 한가마니 넘어요. 곰이 불개미 잘 먹어. 벌꿀 좋아하고. 고놈이 약기도 무척 약아요. 벌이 꿀치는 나무는 나뭇잎이 누래요. 주둥이로 싹 뜯어서 꿀어 꺼내 먹어요.  높은 산에서 봐서 나뭇잎이 누릿누릿하면 벌꿀 치거나 구렝이 있거나, 구렝이 들어가 있는 놈이 많아.  구렝이는 마른 불 놓면 대번 죽어. 꿀든 건 꿀이 많아요. 그런데 그것도 재수있어야 해. 난 산속에 그렇게 오래 있어도 못봤거든. 한 섬이라는 거 도라무통 두 개거든. 한 섬 든 거 있다거든. 그건 1초롱에 지금 돈 100만원도 돼요, 큰 부자요. 큰 돌틈에 벌이 꿀쳐놓면 곰이 알아내고 돌안고 들어가서, 무거운 거, 야문 거는 들어보면 알거든. 돌 안고 들어가 며칠이고 두드려서 꿀 있는 데까지 깨고 들어가 기어코 먹어요.  절벽에 꿀 있는 줄 알면 곰이 혓바닥 내밀고 절벽에다 침을 발라놓아. 벌이 곰의 침 빨아먹느라고 모여들면 벌 핥아 먹고 꿀먹고 반반하면 가버려. 곰은 옥노가지고 잡는데 곰이 화가 나가주고 웅담이 많이 줄어드는 수가 있어요. 함정이 좋아요. 창으로 자꾸 찌르고 해도 줄어요.   이중태라고, 병자 정축년(1936년 1937년) 눈이 많이 왔는데 깊은 덴 12자, 바닥에 내려와선 9자 왔거든, 그쪽엔 눈이 많아요, 녹지도 않고. 곰이란 놈이 눈 위, 사람이 댕겨도 끗떡 안해요, 거긴 추워서 눈이 얼음짱 돼 있으니까,  돼지 댕기면 빠지고, 사람들이 곰잡는다고 나섰는데 가다가 보니까 앞에 눈이 들썩들썩하거든, 눈에 빠진 산돼지를 만났다?  고개 쳐드는 걸 도끼로 내려 찍으니, 거 아플 거 아니오? 찍긴 찍었는데 그놈이 아파 휘저으니까 도끼자루 쥔 사람이 공중나가 떨어지니. 눈에 빠져서 도망은 못가고.  엠왕 가지고 골통을 쏘니까 거 맞은 자리만 뚫어져, 확 부수고 나가지 않고. 산짐승은 대구리 아주 야물어요. 소처럼 박 부숴지는 줄 알다가는 큰일나요.
    인산학이야기속으로